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데이터 활용 웹기반 STEAM 프로그램의 효과 : 지구과학I의 '지질 단원'을 중심으로
Effects of Web-based STEAM Program Using 3D Data: Focused on the Geology Units in Earth Science I Textbook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6 no.2, 2023년, pp.247 - 260  

김호연 (충북대학교) ,  박기락 (송광중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15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지구과학 I의 '지질 구조' 내용 요소를 드론과 구글어스와 같은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한 웹기반의 전문가시스템을 활용하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STEAM에 대한 태도 및 수업 만족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p <.001 수준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지질 투어 자료를 직접 제작하고 발표하는 웹기반의 자료를 활용하는 수업 활동이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도움이 된 것으로 판단한다. 둘째, STEAM 태도에서는 p <.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값을 나타내어 고등학생의 STEAM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하였다. 드론과 구글어스를 통한 웹기반의 수업 활동이 학습자의 지식에 대한 자아 효능감과 유용성에 대한 가치인식 등의 융합적 사고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한다. 셋째,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고등학생의 수업 만족도는 3.251로 다소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이는 드론과 구글어스 등 웹기반의 수업 활동이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수업 시간 부족이 학습자의 수업 흥미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STEAM 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는 발표 자료 제작 및 실습 등을 감안하여 블록 타임 또는 수업 전 수업 이해를 위한 사전지도 등의 활동이 필요하다. 둘째,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STEAM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고교학점제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정성적 연구 및 정량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hen applying the 'geological structure' content element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I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curriculum to the STEAM program using a web-based expert system using 3D data of Google Earth and drones,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

주제어

표/그림 (20)

참고문헌 (22)

  1. 교육부(2016).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방향과 전략 (試案). 세종: 교육부. 

  2. 권혁수, 김어진, 김재운, 민재식, 배상일, 손미현, 이효녕,?최진영, 한미영, 함형인(2022). 고교학점제를 위한?융합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과학교육연구지, 46(1), 93-108. 

  3. 김상걸, 김형범, 김용기(2022). 3D프린터 활용 체험형?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 '태양' 개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1), 62-75. 

  4. 김용기, 김형범, 조규동, 한신(2018).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자유학기제 수업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11(3), 224-236 

  5. 김희수(2014). 적벽강 지역의 가상 야외지질답사 자료?개발 및 적용. 현장과학교육, 8(3), 205-215. 

  6.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백윤수(2012).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2(4), 533-557. 

  7.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최유현, 한혜숙(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8. 서영준, 한도윤, 손윤정, 허윤정, 김형범(2022). AR/VR을?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천문 영역을?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310-321. 

  9. 안종배(2017). 4차 산업혁명에서의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미디어와 교육, 7(1), 21-34. 

  10. 유상미, 김형범, 김용기, 김흥태(2021).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1), 33-47. 

  11. 이재준(2021). 융합교육 연구동향 분석. 한국교원대학교?석사학위논문, 충청북도. 

  12. 이화선, 표정민, 최인수(2014).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파일 검사(CPSPI)의 개발 및 타당화. 영재교육연구,?24(5), 733-755. 

  13. 정현도, 이효녕(2017).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과학 탐구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학회지, 41(3), 334-350. 

  14. 한국과학창의재단(2018). 2017년 융합인재교육(STEAM)?사업 성과분석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5. 한도윤, 김형범, 김흥태(2022). 가상현실(VR) 지질자료?개발을 통한 원격수업의 효과 분석: 지오빅데이터?오픈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1), 47-61. 

  16. 한신, 김용기 김형범(2019). 자연재해 주제를 활용한 창의융합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91-301. 

  17. 한신, 김형범, 이창환(2020).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2), 162-174. 

  18. Csikszentmihalyi, M., & Wolfe, R. (2000). New conceptions?and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a systems perspective for creativity in education. In?K. Heller, F. Monks, R. Sternberg, & R. Subotnik?(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p. 81-93). Oxford: Pergamon. 

  19. Laudan, R. (1987). From mineralogy to geology: The foundations of a science, 1650-1830. Chicago. Illinois:?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 Leo Kumar, S. P. (2019). Knowledge-based expert system?in manufacturing planning: State-of-the-art review.?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57(15-16),?4766-4790. 

  21. Orion, N. (1993). A modelfor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93(6), 325-331. 

  22. Orion, N., & Hofstein, A. (1994). Factorsthat influence?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31(10), 1097-1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