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측량을 위한 드론라이다 데이터의 활용성 평가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rone LiDAR Data for River Survey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5, 2020년, pp.592 - 597  

박준규 (서일대학교 토목공학과) ,  엄대용 (한국교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하천측량은 주로 토털스테이션이나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이용하여 하천의 종단 및 횡단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는 최근 전국 주요하천에 드론을 기반으로 한 하상변동조사 및 하천측량 시범사업을 착수하였다. 하천측량과 관련된 연구는 지상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활용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대상물의 선형을 추출하거나 토털스테이션 측량 성과와 비교를 통한 정확도 평가가 이루어 졌다. 하지만 드론 라이다를 활용한 연구나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한 하천측량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측량을 위한 드론라이다 데이터의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수목과 기타 지물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지면에 대한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3차원 공간정보를 생성하였으며, GNSS를 이용한 검사점의 측량성과와 비교를 통해 0.008~0.048m의 차이를 나타내어 하천측량을 위한 드론 LiDAR 데이터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드론 LiDAR 데이터는 대상지역 전체에 대한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로 대상지역에 대한 측량성과의 누락으로 인한 음영지역도 줄일 수 있을 것이며, 실제 하천지형의 형상을 보다 정밀하게 나타낼 수 있어 횡단도면의 생성뿐만 아니라 대상지에 대한 면적, 경사 등 다양한 분석이 가능하여 지형분석에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river survey data is mainly performed by acquiring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data of rivers using total stations or the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here is not much research that addresses the use of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systems for surveying rivers. Thi...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드론 라이다를 활용한 연구나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한 하천측량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드론 라이다를 활용하여 하천측량을 위한 데이터를 취득하고, 데이터 처리 및 분석을 통해 드론 라이다 데이터의 하천측량 활용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측량은 무엇인가? 하천은 지표면에 내린 빗물 등이 모여 흐르는 물길을 의미하며, 하천법의 구분에 따라 국가하천 또는 지방하천으로 구분된다[1-3]. 하천측량은 하천의 형상, 수위, 단면, 구배 등을 측정하여 하천의 평면도, 종횡단면도를 작성하고, 수류의 방향, 유속 유량, 부유물, 기타 구조물을 조사하여 각종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측량이다[4,5]. 현재 하천측량은 주로 토털스테이션이나 GNSS를 이용하여 하천의 종단 및 횡단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으로 수행되고 있다[6].
항공기 또는 드론에 탑재되는 LiDAR는 어떤 방식인가? GNSS 기술과 INS(Inertial Navigation System) 의 발달, 컴퓨터의 발전은 LiDAR의 상업화를 이끌었고, 다양한 플랫폼의 개발로 항공기와 위성에 탑재되기 시작 하였으며, 최근에는 드론에 탑재가 가능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항공기 또는 드론에 탑재되는 LiDAR는 레이저 센서를 장착하여 레이저를 지표에 주사하고 반사된 레이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대상 지점의 3차원 위치성과를 계산하는 방식이다[13]. LiDAR를 통해 취득되는 데이터는 수많은 점으로 이루어진 포인트클라우드 형태의 데이터 이며,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 H. Choi, T. J. Jung, K. W. Jun, "Analysis of Hydraulic Impacts due to Sudden Enlargement of Kyungpo-cheon River Chann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ol.12, No.2, 2019, pp. 35-45. DOI: https://doi.org/10.21729/ksds.2019.12.2.35 

  2. H. K. Lee, S. W. Lyu, "Implementation of a Kinematic Network-Based Single-Frequency GPS Measurement Model and Its Simulation Tests for Precise Positioning and Attitude Determination of Surveying Vessel",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33, No.2, 2015, pp. 131-142. DOI: http://dx.doi.org/10.7848/ksgpc.2015.33.2.131 

  3. S. R. Lee, G. J. Lee, J. H. Han, D. J. Lee, J. G. Kim, K J. Lim, "Analysis of the Effect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n Seomgang and South Han River by Securing the Flow during the Dry Seas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61, No.2, 2019, pp. 25-39. DOI: https://doi.org/10.5389/KSAE.2019.61.2.025 

  4. M. K. Chung, C. J. Kim, K. H. Choi, D. K. Chung, Y. I. Kim, "Development of LiDAR Simulator for Backpack-mounted Mobile Indoor Mapping System",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35, No.2, 2017, pp. 91-102. DOI: https://doi.org/10.7848/ksgpc.2017.35.2.91 

  5. H. L. Park, J. W. Choi, J. H. oh, "Seasonal Effects Removal of Unsupervised Change Detection based Multitemporal Imagery",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36, No.2, 2018, pp. 51-58. DOI: https://doi.org/10.7848/ksgpc.2018.36.2.51 

  6. H. K. Sung, K. S. Chong, C. N. Lee, "Accuracy Analysis of Low-cost UAV Photogrammetry for Road Sign Positioning",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37, No.4, 2019, pp. 243-251. DOI: https://doi.org/10.7848/ksgpc.2019.37.4.243 

  7. K. D. Lee, S. H. Jung, K. H. Lee, Y. S. Choi, M. S. Kim, "Mobile Mapping System Development Based on MEMS-INS for Measurement of Road Facility",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36, No.2, 2018, pp. 75-84. DOI: https://doi.org/10.7848/ksgpc.2018.36.2.75 

  8. Y. H. Choi, S. M. Yeon, H. J. Kim, D. Y. Lee, "Extreme Value Analysis of Statistically Independent Stochastic Variables",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33, No.1, 2019, pp. 222-228. DOI: https://doi.org/10.26748/KSOE.2018.093 

  9. D. J. Shin, J. H. Park, J. H. Kim, K. J. Kwak, J. M. Park, J. J. Kim, "Big Data-based Sens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for IoT Environment",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19, No.1, 2019, pp. 117-126.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9.19.1.117 

  10. E. G. Park, J. H. You, H. J. Lee, "The Planning and Design of Urban Streams Based on 3D Terrain Model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23, No.2, 2015, pp. 59-67. DOI: http://dx.doi.org/10.7319/kogsis.2015.23.2.059 

  11. B. H. Kang, "Real-time Tele-operated Drone System with LTE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19, No.6, 2019, pp. 35-40.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9.19.6.35 

  12. Y. K. Oh, "A Study on the Survey Methodology in Riverbed Private Use using Integration Drone Photogrammetry and Cadastral Information",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ol.47, No.2, 2017, pp. 135-144. DOI: https://doi.org/10.22640/lxsiri.2017.47.2.135 

  13. J. K. Kim, Y. J. Chung, "A Study on Routing Protocol for Multi-Drone Communicati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19, No.6, 2019, pp. 41-46.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9.19.6.41 

  14. Regulation of Technology Service enterprise, [Internet].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 (accessed December, 23,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