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주 지역 남녀 대학생의 섭식 행동 유형별 영양 지수의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tion quotient by types of eating behavior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6 no.3, 2023년, pp.277 - 287  

류금비 (전남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  허영란 (전남대학교 식품영양과학부 및 생활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광주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섭식 행동과 영양 상태를 조사하고, 섭식 행동 유형별 영양 상태를 비교하여 이들 요인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 결과는 첫째, 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섭식 행동 수준과 유형의 분포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감정적 섭식과 외부적 섭식 행동 수준이 높았고, 섭식 행동 유형에서 감정적, 절제적, 복합 섭식 유형이 많았다. 둘째, 대상자의 섭식 행동 유형에 따라 영양 상태는 차이가 있었다. 감정적 섭식 유형의 대상자가 절제적 섭식 유형보다 영양 지수가 낮았고, 다양과 식행동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세부적으로 감정적 섭식 유형이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노력과 주관적 건강 상태, 영양 표시 확인, 식사 전 손 씻기, 물 섭취량에서 절제적 및 복합 유형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외부적 섭식 유형의 대상자는 절제적 섭식 유형보다 절제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라면과 가당 음료에 대한 절제력이 절제적 및 복합 섭식 유형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섭식 행동 유형별로 잠재된 주요 영양 문제를 파악하였고, 유형별 문제 개선을 위한 맞춤 전략을 세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ating behavior (EB) and nutritional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and to compare their nutrition quotients (NQs) and problems according to their EB typ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19 (127 female and 92 male) undergraduate students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6)

  1. Ahn SH, Kim SY. Effect of difference in dietary behavior and lifestyle by nutrition knowledge level among?college students in Pyeongtaek area. Korean J Hum Ecol. 2022; 31(2): 249-261.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enter for Disease Control.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Control and Prevention; 2019. 

  3. Kim MH, Yeon JY. Change of dietary habits and the use of home meal replacement and delivered foods?due to COVID-19 among college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Korea. J Nutr Health 2021; 54(4):?383-397. 

  4. Lim S.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OVID-19. J Korean Med Assoc 2022; 65(7): 423-429. 

  5. Lobera IJ. Psychosomatic medicine. In: Lobera IJ, Martinez MM, editors. Chap. 7 Emotional Eating and?Obesity. London: Intechopen; 2020. p.141-150. 

  6. Park E, Kim Y. Eating propensity of adult women: an exploratory study. Korean J Health Educ Promot?2020; 37(5): 69-81. 

  7. Lee J, Hyun MH. Research trends in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of food addiction and future tasks.?Korean J Stress Res 2022; 30(4): 187-195. 

  8. Park YY, Lee SY. A meta-analysis of the risk factors affecting on abnormal eating attitudes in female?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Korean J Youth Couns 2019; 27(1): 105-140. 

  9. Erdfelder E, Faul F, Buchner A.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 Res Methods Instrum?Comput 1996; 28(1): 1-11. 

  10. Higher Education in Korea.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Internet]. Seoul: Higher Education?in Korea; 2021 [cited 2021 March 15]. Available from: http://www.academyinfo.go.kr. 

  11. van Strien T, Frijters JE, Bergers GP, Defares PB. The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EBQ) for?assessment of restrained, emotional, and external eating behavior. Int J Eat Disord 1986; 5(2): 295-315. 

  12. Kim HJ, Lee IS, Kim JH.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ating behavior?questionnaire. Korean J Clin Psychol 1996; 15(1): 141-150. 

  13. Lee JS, Kim HY, Hwang JY, Kwon S, Chung HR, Kwak DK, et al.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Korean adults: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8; 51(4): 340-356. 

  14. Hummel G, Ehret J, Zerweck I, Winter SS, Stroebele-Benschop N. How eating behavior, food stimuli and?gender may affect visual attention: an eye tracking study. Eat Behav 2018; 31: 60-67. 

  15. Thompson SH, Romeo S. Gender and racial differences in emotional eating, food addiction symptoms,?and body weight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s. J Diabetes Obes 2015; 2(2): 93-98. 

  16. Ling J, Zahry NR.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tress, emotional eating, and dietary intake in college?students: eating self-regulation as a mediator. Appetite 2021; 163: 105215. 

  17. Verma R, Balhara YP, Gupta CS. Gender differences in stress response: Role of developmental and?biological determinants. Ind Psychiatry J 2011; 20(1): 4-10. 

  18. Kang S, Lee Y. Menstruation and the variability of food intake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Community Nutr 2013; 18(6): 577-587. 

  19. Choi YJ.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some university students in Gangwon-do using the adult?nutrient quotient (NQ) and effect of dietary education. J Korean Soc Food Cult 2019; 34(6): 683-696. 

  20. Bae YJ, Park SY, Bak HR. Evaluation of dietary quality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use of?nutrition labeling and nutrition claim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ungbuk area - based on nutrition?quotient. Korean J Community Nutr 2020; 25(3): 179-188. 

  21. Lopez-Galan B, de-Magistris T. Testing emotional eating style in relation to willingness to pay for?nutritional claims. Nutrients 2019; 11(8): 1773-1778. 

  22. Masento NA, Golightly M, Field DT, Butler LT, van Reekum CM. Effects of hydration status on cognitive?performance and mood. Br J Nutr 2014; 111(10): 1841-1852. 

  23. Monroe JT. Mindful eating: principles and practice. Am J Lifestyle Med 2015; 9(3): 217-220. 

  24. Kim HS, Lee EY, Kim K, Kim KW, Pyum J, Chumg SJ, et al. Survey on dietary behavior and intakes of?instant noodle (Ramyeon) soup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3; 18(4): 365-371. 

  25. Kim W, Han Y. Consum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beverages among college students in urban?areas. Korean J Hum Ecol 2020; 29(2): 241-253. 

  26. Beydoun MA. The interplay of gender, mood, and stress hormon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al?eating and dietary behavior. J Nutr 2014; 144(8): 1139-11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