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새만금호의 수질 특성 및 영양상태지수를 이용한 부영양화 평가
Assessment of Eutrophication Using Trophic State Index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9 no.6, 2023년, pp.587 - 597  

김종구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류의 이상증식을 일으키는 새만금호 부영양화를 평가하기 위해 Carlson 지수를 적용하였다. 연구를 위해 2021년 월별로 새만금호내 총 7개 정점에서 수질조사를 실시하였다. Chl.a의 농도는 동계에는 만경수계가 약간 높았고, 춘계와 하계에는 동진수계가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일부 시기를 제외하고는 전체적으로 호소 수질환경기준 3등급과 비슷하거나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COD는 만경수계와 동진수계 모두 하계와 추계에 호소 수질환경기준 4등급과 유사하거나 상회하는 수질을 나타내었다. TOC는 모든 지점에서 3등급 이내의 수질을 보였다. 총인 농도는 호수 수질환경기준 4등급을 초과하였고, 월별로는 1월과 강우 후 8월에 높게 나타났다. 수질인자간의 상관성 분석에서 염분 농도에 대한 유기물, 총인, 총질소의 상관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입과 상류 하천을 통한 담수 유입에 의한 담수역, 기수역, 해수역의 수질 특징을 반영하고 있었다. 영양상태지수에 의한 새만금호의 부영양화 변동 특성을 보면, Chl.a와 SD, TN의 지수에서 부영양화 초기 단계의 수질을 보였으며, TP 지수의 경우 심각한 부영양화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수질인자간 부영양화 지수의 크기는 모든 수계에서 TSI(TP) > TSI(TN) > TSI(SD) > TSI(CHL)의 순으로 나타났다. TSI(CHL)에 대한 TSI(TP) 및 TSI(SD)와의 편차를 2차원 평면으로 나타낸 사분면 분석 결과를 보면, 조류 성장에 대한 총인이 영향에서는 모든 수계에서 대부분의 총인(TP)에 의한 제한적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빛 감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적은 입자상 물질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evaluated the eutrophication of Saemangeum Lake, which causes abnormal growth of algae, using the Carlson index. Eutrophication characteristics of Saemangeum Lake were analyzed. For the study, water quality surveys were conducted at 7 stations in Saemangeum Lake every month in 2021. The concentra...

Keyword

참고문헌 (27)

  1. Ahn, D. H., S. K. Han, S. J. Jo, and M. Lim(2013), Water?Quality Assessment for Geumgang River Area using th?Korean Trophic State Index, J. Wat. Treat., Vol. 21, No. 3,?pp. 13-20. 

  2. Devi Prasad, A. G. and Siddaraju(2012), Carlson's Trophic?State Index for the assessment of trophic status of two Lakes?in Mandya district, Advances in Applied Science Research,?3(5), pp. 2992-2996. 

  3. An, K. G.(2000),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in-lake phosphoru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3), pp.?222-229. 

  4. Choi, C. H., S. W. Jung, S. M. Yun, S. H. Kim, and J. G.?Park(2013),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and?Environmental Factors in Saemangeum Artificial Lake, South?Korea between 2006 and 2009, Korean J. Environ. Biol., Vol.?31, No. 2, pp. 213-224. 

  5. Carlson, R. E.(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Limnology ans Oceanography. 22(2), pp. 361-369. 

  6. Carlson, R. E.(1991), Expanding the trophic state concept to?identify non-nutrient limited lakes and reservoirs, Enhancing?the State's Lake Management Programs 1991, pp. 59-71. 

  7. Edmondson, W. T.(1980), Secchi disk and chlorophyll,?Limnology and Oceanography 25, pp. 378-379. 

  8. Havens, K. E., H. J. Carrick, E. F. Lowe, and M. F. Coveney?(1999), Contrasting relationships between nitrientsm chlorophyll?a and Secchi transparency in two shallow eutrophic lakes ;?Lakes Okeechobee ans Apopka (Florida, USA). lake and?Reservoir Management 15, pp. 298-309. 

  9. Havens, K. E.(2000), Using Trophic State Index (TSI) Values?to Draw Inferences Regarding Phytoplankton Limiting Factors?and Seston Composition from Routine Water Quality?Monitoring Data. Korean J. Limnol. 33(3), pp. 187-196. 

