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ubjects for Nurturing Autonomous Ship Officers Using Delphi Survey 원문보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v.39 no.3, 2023년, pp.33 - 46  

손장윤 ((주)크루플러스) ,  신용존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율운항선박은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여 선박 스스로 판단하고 운항하는 기능이 탑재되므로, 이를 운용하는 해기사의 직무도 변화하므로, 자율운항선박을 운항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해기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정에도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불확실한 미래 예측에 적합한 델파이 조사법을 활용하여 자율운항선 및 해기사 교육 부분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교육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델파이조사에서 식별된 현행 해기사 양성 61개 교과목 중에서 중요도가 높은 32개 교과목은 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 교육에서도 유지되어야 하고, 중요도가 낮은 교과목은 차차 폐지하거나 타 교과목에 통합되어야 할 것이다.현행의 해기사(항해사, 기관사) 양성 교육에서 식별된 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은 '일반과정'으로 통칭하고 항해분야 27과목, 기관분야 20과목, 행해·기관공통분야 14과목으로 분류하였다. 전문가 패널들에 의해 신규 제시된 42항목은 중요도 '상' 18항목, '중' 14항목, '하' 10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들 교과목에 대한 전문가 6인의 심층분석을 통하여 자율운항선박에 적용된 진보된 기술 및 정보의 이해를 위한 기초이론 등 기초역량 배양을 위한 '기초과정(10과목)', 자율운항선 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실무역량 배양을 위한 '직무과정(10과목)', 자율운항선 육상 원격운항자 양성을 위한 '심화과정(7과목)'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도입 및 확산이 급속히 진전될 것이므로 자율운항선박의 자율운항 수준을 반영하여 자율운항선 해기사 양성 교과목의 개발 및 보완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utonomous ships are equipped with a function to judge and navigate the sea conditions on their own, so the job of the ship officer who operates it changes. The educational curriculum to nurture ship officer with the ability to operate and manage autonomous ships must also be changed. This study...

주제어

참고문헌 (30)

  1. 김종건(2009), 조선 해양플랜트 산업 인재양성을 위한 설문조사를 통한 인력양성 방안제시, 경상대학교?석사논문.? 

  2. 강규홍(2018), IoT기반 스마트십 운항시스템 기자재, 대한조선학회지, 55(3), pp.26-28.? 

  3. 전영우.유명윤.문성혁.이영찬(2011), 1978 선원의 훈련.자격증명 및 당직근무의 기준에 관한 국제협약과 개정규정 : 영한대역: 2011 통합본, 부산 :?해인출판사.? 

  4. 김진수.정초영.김득봉(2020), 자율운항선박 개발에 따른?선원의 역할에 관한 고찰,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49.? 

  5. 김홍태.양영훈(2019), "자율운항선박의 개발 및 운용을?위한 육상 운항사의 인적요인 이슈 고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3(6), pp.395-402. 

  6. 부산해사고등학교(2021), 교육계획서.? 

  7. 안영중.이윤석(2018), 선박 자동화 수준에 따른 필요 해기능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50-152쪽.? 

  8. 안영중.이창희.김종관(2017),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선원재교육의 체계 개선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9(4), pp.1072-1082.? 

  9. 이선명.김선재(2020), 자율운항선박, KISTEP 기술동향브리프 2020-06호.? 

  10. 이윤석(2018), Special Report - 자율운항선박(MASS) 개발동향 분석, TTA저널, 178, pp.20-26.? 

  11. 이재영(2019), 자율운항선박의 개발동향 및 쟁점분석을 통한 정책적 제언, 해운물류연구, 35(1), pp.73-91쪽.? 

  12. 이정경(2022), 상선 해기사 수급 예측과 인력부족 진단?및 대응 분석,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창희.윤귀호.홍정혁(2019), 선원 4.0시대에 적합한 새로운 선원교육훈련 체계에 대한 연구 -자율운항?선박을 중심으로-,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5(6),?pp.726-734.? 

  14. 임성주(2021), 자율운항선박 도입에 따른 선원직능 변화와?인력양성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전영우.신용존.김태균.홍성화.이창희.조소현.배후석.김기선(2020), 차세대 해기전문인력 육성 필요성과 방안 연구, 한국선주협회.한국해운조합.?한국선박관리산업협회.전국해상선원노동조합연맹.한국해기사협회.? 

  16. 조소현(2018), 시스템다이나믹스를 이용한 자율운항선박의?기술발전에 따른 한국해양산업인력의 규모와 구조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채종주.강석용.김창우.안영중(2019), 자율운항선박 기술 발전과 운용자에게 필요한 해기능력 분석에?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31(3), pp,903-912.? 

  18. 최윤원(2018), 해기능력 분석을 통한 자율운항선박의 항해사 역할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한민수.윤익현.이창현(2020), 자율운항선박과 선원 교육, 해양환경안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 한국해양수산연수원(2022), 훈련과정별 계획서.? 

  21. 해양수산부(2021), 해양수산부 지정교육기관.? 

  22. D'agostini Enrico.류동근.조소현(2017). 무인화 선박에?대한 한국 선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1(6), pp.381-388.? 

  23. Grzybowska, Katarzyna and Anna Lupicka(2017), Key?competencies for Industry 4.0, Economics &?Management Innovations, 1(1), pp.250-253.? 

  24. IMO(2018), Framework for the Regulatory Scoping?Exercise, MSC 100/20/Add.1 Annex 2.? 

  25. IMO(2018), Regulatory Scoping Exercise for the use of?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Report of?the working Group, pp.1-7.? 

  26.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Maritime Universities?[IAMU](2018). A future Global Maritime?Professional: Competencies, Knowledge?Domains, Skills, Attitudes & Others.? 

  27. Kadir Cicek, EmreAkyuz, Metin Celik(2019), Future?Skills Requirements Analysis in Maritime?Industry.? 

  28. Sohyun Jo, Enrico D'agostini, Jun Kang(2020), From?Seafarers to E-farers: Maritime Cadets'?Perceptions Towards Seafaring Jobs in the?Industry 4.0, Sustainability, 12(19), 8077.? 

  29. 목포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홈페이지, 교육과정,?https://www.mmu.ac.kr/main/contents/navalInfo01, 2022.6.? 

  30.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항해융합학부, 해사인공지능.보안학부, 기관시스템공학부 교육과정,?https://www.kmou.ac.kr/maritime/main.do. 20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