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침수 시 도로네트워크가 도시회복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Road Networks on Urban Resilience in Flooding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6 no.2, 2023년, pp.85 - 98  

박형준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동현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현중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이승오 (홍익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수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빈번한 자연재해 중 하나로, 국내의 경우 지구온난화의 진행, 불투수면적의 증가, 기존 시가지 내 치수시설 확충의 한계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도시침수 발생 확률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도시침수 방지를 위한 설계홍수량의 상향 및 대규모 토목공사는 사회·경제적으로 전 국민적인 동의를 받기 어렵다. 따라서 자연재해에 대해 지역공동체가 사회·경제적으로 감당 가능한 수준으로 대비를 하되, 신속한 복구를 통해 재해 이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능력인 회복도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도시회복도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지만 도시의 필수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라이프라인과 연관된 회복도 측정법은 미비한 상황이다. 특히 라이프라인 중 도로네트워크는 자연재해 발생 시 복구자원 수송과 신속한 복구를 진행하기 위한 중요한 시설인 만큼 도로네트워크는 도시의 회복도를 측정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주요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회복도 특성 및 도로네트워크 기반의 회복도 평가법을 제시하고 도로네트워크가 도시회복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od is one of the most frequent natural disasters worldwide. In Korea, the probability of urban flooding is greatly increasing due to complex factors such as global warming, an increase in impervious areas, and limitations in expanding water supply facilities in existing urban areas. However, larg...

Keyword

표/그림 (12)

참고문헌 (30)

  1. Bruneau, M., S. E. Chang, R. T. Eguchi, G. C. Lee, T. D. O'Rourke, A. M. Reinhorn, M. Shinozuka, K. Tierney, W. A.?Wallace, and D. Von Winterfeldt. (2003). A Frame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and Enhance the Seismic Resilience?of Communities. Earthquake Spectra. 19(4): 733-752.? 

  2. Burton, C. G. (2012). The Development of Metrics for Community Resilience to Natural Disasters. Doctoral Dissertation.?University of South Carolina.? 

  3. Campanella, T. J. (2006). Urban resilience and the recovery of New Orlean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2): 141-146.? 

  4. Choi, Byungseon. (1994). Modern Society and Risk Management; Risk Problem Characteristics and Strategic Response.?Th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3(4): 4027-4049.? 

  5. Cutter, S. L., C. G. Burton, and C. T. Emrich. (2010). Disaster Resilience Indicators for Benchmarking Baseline Conditions.?Journal of Homeland Security and Emergency Management. 7(1): 51.? 

  6. Cutter, S. L., L. Barnes, M. Berry, C. Burton, E. Evans, E. Tate, and J. Webb. (2008). A Place-Based Model for Understanding Community Resilience to Natural Disasters. Global Environmental Change. 18(4): 598-606.? 

  7. Folke, C., S. R. Carpenter, B. Walker, M. Scheffer, T. Chapin, and J. Rockstrom. (2010). Resilience Thinking: Integrating?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Ecology and Society. 15(4): 20.? 

  8. Godschalk, D. R. (2003). Urban Hazard Mitigation: Creating Resilient Cities. Natural Hazards Review. 4(3): 136-143.? 

  9. Holling, C. S. (1973).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4(1):?1-23.? 

  10.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2021).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Working Group 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eneva: IPCC.? 

  11. 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 (2012). https://issuu.com/resilientcities. Toronto: ICLEI.? 

  12. Jeon, Eunyeong and Byungseol Byun.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mmunity Resilience?Evaluation Indicators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51(1): 47-58.? 

  13. Kang, Jeongeun, Cheongil Kim, Hansaem Kim, Donggeun Yoon, Saebyeol Yoon, Youngbae Yoon, Seunghyun Jeong,?Jucheol Jeong, Sungyoon Jo, and Wooseok, Han. (2022). Disaster and Urban Resilience. Urban Information Service.?487: 8-16.? 

  14. Kim, Kyeongtak, Juhun Kim, Yunseok Choi, Gilho Kim, Cheonkyu Choi, and Seungjin Hong. (2019). Development of a?Direct Damage Evaluation Method and Damage Function for Tangible Assets: Development of Damage Calculation?and Prediction Techniques Considering Direct and Indirect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Inha University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Division.? 

  15. Kim, Seong Soo. (2022). Is Permeable Concrete Pavement Effective in Reducing Urban Flooding?. Magazine of the Korea?Concrete Institute. 34(5): 20-22.? 

  16. Manyena, S. B. (2006). The Concept of Resilience Revisited. Disasters. 30(4): 434-450.? 

  17. Marsh, G., P. Buckle, and S. Smale. (2001). The Concept of Community in Community Capability and Disaster Management.?Australian Journal of Emergency Management. 16: 5-7.? 

  18. Mayunga, J. S. (2009). Measuring the Measure: A Multi-Dimensional Scale Model to Measure Community Disaster?Resilience in the U.S. Gulf Coast Region. Doctoral Dissertation. Texas A&M University.? 

  19. Ministry of Environment. (2020). http://www.me.go.kr/home/web/board/read.do?boardMasterId1&boardId1398830&menuId286. Sejong: ME.? 

  20.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05). Flood Control Economic Survey Manual. Tokyo: MLIT.? 

  2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23). Local Finance Act Article 22 Paragraph 2. Sejong: MOIS.? 

  22. National Fire Agency. (2022). Rules for Emergency Rescue Response Activities and On-Site Command. Sejong: NFA.? 

  23. Nelson, D. R., W. N. Adger, and K. Brown. (2007).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nge: Contributions of a Resilience?Framework.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32: 395-419.? 

  24.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4). Guidelines for Resilience Systems Analysis. Paris:?OECD.? 

  25. Pelling, M. (2003). The Vulnerability of Cities: Natural Disasters and Social Resilience. Earthscan.? 

  26. Rose, A. (2007). Economic Resilience to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Multidisciplinary Origins and Contextual?Dimensions. Environmental Hazards. 7(4): 383-398.? 

  27. Timmerman, P. (1981). Vulnerability, Resilience and the Collapse of Society. Environmental Monograph No. 1. Institute for?Environmental Studies, Toronto University.? 

  28. Vugrin, E. D., D. E. Warren, M. A. Ehlen, and R. C. Camphouse. (2010). A Framework for Assessing the Resilience of?Infrastructure and Economic Systems. Sustainable and Resilient Critical Infrastructure Systems: Simulation, Modeling,?and Intelligent Engineering. 77-116.? 

  29. Wildavsky, A. B. (1988). Searching for Safety (Vol. 10). Transaction Publishers.? 

  30. Yook, Donghyung. (2019). Plans for Selection, Operation,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saster Prevention Roads?for Effective Response to Disaster Situations. KRIHS Policy Brief. 716: 1-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