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동식크레인 작업의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 개발 (건설업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Standard Risk Indicators for the Prevention of Serious Accidents in Mobile Crane Operations (Focused on Construction Industry)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9 no.3, 2023년, pp.719 - 728  

최종국 (Railway Safety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종우 (Railway Safety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이동식크레인은 높은 사망률에 기여하는 기계로 최근 6년간(2016~2021) 사고사망사례 중 건설업 2,574건을 분석한 고위험요인(SIF)정보에서 이동식크레인의 사고는 총 61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현장의 안전대책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활용이 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를 제시하여 사고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전문가 면담과 사망사고 사례분석, 현장실태분석, 문헌조사를 통해 위험성평가의 4M방식의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현장 8개현장 위험성평가를 분석한 결과 재해예방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 방식의 개선방안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결론: 건설현장에서 표준 리스크 평가 지수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안전보건관계자 및 근로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재해감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Mobile cranes are machines that contribute to high mortality, and the High Risk Factor (SIF) information, which analyzed 2,574 accidental death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e past 6 years (2016~2021), resulted in a total of 61 mobile crane accidents. Despite safety measures in the fi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선행연구와 안전관리자의 인터뷰, 안전보건공단 연구보고서에 따라 건설현장에서 다양한 점검체크리스크와 안전대책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 조직에서 이행할 안전관리 역할을 쉽게 작성하고 공감할 수 있는 4M방식의 위험성평가 도구라고 판단하고 이 연구에서 표준 리스크평가지수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eavers, J.E., Moore, J.R. Rinehart, and Schriver, W.R. (2006). "Crane-related fatalities in the construction?industr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32, No. 9, pp. 901-910. 

  2. Choi, H.-J. (2022). Risk Assessment for Disaster Reduction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Doctoral?Dissertation, Sunmoon University, Asan, pp. 402-403. 

  3. Ho, J.-G. (2022). Equipment Safety and Mobile Crane, Gumi Library, Seoul. 

  4. Jeon, H.-W., Jeong, I.-S., Lee, C.-S. (2013). Risk Assessment to Reduce Construction Equipment Safety Accidents.?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Urban Architectur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Korea Institute of Civil?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Incheon. 

  5. Kim, J. (2022). Safety Improvement Plan through Mobile Crane Disaster Analysis. Master's Thesis, Ulsan?University, Ulsan, p. 1. 

  6. Kim, J.-C. (2014). A Study on the Hazard Analysis and Control of the Work for Mobile Crane. Master Dissertation,?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pp. 37-39. 

  7. Lee, J.-B. (2022). Analysis of Operation System Establishment Cases for Efficient use of Risk Assessment at?Construction Sites - H Focusing on Construction Company Cases. Doctoral Dissertation, Sunmoon University,?Asan, pp. 828-838. 

  8.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3). Industrial Accident High Risk Factors (SIF) Analysis Information.?Sejong. 

  9.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ules on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Article 132). 

  1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3). https://www.csi.go.kr/ 

  11.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2022). Review of Risk Assessment Participation Plans and Roles of All?Organizational Sectors at Industrial Sites (focusing on analysis of recent fatal accident cases), Ulsan, p. 49. 

  12. Seo, Y.B. (2018). Development of Mobile Crane Work Risk Index at Construction Sites. Master Dissertation,?Geumoh Engineering and Technology Graduate School of Industry. Gumi. 

  13. Waris, M., Mohd, S.L., Mohd, F.K., Arazi, I. (2014)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sustainable onsite construction?equip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Built Environment, Vol. 3, No. 1, pp. 96-1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