  10. Kim, B. C. and D. S. Kong(2019), Examination of the?Applicability of TOC to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ko),?J. of Korean Soc. on Water Environ., Vol. 35, No. 3, pp.?271-277. 

  11. Kim, B. and Y. Kim(2004), Phosphorus cycle in a deep?reservoir in Asian monsoon area (Lake Soyang, Korea) and?the modeling with a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CE-QUALW2],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2), pp.?205-212. [Korean Literature] 

  12. Kong, D. S. and B. C. Kim(2019), Suggestion for Trophic?State Index of Korean lakes (Upper Layer), J. of Korean Soc.?on Water Environ., Vol. 35, No. 4, pp. 340-351. 

  13. Kong, D. S.(2019), Statistical Analysis on Water Quality?Chaeacteristics of Large Lakes in Korea, J. of Korean Soc. on?Water Environ., Vol. 35, No. 2, pp. 165-180. 

  14. Kim, E. S., K. B. Sim, S. D. Kim, and H. I. Choi(2012),?Water Quality Assessment for Reservoirs using th Korean?Trophic State Index, J. of Korean Soc. on Water Environ.,?Vol. 28, No. 1, pp. 78-83. 

  15. Kim, J. G.(2023),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of Saemangeum Lkae Using Statistical Analysis, J. the korean?Soc. of Marine environ. & Safety, Vol. 29, No. 4, pp.?297-306. 

  16. Kim, N. H., Andy S. Choi, and C. O. Oh(2020), Assessing?Public Preferences for Politics on Seawater Flowing of the?Saemangeum Reclamation Site Using Choice Experiemnts,?Environmental Police, Vol. 28, No. 4, pp. 87-111. 

  17. Kratzer, C. R. and P. L. Brezonik(1981), A Carlson type?trophic state index for nitrogen in Florida lakes. Water?Resources Bulletin 17, pp. 713-715. 

  18. Ministry of Environment(2016), Saemangeum Lake Ecosystem?and Sediment Monitoring (III), Final Report. Saemangeum?National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p. 48-49. 

  19. Ministry of Environment(2018), Saemangeum Lake Sediment?Monitoring (V), Final Report. Saemangeum National?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p. 48-49. 

  20. Park, H. J. and K. G. An(2007), Trophic State Index (TSI)?and Emprical Models Based on Water Quality Parameters in?Korean Reservoirs, Korean J. Limnol., Vol. 40, No. 1, pp.?14-30. 

  21. Park, J. G.(2005), Water Environmental Factors and Trophic?States in Lake Daecheong, Korean J. Limnol., Vol. 38, No. 3,?pp. 382-392. 

  22. Park, S. C., J. O. Kim, W. B. Lee, S. H. Park, and S. D. Lee?(2017), Characteristics of Eutrophication of Yeongsan River?Area using the Trophic State Index (TSIko), J. Wat. Treat.,?Vol. 25, No. 6, pp. 3-15. 

  23. Park, S. H., J. W. Lee, J. H. Kim, and S. H. Baek(2013),?Fish Distribution and Salinity in the Saemangeum Reservoir,?Korean J. Environ. Biol., Vol. 31, No. 4, pp. 411-418. 

  24. Park, S. H., J. G. Kim, and M. S. Kwon(2023), Development?of Mass Proliferation Control Algorithm of Phytoplankton?Using Artificial Neutral Network, J. the korean Soc. of?Marine environ. & Safety, Vol. 29, No. 5, pp. 435-444. 

  25. Ryu, J. W., J. H. Choi, S. D. Jeong, K. H. Kang, D. C. Nam,?M. P. Kim, S. R. Park, J. J. Park, and T. S. You(2018),?Investigation of Pollutant Load of Saemangeum Watershed?(Mangyeong River, Dongjin River). Jeollabukdo Institute of?Health & Environment Research, Vol. 27, pp. 33-80. 

  26. Shin, Y. R., J. Y. Jang, J. H. Choi, and K. W. Jung(2012a),?Hydrodynamic Modeling of Saemangeum Reservoir and?Watershed using HSPF and EFDC, J. of Korean Soc. on?Water Environ., Vol. 28, No. 3, pp. 384-393. 

  27. Shin, Y. R., J. Y. Jung, J. H. Choi, and Y. K. Cho(2012b),?The Comparsion of Grid Resolutions using EFDC in?Saemangeum Reservoir, J. of Korean Soc. on Water Environ.,?Vol. 28, No. 5, pp. 646-656.?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