$\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한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ing Minimum Level of Ser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Using Altteul Transport Card Data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22 no.3, 2023년, pp.104 - 115  

김민석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빅데이터센터) ,  심상우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조사평가처) ,  정준영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조사평가처) ,  오관교 (한국교통안전공단 교통조사평가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요대응 교통수단 및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수요대응 교통수단의 도입 기준인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은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운영자 중심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파악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법정동보다 작은 GRID 분석을 통해 동일 법정동 내에서도 대중교통 접근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적용한 결과 현재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에서는 확보 지역인 많은 법정동이 비확보 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알뜰교통카드 데이터의 접근 시간은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확보 여부 판단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er-centered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such as DRT, Autonomous Transit etc. have been provied but current minimum level of service for public transportation has been evaluated by the operator because there is no data on user's accessibility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This study was performe...

주제어

참고문헌 (19)

  1. Daejeon Sejong Research Institute(2022), Analysis of Operation Patterns and Issue Derivation of?Demand Responsive Transport 'Shucle', pp.26-38. 

  2. Greene-Roesel, R., Diogenes, M. C. and Ragland, D. R.(2007), Estimating Pedestrian Accident?Exposure: Protocol Report,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at UC Berkeley, p.15. 

  3. Jjan, S., Andreas, B., Philipp, R. and Moritz, K.(2020), "Impact assessment of autonomous demand?responsive transport as a link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Research in Transportation?Business & Management, p.10. 

  4. Korea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2013),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Measurement?Methodology of Minimum Service Standards for the Guarantee of Traffic Rights, pp.120-121. 

  5. Land Transport Guru, https://landtransportguru.net/quality-of-service-qos-standards, 2023.03.31. 

  6. Lim, S. H., Jang, W. J., Tak, S. H. and Park, T. Y.(2018), Strategies of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in the Era of Autonomous Vehicle and Shared Transport,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Basic?Research Reports, pp.108-126. 

  7. Mauro, S., Federico, R., Maximilian, S. and Marco, P.(2018), "On the interaction between autonomous?mobility-on-demand an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2018 2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p.7. 

  8.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7), Passenger Transport Service Act, Article 3.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22a), 4th Public Transportation Master Plan, pp.45,?74-75.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22b), Final Report of the 2021 Public?Transportation Facility and Mean, pp.89-147. 

  11. Oh, K. K., Kim, M. S., Joung, J. Y. and Park, S. Y.(2020), "Analysis of First-Last Mile Travel Characteristics Using al-card Data",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vol. 17, no. 5,?pp.17-24. 

  12. Oregon Public Transportation Plan(2020), "Public Transportation Level of Service", Final White?Paper, pp.72-76. 

  13. Roland Berger, https://www.rolandberger.com/en/Insights/Publications/Autonomus-driving-gains-traction-in-rural-areas.html, 2023.03.31. 

  14. Seo, Y. H., Kwon, Y. M. and Kim, H. J.(2021), "A Framework for Selecting Vulnerable Areas to?Provide Autonomous Public Transportation: A Case Study of Gyeonggi Province in South?Ko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2021, no. 4, pp.541-545. 

  15. Tak, S. H., Kim, H. G., Kang, K. P. and Lee, D. H.(2019), "A study on the Introduction for Automated?Vehicle-based Mobility Service Considering the Level of Service of Rode Infrastructure",?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 vol. 18, no. 5, pp.19-33. 

  16. Todd, L.(2021), Autonomous Vehicle Implementation Predictions: Implications for Transport?Planning,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 p.33. 

  17.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2013),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 (3rd ed.),?pp.11-16. 

  18. Vale of Glamorgan Council(2005), Local Transport Plan, pp.28-29. 

  19. Yoon, T. G.(2020), "Strategies to Implement Autonomous Public Transit", Transportation?Technology and Policy, vol. 17, no. 2, pp.72-7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