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건강플러스 마을사업의 건강주민운동으로의 발전요인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angwon's Health-Plus Community Program into the Health Community Organization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8 no.3, 2023년, pp.205 - 217  

박웅섭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준형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남준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지역 보건 및 복지 연구센터) ,  김수형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지역 보건 및 복지 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강원도 건강플러스 마을사업이 건강주민운동으로의 발전 과정과 강원도 건강플러스 마을사업의 시기별 특징을 분석하고 건강주민운동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요인을 도출하기 위하여 주민, 보건소 담당자, 트레이너들에 대한 심층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주제분석 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강원도 건강플러스 마을사업이 건강주민운동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 스스로 할 수 있다고 믿었다. 둘째, 이·통장이 아닌 일반 주민을 만났다. 셋째, 주민이 말하게 하는 교육과 긍정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넷째, 주민이 하고 싶은 사업에서 시작했다. 다섯째, 주민이 행동할 때까지 기다렸다. 여섯째, 기다린다는 것은 방관이 아니라 지속적인 동화 과정이다. 일곱째, 단기적 성과를 요구하지 않았다. 주민참여형 건강증진사업이 건강주민운동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도출된 발전요인을 참고한다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Gangwon's Health-Plus Community Program into the health community organization. Methods: Participa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8 individuals, including trainers, residents, and public health center officials. ...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27)

  1. WHO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of Health. 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health 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HO?press, 2008. 

  2. Yoon TH. Regional health inequalities in?Korea the status and policy tasks. J Crit?Soc Welf. 2010;(30):49-77. (Korean) 

  3. Heo HH, Son IS. A comparative case study?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health?programs in South Korea: Contextual?differences in community coalition formation?and intersectoral action. Health Soc Welf?Rev. 2020;40(1):271-96. (Korean) 

  4. Kim JR, Jeong BG, Park KS, Kang YS. The?mid-term outcome evaluation of community?organization: Three-year experience of?Health Plus Happiness Plus Projects in?Gyeongsangnam- do. J Agric Med Community?Health. 2014;39(3):146-60. (Korean) 

  5. Hong NS, Kim KY, Lee KS, Kim MH, Kim?EH, Park MA, Lee SJ, Kim JM. Effects and?challenges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health project of Gyeongsangbuk-do in?Korea. J Health Info Stat. 2020;45(2):200-7.?(Korean) 

  6. Lee DY, Kim CO, Lee YH, Choi MJ, Hwang?MJ, Heo HH, Ki M. The fruits and the?limitations of Seoul's community-based?participatory health program of "Building?Healthy Communities". Health Soc Welf?Rev. 2022;42(1):316-34. (Korean) 

  7. Korea Community Organization Network for?Education & Training. Community methodology.?Seoul, Korea Community Organization?Network for Education & Training, 2010,?pp.13-40 (Korean) 

  8. Hong JW, Park WS, Kim SA, Kim NJ.?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the health?community organization project in 148 village,?Gangbuk-gu, J Agric Med Community?Health. 2017;42(3):155-167. (Korean) 

  9. Minkler M. Community organizing and?community building for health and welfare.?New Brunswick Rutgers University Press,?2012, pp.37-52 

  10.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won-do?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group?report. Gangwon-do; 2019 (Korean) 

  11. Kim JH, Kim NJ, Kim SH, Park WS. Health?behaviors before and after health community?organization: Gangwon's Health-Plus?Community Program. J Prev Med Public?Health. 2023;56:1-8. 

  12. Patton MQ.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method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Sage publications; 2014. 

  13. Braun V, Clarke V. Using thematic analysis?in psychology. Qual Res Psychol. 2006;3(2):77-101. 

  14. Padgett DK.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work research. Sage publications; 2016. 

  15. Kim HS. Exploration of health care model?for citizen participation in ODA: Applicability?to medical social cooperative. Soc Econ?Policy Stud. 2021;11(2):123-52. (Korean) 

  16. Kim YG. A process model of the Pygmalion?effect in organizations: Unfolding mediating?roles of leadership and motivation. Korean?Leadersh Rev. 2020;11(4):99-121. (Korean) 

  17. Jeong SH. A study on the citizen's?participatory budgeting system of Seoul?metropolitan city: From the viewpoint of?participatory democracy. Civil Soc NGO.?2014;12(1):3-34. (Korean) 

  18. Park SH, Kim JE. Constructing 'Participating?Citizen': Urban regeneration activists and?changing state-civil society relation in?Seoul. Space Soc. 2018;28(3):48-81. (Korean) 

  19. Alinsky SD. Rules for radicals: A practical?primer for realistic radicals. Vintage; 1989. 

  20. Kim JH. The effects of leader's feedback?on the subordinates' resilience and?self-efficacy. Leadersh Res. 2014;5(2):3-37?(Korean) 

  21. Hong JW, Kim JH, Lee SH, Kim NJ, Park?WS. Success factors for the development?of health community organizing in: 148?village, Gangbuk-gu, Seoul. J Agric Med?Community Health. 2022;47(3):154-65.?(Korean) 

  22. Cho BH. The past and the current status?of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10;27(4):1-6. (Korean) 

  23. Chang SH. A study on the Alinsky's model?of community organizing the lessons from?the "Old Future" of community organizing.?Korean Reg Sociol. 2020;21(3):5-38.?(Korean) 

  24. Shin MH. Is it possible for social welfare?centers to engage in community organizing?movement? Korean Stud Q. 2012;35(2):69-99. (Korean) 

  25. Chang SH. How to organize local community?in the city? community organizing strategies?from the perspective of activists. Econ Soc.?2022;317-49. (Korean) 

  26. Kim JW. Responding to poverty and social?economy. Focusing on community movement?in poor areas. Econ Soc. 2015;106:171-204.?(Korean) 

  27. Heo HH.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approach to reducing health inequalities.?Health Welf Forum. 2018 Jun 1;2018(6):62-7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