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력 활동을 활용한 4, 5세 유아 사회성 프로그램 「버디톡」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Buddy TOC': A Sociability Program for 4- and 5-Year-Old Children through Cooperative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9 no.5, 2023년, pp.81 - 106  

김보들맘 (한길교육연구소) ,  권연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진재 (푸르니보육지원재단) ,  윤상인 (푸르니보육지원재단) ,  임수경 (한길교육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ciability program for young children (Buddy TOC), consisting of cooperative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children's sociability, such as empathy, self-regul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Method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46)

  1.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 권효진 (2016). 사회 정서적 보드게임 놀이가 만 4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대인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영옥, 오숙현 (2001). 유아협동활동의 현장적용: 미술협동작업의 형태와 구성. 양서원. 

  4. 김우영, 김영옥 (2014). 명화감상을 활용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유아교육연구, 34(3), 263-290.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3.013 

  5. 김유경, 손원경 (2006). LT 협동학습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15(1), 89-106. 

  6. 박교연 (2021). 공감적 소통 프로그램 설계와 교육 효과 분석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미정, 엄정애 (2017). 유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2(3), 25-46. https://doi.org/10.16978/ecec.2017.12.3.002 

  8. 서미옥 (2004).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23-242. 

  9. 손복영 (2017). LT 협동학습을 활용한 배려교육이 유아의 배려행동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9), 195-222. https://doi.org/10.22251/jlcci.2017.17.9.195 

  10. 신슬아 (2018). 유아 주도적 협동게임이 유아의 주도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유림, 문혁준, 나종혜, 박진옥, 서소정, 신혜영 등 (2019). 놀이지도(4판). 창지사. 

  12. 신은수 (1993). 유아교육의 교수방법으로서 협동학습활동이 유아에게 미치는 교육적 효과. 유아교육연구, 13(1), 133-147. 

  13. 안부금 (2004). 또래협력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추론능력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9(2), 45-63. 

  14. 안정은, 이효빈, 권연희 (2019).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3), 61-81.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061 

  15. 양새롬, 김성희, 김성현 (2013). 미술요소 중심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성, 언어능력,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 31(1), 207-235. 

  16. 염연정 (2009). 글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적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및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이수기 (2005).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수진 (2012). 또래협동 신체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슬아, 권석만 (2017). 자기조절의 이론적 접근과 심리장애와의 관계: 경험적 연구에 근거한 객관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6(1), 1-37. https://doi.org/10.22257/kjp.2017.03.36.1.001 

  20. 이영애 (2019). 아이의 사회성. (주)DKJS. 

  21. 이인원, 최기영 (2006). 또래협동 음악극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77-99. 

  22. 이화원, 손은령 (2019). 동화를 활용한 협동적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4), 27-50. https://doi.org/10.22155/JFECE.26.4.27.50 

  23. 정하나 (2015). 극화놀이를 통한 유아공감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정현정 (2014). 따돌림 동화를 활용한 역할극이 만 4세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조재현, 김영희 (2017). 유아의 사회성발달과 정서발달에 관련된 변인의 메타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3), 253-275. https://doi.org/10.22155/JFECE.24.3.253.275 

  26. 조주홍 (2019). 만 4세 유아의 협력적 신체활동의 효과적인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영유아교육:이론과 실천, 4(1), 103-124. https://doi.org/10.20926/ETPIYC.2019.4.1.5 

  27. 지성애 (2017). 자기조절에 기반한 유아 사회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1(6), 309-339. 

  28. 천우영 (2016). 교사용 유아 공감능력검사도구의 개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최혜진, 김선영 (2015).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공감능력이 대인관계형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0(5), 323-346. 

  30. 푸르니보육지원재단 (2016). 3-4세 푸르니 보육프로그램. 다음세대. 

  31. 푸르니보육지원재단 (2019). 5세 푸르니 보육프로그램. 다음세대. 

  32. Bodrova, E., & Leong, D. J. (1995). Tools of mind: A Vygotskyian approach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ntice Hall. 

  33. Bronson, M. M. (2000). Self-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The Guilford Press. 

  34. Carver, C. S., & Scheier, M. F. (2016). Self-regulation of action and affect. In K. D. Vohs & R. F. Baumeist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3rd ed., pp. 3-23). Guilford Press. 

  35. Davis, M. H. (1994). Empathy: A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Brown & Benchmark. 

  36. Domitrovich, C. E., Cortes, R. C., & Greenberg, M. T. (2007). Improving young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A randomized trial of the preschool "PATHS" curriculum.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 28(2), 67-91. https://doi.org/10.1007/s10935-007-0081-0 

  37. Gordon, M. (2010). 공감의 뿌리(문희경 옮김). 샨티. (원판 2005). 

  38. Gresham, F. M., & Elliott, S. N. (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social skills: Issues in definition and assessment.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21(1), 167-181. https://doi.org/10.1177/002246698702100115 

  39. Howe, D. (2013). 공감의 힘(이경진 옮김). 지식의 숲. (원판 2012). 

  40. Johnson, D. W., & Johnson, R. T. (2013). The impact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environments on achievement. In J. Hattie & E. Anderman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student achievement (pp. 372-374). Routledge. 

  41. Katz, L. C., & McClellan, D. E. (2001). 어린이들의 사회적 능력 배양: 교사의 역할(홍용희 옮김). 양서원. (원판 2000). 

  42. Kostelnik, M. J., Soderman, A. K., Whiren, A. P., Rupiper. M. L., & Gregory, K. M. (2017). 영유아 사회정서발달과 교육(박경자, 김송이, 신나리, 권연희, 김지현 옮김). 교문사. (원판 2015). 

  43. Leary, M. R., & Guadagno, J. (2011). The sociometer, self-esteem, and the regulation of interpersonal behavior. In K. D. Vohs & R. F. Baumeist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pp. 339-354). Guilford Press. 

  44. Shaffer, D. R. (2008).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 Cengage Learning. 

  45. Whitebread, D., Coltman, P., Pasternak, P. D., Sangster, C., Grau, V., Bingham, B., et al. (2009). The development of two observational tools for assessing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young children. Metacognition and Learning, 4(1), 463-485. https://doi.org/10.1007/s11409-008-9033-1 

  46.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