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붕괴사고 현장조사를 위한 드론 LiDAR 활용
Utilization of Drone LiDAR for Field Investigation of Facility Collapse Accident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9 no.5/1, 2023년, pp.849 - 858  

정용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임언택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석재욱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구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  김성삼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재난원인조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진, 산사태와 같은 재난사고현장에서 조사업무는 시설물 붕괴 등 2차 재난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많은 위험이 따른다. 이처럼 조사자가 직접 접근하기 힘든 재난현장에서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가 탑재된 드론 측량시스템을 통해 고정밀의 3차원 재난정보를 안전하게 취득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3년 4월 성남시 분당구의 정자교 붕괴사고 현장을 대상으로 드론 LiDAR의 재난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사고 교량에 대한 고밀도 포인트 클라우드를 수집하고, 사고 교량을 3차원 지형정보로 복원하여 10점의 지상기준점 측량 성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평방향으로의 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0.032 m, 수직방향으로 0.055 m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상 LiDAR를 통해 같은 대상지를 측량하여 생성한 포인트 클라우드와 비교한 결과, 수직방향으로 약 0.08 m가량의 오차가 발생하였지만 전체적인 형상은 큰 차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데이터 취득과 자료 처리 시간 측면에서 드론 LiDAR가 지상 LiDAR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많은 위험이 따르는 재난현장에서 드론 LiDAR의 활용을 통해 안전하고 신속한 현장 조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vestigating disaster sites such as earthquakes and landslides involves significant risks due to potential secondary disasters like facility collapse. In situations where direct access is challenging, there is a need to develop methods for safely acquiring high-precision 3D disaster information usi...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둘째, 드론 LiDAR와 기준자료로 지상 LiDAR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점밀도와 위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생성 포인트는 약 7.
  • 드론은 교량에 근접하여 수동으로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약 18분간 비행하였다. 취득한 데이터를 전용 SW인 DJI TERRA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Fig.
  • 정자교는 캔틸레버 구조의 보도부 부분이 떨어져 나가면서 인명피해가 발생한 붕괴사고로, 국토안전관리원 사고조사위원회의 사고조사 결과보고서에서는 교면 포장 직하부의 콘크리트와 캔틸레버부 인장철근 사이의 부착력 상실이 붕괴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LiDAR를 활용하여 붕괴사고 교량의 현황 측량을 실시하였다.
  • 2023년 4월 성남시 분당구의 정자교에서 캔틸레버(cantilever) 구조의 보도부의 일부가 붕괴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인명피해까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LiDAR를 활용하여 붕괴사고가 발생한 교량을 측량하였고, 취득한 데이터를 처리과정을 거쳐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생성한 포인트 클라우드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10개의 지상기준점을 설치하였고 그 성과와 비교하였다.
  • 연구에 활용한 LiDAR와 카메라는 두 센서 간의 시스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된 플랫폼이지만 스캔 현장의 상태에 따라 영상이 포인트 클라우드에 정확하게 정합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런 경우, 영상-포인트 클라우드 이종 데이터간 수동정합을 통해 정확하게 자료를 융합(geo-referencing)하는 작업을 수행했으며, 이후 전체 포인트 클라우드에서 발생한 노이즈 제거 및 관심영역 추출을 통해 데이터를 정제하여 드론 LiDAR 데이터 검증의 기준으로 활용하였다.
  • 데이터 취득을 위해 활용한 드론은 DJI Matrice 300 RTK로 실시간 위치 정보를 포함한 포인트 클라우드의 취득이 가능하다. 이에 사전에 설치한 10개의 지상기준점의 좌표를 통해 드론 LiDAR의 위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Table 3은 검사점 10개에 대해 Trimble R10을 통해 취득한 좌표 데이터와 드론 LiDAR를 통해 생성한 포인트 클라우드의 좌표를 비교한 것이다.
  • 전체 포인트 클라우드 중 붕괴사고가 발생한 교량에 대한 포인트 클라우드만 추출하였으며, 각 시설물의 재질 등에 따라 발생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붕괴가 발생한 지점을 실제 영상과 비교하였다. Fig.
  • 취득한 드론 LiDAR의 포인트 클라우드의 현장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Regle VZ-2000 지상 LiDAR 측량성과를 기준 자료로 하여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VZ2000은 RGB 영상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Nikon D800 카메라와 스캐닝 대상체에 절대좌표를 취득하는 Trimble R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Fig.

