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서해안 곰소만 갯벌의 수심 및 지형 변화
Bathymetric and Topographic Changes of the Gomso-Bay Tidal Flat,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9 no.6, 2023년, pp.552 - 561  

장진호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김영길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이명선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중부 서해안의 곰소만에서 조하대의 수심측량과 갯벌의 고도측량을 통해 곰소만의 해저지형을 조사하였다. 곰소만은 80%의 갯벌과 20%의 조하대로 구성되며, 만의 중앙부를 가르는 주진천 하구수로에 의해 외만과 내만으로 나뉜다. 외만 갯벌은 조류로가 거의 없고, 지형단면이 위로 오목하며, 쉐니어와 조간대사주가 발달하는 특징을 보여 파랑의 영향을 받는 경사가 완만한 침식해빈의 모습과 유사하다. 내만 갯벌은 고도가 높아 상부갯벌과 중부갯벌이 넓고, 조류로 시스템이 잘 발달하며, 조류로 사이의 지형단면이 위로 볼록한 특징을 보여 조석과 조류로 작용이 활발한 퇴적 우세 환경임을 나타낸다. 곰소만 갯벌에서 1981년과 2018년 사이의 등수심선 변화를 조사하여 갯벌환경의 수평적 이동을 분석한 결과, 곰소만 갯벌환경이 점차 내만 쪽(육지 방향)으로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곰소만의 수심 변화가 침식 및 퇴적에 따른 해저의 고도 변화와 해수면 변화(1.49mm/y)에 기인한 것으로 가정하고 곰소만의 침·퇴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지난 37년(1981-2018) 동안 외만에서는 평균 1cm가 침식되었고(0mm/y), 내만에서는 평균 50cm가 퇴적되었다(14mm/y). 특히 작은 침식이 일어난 외만 갯벌에서는 상부갯벌이 크게 침식되었는데, 이곳 해안을 모니터링한 사진들은 외만의 상부갯벌 침식이 대부분 1999년을 전후로 몇 년 사이(1997-2002)에 발생하였고, 주로 해안사구와 고조선해빈의 침식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floor topography of Gomso Bay on the west coast of Korea was investigated using subtidal bathymetry and tidal-flat altimetry. Gomso Bay consists of 80% tidal flats and 20% subtidal zone, and is divided into an outer bay and an inner bay by the Jujincheon esturary channel. The outer bay tidal ...

주제어

참고문헌 (18)

  1. Alexander, C. R., C. A. Nittrour, D. J. Demester, Y. A. Park,?and S. C. Park(1991), Macrotidal mudflats of the southwestern?Korea coast: a model for interpretation of intertidal deposit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ol. 61, pp. 805-824. 

  2. Bruun, P.(1962), Sea level rise as a cause of shore erosion,?Proc. ASCE J., Waterw, Habors Div., Vol. 88, pp. 117-130. 

  3. Chang, J. H. and J. Y. Choi(2001), Tidal-flat sequence?controlled by Holocene sea-level rise in Gomso Bay, west?coast of Kor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52,?pp. 391-399. 

  4. Chang, J. H. and J. Y. Choi(1998), Seasonal accumulation?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of Oceanography, Vol. 3, pp. 149-157. 

  5. Chang, J. H.(1995), Depositional processes in the Gomso Bay?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PhD thesis, Seoul National?University, Seoul, 192 p. 

  6. Chang, J. H., S. S. Chun, S. J. Kweon, D. H. Sin, S. J. Han,?and Y. A. Park(1993), Sedimentological characteristics and?evolution of chenier in the Gomso bay tidal flat, west coast?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28, pp. 212-228. 

  7. Chang, J. H., S. O. Ryu, and Y. J. Jo(2007), Long-term?variation of tidal-flat sediments in Gomso Bay, west coast of?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 28,?pp. 357-366. 

  8. Dalrymple, R. W.(1992), Tidal depositional system, In: Walker,?R. G. and James, N. P., ed., Facies models response to sea?level change, Geological Association of Canada, pp. 195-218. 

  9. Frey, R. W., J. D. Howard, S. J. Han, and B. K. Park(1989),?Sediments and sedimentary sequence on a modern macrotidal?flat, Inchon,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Vol.?59, pp. 28-44. 

  10. Greensmith, J. T. and E. V. Tucker(1966), Morphology and?evolution of inshore sell ridges and mud-mounds on modern?intertidal flats near Bradwell, Essex, Proceedings of the?Geologists' Association, Vol. 77, pp. 329-346. 

  11. Jeong, S. T., H. Y. Cho, and D. H. Ko(2012), Development?of the inter-tidal exposure duration formulae using tidal?harmonic const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Ocean Engineers, Vol. 24, No. 5, pp. 319-325. 

  12. Klein, G. deV.(1985), Intertidal flats and intertidal sand?bodies, In: Davis R. A., ed., Coastal Sedimentary?Environments, 2nd ed., New York, Springer-Verlag, pp.?187-224. 

  13. Cangzi, L. and H. J. Walker(1989), Sedimentary characteristics?of cheniers and the formation of the chenier plain of East?Chin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Vol. 5, pp. 353-368. 

  14. National Geographical Institute(1981), Coastal sea area basic?survey report, 56 p. 

  15. Short, A. D.(1992), Beach systems of the central Netherlands?coast: processes, morphology and structural impacts in a?storm driven multi-bar system, Marine Geology, Vol. 107, pp.?103-137. 

  16. Swift, D. J. P.(1968), Coastal erosion and transgressive?stratigraphy, Journal of Geology, Vol. 76, pp. 444-456. 

  17. Wells, J. T., C. E. Adams Jr, Y. A. Park, and E. W.?Frankenberg(1990), Morphology, sedimentology and tidal?channel processes on a high-tide-range mudflat, west coast of?South Korea. Marine Geology. Vol. 95, pp. 111-130. 

  18. Yang, B. C., R. W. Dalrymple, M. K. Gingras, S. S. Chun,?and H. J. Lee(2007), Up-estuary variation of sedimentary?facies and ichnocoenoses in an open-mouthed, macrodal,?mixed-energy estuary, Gomso Bay, Korea, Journal of?Sedimentary Research, Vol. 77, pp. 757-7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