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순사상의 인간 본성론(本性論) 연구
A Study on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원문보기

大巡思想論叢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v.44, 2023년, pp.263 - 297  

박병만 (한국철학사상연구소)

초록

본 논문은 대순사상에서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와 그 특징을 비롯하여 그 본성론이 대순진리회의 기본사업 및 3대 중요사업의 방향성과 어떻게 연관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대순사상의 본성론을 이해하기 위해서 필자는 유학전통에서 나타난 여러 본성론을 유형(類型)별로 나누어 이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이 유형적인 틀을 방법론적 기준으로 삼아 대순사상의 본성론을 살펴보았다. 대순사상에서는 인간 본성을 정직하고 진실한 양심(良心)으로 명확하게 규정하였다. 또한, 의(衣)·식(食)·색(色)의 추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욕구도 본성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는 도덕성과 생물학적 욕구를 아울러 본성으로 규정한 왕부지(王夫之)의 본성론과 일치하지는 않으나 상당히 유사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대순사상의 본성론은 인간의 도덕성을 강조하면서도 생물학적 욕구가 인간 삶의 기본적인 요소라는 점을 충분히 수용하고 있었다. 또한, 초월적 절대자인 구천상제(九天上帝)의 명에 의해 본성이 내재화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는 여지를 보임으로써 종교적인 성향을 강하게 내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대순진리회의 기본사업인 포덕·교화·수도에서는 이 정직하고 진실한 본성을 온전하게 회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3대 중요사업 가운데 사회복지사업과 구호자선사업에서는 의·식·색의 추구라는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를 인정하고 수용하여 적절한 차원에서 이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In addition, it seeks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nature and how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Daesoon Thought relates to the direction of the Basic Works and the Three Major Societal Works of Daesoon Jinrihoe. In order to ...

주제어

참고문헌 (31)

  1. 「전경」 13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2판,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6. 

  4. 「대순회보」 12호,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9. 

  5. 대순진리회, 「도헌(道憲)」, 1985년 개정판. 

  6. 「論語」 

  7. 「孟子」 

  8. 「荀子」 

  9. 朱熹, 「論語集註」 

  10. 朱熹, 「中庸章句」 

  11. 王夫之, 「尙書引義」 

  12. 王夫之, 「張子正蒙注」 

  13. 丁若鏞, 「孟子要義」 

  14. 丁若鏞, 「中庸自箴」 

  15.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인간관」, 「대순사상논총」 28, 2017. https://doi.org/10.25050/jdaos.2017.28.0.1 

  16. 김용옥, 「맹자, 사람의 길」(상.하권), 서울: 통나무, 2012. 

  17. 뤼트허르 브레흐만, 「휴먼카인드: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조현욱 옮김, 서울: 인플루엔셜, 2021. 

  18. 박병만, 「정약용의 행사(行事) 중심적 수양론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2. 

  19. 方立天, 「중국철학과 인성의 문제」, 박경환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9. 

  20. 안신, 「엘리아데의 관점으로 본 대순사상의 인간관 연구」,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1 

  21. 안재호, 「왕부지의 인성론 연구」, 「유교문화연구」 2, 2001. 

  22. 원석조, 「사회복지개론」, 파주: 양서원, 2007. 

  23. 윤용복, 「유교와 대순진리회의 심성론 비교 연구」, 「대순사상논총」 32,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1 

  24. 윤재근, 「대순사상의 인간이해」, 「대순사상논총」 16, 2003. http://uci.or.kr/G704-SER000013278.2003.16..001 

  25. 윤찬원, 「「태평경」에 나타난 도교윤리」, 「도교문화연구」 10, 1996. 

  26. 이경원, 「대순사상의 심체론(心體論) 연구」, 「신종교연구」 6, 2002. 

  27. 이운구 역, 「순자」 1, 파주: 한길사, 2018. 

  28. 이철승, 「유가 철학에 나타난 인간 본성론의 구조와 현실적 의미: 성선설과 성악설의 구조와 의미를 중심으로」, 「동양철학연구」 36, 2004. http://uci.or.kr/G704-001233.2004..36.002 

  29. 이철승, 「왕부지와 정약용 철학에 나타난 본성론 문제」, 「동양철학연구」 108, 2021. https://doi.org/10.17299/tsep..108.202111.105 

  30. 蔡仁厚, 「순자의 철학」, 천병돈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0. 

  31. 《네이버 사전》 https://ko.dict.naver.co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