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의 혁신과 지식창출에 관한 연구
Innovation and Knowledge Creation in Commissioned-service-type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4 no.3, 2023년, pp.35 - 52  

이윤석 (계명대학교 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혁신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의 특징을 바탕으로 혁신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지식창출을 위한 혁신의 주요 내용과 방향성을 탐색함으로서,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혁신을 위한 방향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혁신과제란 하나의 사업이자 공적 서비스이므로, 서비스의 혁신의 논의를 활용해 혁신과제 유형화를 위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고자 한다. 이론적 틀에 따르면 공공부문 혁신의 시작은 환경 및 사회적 가치의 변화를 탐색하는데서 시작한다. 이 과정을 통해 혁신의 목표와 방향은 물론이고 기관별 핵심역량과 연계된 혁신 과제를 설정하게 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제도적 조건과 해당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들은 자신들의 혁신과제 달성을 위한 노력을 확인하고, 자신이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 혁신의 추진여건을 진단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innovatio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innov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issioned-service-type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s. In addition, by exploring the main contents and directions of innovation for knowledge cr...

주제어

참고문헌 (34)

  1. 강정석, 권오성, 은재호, 황성원, 황혜신, 김윤수 (2005). 정부혁신의 이해: 참여정부의 혁신전략과 실천논리. 한국행정연구원, pp. 1-256. 

  2. 경찰청, 국토교통부 (2019). 안전속도 5030 설계.운영 매뉴얼. 

  3. 국회예산정책처 (2019). 2019 대한민국 공공기관. 

  4. 기획재정부 (2017). 2017년 협업 우수사례. 

  5. 기획재정부 (2022). '22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 

  6. 김난영 (2016). 공공조직 혁신 성과: 제도적 요인과 전략 요인을?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50(4), 169-210. 

  7. 라영재, 임미화, 이주경, 서영빈 (2018). 공공기관의 혁신방향과 실천방안. 한국조세재정연구원. 

  8. 신수행, 우윤석 (2021). 내부성과평가에 대한 구성원 인식이?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공기업사례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22(3), 91-112. 

  9. 윤경준, 유영철, 장현주 (2006). 혁신과제 추진상의 저해요인?분석. 한국행정연구원, pp. 1-160. 

  10. 이용필 (2016).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의 성과관리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1. 이종수 (2010). 탈신공공관리 (Post-NPM) 개혁 전략의 모색.?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1(1), 29-47. 

  12. 이지훈 (2015). 혁신활동 유형에 따른 슘페터 가설 연구-한국서비스산업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13. 전미나, 김미예, 한정수 (2022).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시니어 소비자의 디지털 소비여건 신뢰 형성 요인 연구. 지식경영연구, 23(4), 91-112. 

  14. 최성락 (2009). 서평: The new face of government: How?public managers are forging a new approach to?governance-David E. McNabb 저, CRC Press in Taylor?& Francis Group 2009년 3월 발간. ISBN: 978-1-4200-9387-2. 한국행정학보, 43(3), 327-330. 

  15. 한국관광공사 보도자료 (2020). 뉴노멀 시대 11대 선도사업. 

  16. 한국교통안전공단 (2018). TS 혁신계획. 

  17. Davidoff, P., & Reiner, T. A. (1962). A choice theory?of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Planners, 28(2), 103-115. 

  18. Denhardt, R. B., & Denhardt, J. V. (2000). The new?public service: Serving rather than steering. Public?Administration Review, 60(6), 549-559. 

  19. Dente, B., Bobbio, L., & Spada, A. (2005). Government?or governance of urban innovation? A tale of two cities.?DisP-The Planning Review, 41(162), 41-52. 

  20. Frederickson, H. G. (1996). Comparing the reinventing?government movement with the new public administration.?Public Administration Review, 263-270. 

  21. Gadrey, J. (2000). The characterization of goods and?services: An alternative approach. Review of Income?And Wealth, 46(3), 369-387. 

  22. Hippel, P. T. (2005). Mean, median, and skew: Correcting?a textbook rule.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13(2). 

  23. Hood, C. (1991). A public management for all seasons??Public Administration, 69(1), 3-19. 

  24. Kickert, W. J., Klijn, E. H., & Koppenjan, J. F. (Eds.).?(1997). Managing complex networks: Strategies for the?public sector. Sage. 

  25. Lapsley, I. (2008). The NPM agenda: Back to the future.?Financial Accountability & Management, 24(1), 77-96. 

  26. Lundvall, B. A. (1985). Product innovation and user-producer interaction. The Learning Economy and the?Economics of Hope, 19, 19-60. 

  27. Moe, R. C. (1994). The "reinventing government"?exercise: Misinterpreting the problem, misjudging the?consequence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54(2),?111-122. 

  28. Pollitt, C., & Bouckaert, G. (2004). Public management?reform: A comparative analysis. Oxford University?Press, USA. 

  29. Rubalcaba, L. (2006). Which policy for innovation in?services? Science and Public Policy, 33(10), 745-756. 

  30. Schumpeter, J. A. (1946). The decade of the twenties.?The American Economic Review, 36(2), 1-10. 

  31. Sundbo, J., & Gallouj, F. (2000). Innovation as a loosely?coupled system in services. International Journal of?Services Technology and Management, 1(1), 15-36. 

  32. Terry, L. D. (1998). Administrative leadership,?neo-managerialism, and the public management?movement.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194-200. 

  33. Van Ark, B., Broersma, L., & Den Hertog, P. (2003).?Services innovation, performance and policy: A review.?Research Series, 6, 1-63. 

  34. Vence, X., & Trigo, A. (2009). Diversity of innovation?patterns in services.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29(12), 1635-165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