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례보고> 건강격차 해결을 위한 주민참여형 보건사업: 주민자치회 중심 전략개발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Project to Reduce Health Disparity: Focusing on the Residents' Autonomy Council 원문보기

農村醫學&middot;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8 no.3, 2023년, pp.165 - 177  

홍남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건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신체활동 수준 격차의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 1) 중재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2) 중재모형 평가를 통해 지역 간 격차 해소 전략을 제시하였다. 취약지역 1개동을 선정하여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주민자치회를 기반으로 주민건강조직을 구성하고 역량강화 교육을 시행하였다. 리빙랩을 활용하여 주민건강조직 중심으로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하였다. 이러한 주민참여 활동을 바탕으로 주민자치회 건강행복분과를 신설하여 지속적인 사업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사업 평가를 통해서 주민자치회 건강분과를 중심으로 보건소, 주민센터 등이 협력하고, 보건영역과 공동체 영역에서 사업을 지원하는 사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민자치회가 주민건강조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주민참여나 자치활동과의 연계를 통해서 주민참여형 보건사업 전략이 활성화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aimed at reducing disparity of physical activity in urban community.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urban vulnerable area,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ommunity health organization through the residents' au...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1)

  1.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5th National Health Plan(HP2030). 2020.?p18-20(Korean) 

  2. Commission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Closing the Gap in a Generation: Health?Equity through Action on the Social?Determinants of Health. Geneva, World?Health Organization. 2008 

  3. Naidoo and Wills. Health promotion:?Foundation for Practice. 4Th edition. London.?Elsevier. 2016. p30 

  4. Whitehead, M. & Dahlgren G. (2006)Leveling?up(part1): a discussion paper on concepts?and principles for tacking social inequities?in health. Copenhagen: World Health?Organization 

  5. Kazutoshi Kitazawa, Showa Satoko, Hiraoka?Akira, et al, Effect of a Dual-Task Net-Step?Exercise on Cognitive and Gait Function in?Older Adults. Journal of Geriatric Physical?Therapy. 2015;38(3): 133-140 

  6. Rifkin SB. Examining the links between?community participation and health outcome:?a review of the literature. Health Policy?Plan. 2014;29(suppl_2): ii98-ii106 

  7. Hoon Chuah FL, Srivastava A, Singh SR,?et al. Community participation in general?health initiatives in high and upper-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exploring the nature of participation, use of?theories, contextual drivers and power?relations in community participation. Soc?Sci Med. 2018; 213:106-122 

  8. Hong NS, Kim KY, Lee KS, et al. Effects and?challenges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health project of Gyeongsangbuk-do province?in Korea. J Health Info Stat. 2020;45(2):200-207 

  9. Yim, J. (2017). Conceptual reconstruction?and challenges of public health care. Public?Health Affairs. 2017; 1(1): 109-127 

  10. Hong NS, Lee JH, Kim CH, et al. Standard work classification system of public health?center. Korean J Health Educ Promot.?2019;36(4): 23-29 

  11. JR Kim, B Jeong, KS Park, et al. The?Associations of Empowerment and Social?Capital with Self-Rated Health in?Communities with Poor Health. J Agric?Med Community Health 2012;37(3):131-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