대상 데이터

  • 드론의 세부적인 사양은 Table 1과 같다. 본 모델은 자체적으로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RTK 모델로서 RTK 포지셔닝 정확도가 수평 1 cm + 1 ppm, 수직 1.5 cm + 1 ppm이다.
  • 때문에 2지점 이상의 스캔 지점을 정합하는 과정을 통해 결측 구간을 보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전체적인 교량을 스캔하기 위해 13개의 스캔 지점을 선정하였고 각 지점의 위치는 Fig. 3과 같다.
  • 본 연구의 대상지는 2023년 4월에 발생한 성남시 분당구 정자교 붕괴사고현장이다. 정자교는 1993년에 건설된 교각으로 캔틸레버 구조의 교량이다.
  • 1)는 쿼드콥터(quadcopter)기체로 GPS 및 IMU가 탑재되어 있어 수동뿐만 아니라 자동비행 임무 수행이 가능하다. 이 기체에 LiDAR 센서인 Zenmuse L1을 탑재하여 교량을 측량하였다. 드론의 세부적인 사양은 Table 1과 같다.
  • LiDAR의 거리측정 정확도는 3 cm @ 100 m로 최대 반사 3회, 레이저 안전 1등급의 사양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Zenmuse L1을 활용하여 교량의 전체적인 모습을 측량하기 위해 약 18분정도 수동비행을 실시하였으며, 취득한 데이터는 전용 SW인 DJI TERRA를 사용하여 3차원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 본 연구의 대상지는 2023년 4월에 발생한 성남시 분당구 정자교 붕괴사고현장이다. 정자교는 1993년에 건설된 교각으로 캔틸레버 구조의 교량이다. 중앙의 도로부를 두고 양 쪽으로 캔틸레버 구조의 보도부로 형성되어 있다.
  • 드론 LiDAR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상 LiDAR의 포인트 클라우드와 비교를 수행하였다. 지상 LiDAR로 취득한 데이터 역시 교량을 제외한 데이터 및 노이즈 제거를 수행하여 교량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하였다. 생성된 포인트 클라우드를 Table 4와 같이 설치하였던 10개의 지상기준점 중에서 지상 LiDAR의 포인트 클라우드에서 확인이 가능한 5개의 검사점 성과와 비교한 것이다.

데이터처리

  • 드론 LiDAR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상 LiDAR의 포인트 클라우드와 비교를 수행하였다. 지상 LiDAR로 취득한 데이터 역시 교량을 제외한 데이터 및 노이즈 제거를 수행하여 교량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드론 LiDAR를 활용하여 붕괴사고가 발생한 교량을 측량하였고, 취득한 데이터를 처리과정을 거쳐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생성한 포인트 클라우드의 정확도를 확인하기 위해 10개의 지상기준점을 설치하였고 그 성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지상 LiDAR로 생성한 포인트 클라우드와 비교하여 드론 LiDAR가 재난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드론은 교량에 근접하여 수동으로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약 18분간 비행하였다. 취득한 데이터를 전용 SW인 DJI TERRA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Fig. 4와 같이 붕괴사고 교량의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하였다.

이론/모형

  • LiDAR 데이터의 처리는 VZ-2000의 전용 SW인 Riscan Pro를 활용하였다. LiDAR 스캔과 함께 취득된 영상정보를 통해 점군에 RGB 값을 적용하여 붕괴 이후 교량의 현황을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Kim, K. S., 2010. Health hazards in firefighters. Hanyang?Medical Reviews, 30(4), 296-304. https://doi.org/10.7599/hmr.2010.30.4.296 

  2. Kim, H. G., 2023. A study on the use of small commercial?drones for facility safety inspection. Master's?thesis, The University of Suwon, Hwaseong,?Republic of Korea. 

  3. Kim, M. G., 2011. Analysis of readjustment survey data by?using VRS: Focused on housing land development?district in Gyeonggi province. Master's thesis,?Myongji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4. Kim, S. S., Suk, J. W., Lim, U. T., Jung, Y. H., and Koo,?S., 2023. Quality assessment of three dimensional?topographic and building modelling using high-performance RTK drone. Journal of the Korea?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4(5),?11-19. https://doi.org/10.5762/KAIS.2023.24.5.11 

  5. Kim, Y. K., Jang, H. S., Choi, Y. J., and Sohn, H. G., 2015. Disaster classification for optimal disaster?respons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of Hazard Mitigation, 15(6), 179-188.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6.179 

  6. Lee, H. J., and Cho, G. S., 2017. Comparative accuracy?of terrestrial LiDAR and unmanned aerial vehicles?for 3D modeling of cultural properties. Journal?of Cadastre & Land InformatiX, 47(1), 179-190.?https://doi.org/10.22640/lxsiri.2017.47.1.179 

  7.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3. National Disaster?and Safety Portal. Available online: http://safekorea.go.kr/ (accessed on July 1, 2023). 

  8. Park, J. C., and Hong, S. E., 2022. Extraction methods?of land boundary using drone LiDAR. Journal?of the Korean Society of Cadastre, 38(2), 135-145. https://doi.org/10.22988/ksc.2022.38.2.011 

  9. Park, J. H., and Park, J. K., 2015. Focusing on cases?using drones - Agricultural disasters, crop?classification, etc. -. Magazine of the Korean?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7(3), 20-27. 

  10. Park, J. K., and Jung, K. Y., 2021. Accuracy evaluation of?earthwork volume calculation according to terrain?model generation method.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and Cartography, 39(1), 47-54. https://doi.org/10.7848/ksgpc.2021.39.1.47 

  11. Park, J. K., and Um, D. Y., 2020. Usability evaluation of?the drone LiDAR data for river surveying. Journal?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Society, 21(5), 592-597. https://doi.org/10.5762/KAIS.2020.21.5.5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