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 분야 데이터 리포지터리 운영 현황 분석 및 EcoBank 서비스 제안
Analysis of Ecological Data Repository Operation Status and EcoBank Service Proposal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7 no.4, 2023년, pp.289 - 310  

김주섭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연구데이터융복합연구소) ,  강효숙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사서교육전공), 연구데이터융복합연구소) ,  김선태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연구데이터융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은 필수가 되었다. 데이터 리포지터리는 이러한 데이터 공유 및 재사용을 위한 핵심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생태원이 구축 및 운영 중인 EcoBank의 서비스를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e3data.org에 등록된 생태 분야 해외 데이터 리포지터리 123개 중 10개를 선정하여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3가지 서비스가 공통으로 도출되었다. 3가지 서비스는 첫째, 연구데이터 정책, 둘째, 연구데이터 품질 검토 그리고 연구데이터 관리 교육 및 워크숍으로 구성된다. 여기에 EcoBank의 글로벌한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는 re3data.org와 같은 데이터 리포지터리 레지스트리에 등록을 해야 하며 리포지터리의 신뢰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한 인증을 추진할 것을 제안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haring and reusing data has become essential. Data repositories are a key tool for sharing and reusing this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service of EcoBank, which is being built and opera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10 out of 123 fo...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1)

  1. An, Byoung-Goon, Park, Kyu-Ri, Shim, Jiwoo, & Cho, Hyungmin (2018). A study on national?research data repository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69th the Korean Society for?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117-126. 

  2. Heo, Taesang (2016). Data Platform for Full Life-cycle Management of Long-term Ecological?Research Information.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Computer Engineering, Pai?Chai University Graduate School. 

  3. Kim, Juseop, Kwon, Yongsu, Kim, Sun-Tae, & Yoo, Heenam (2020). Metadata design for ecological?research data: focused on DCA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51(4), 249-278. https://doi.org/10.16981/KLISS.51.4.202012.249 

  4. Kim, Woojoong, Kim, Hyungjoon, Park, Heejin, & Choi, Sangok (2021). An analysis on operational?level, subjects, content types and utilization of Research Data Repositories in Natural Science.?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24(4), 577-595.?https://doi.org/10.35978/jktis.2021.2.24.1.577 

  5. Kim, Ye Hyeon & Kim, Jihyun (2023). A study on strategies to promote the activation of?institutional research data repositorie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of?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3), 109-134.?https://doi.org/10.14699/KBIBLIA.2023.34.3.109 

  6. Alves, C., Castro, J. A., Ribeiro, C., Honrado, J. P., & Lomba, Angela (2018). Research data?management in the field of Ecology: an overview.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ublin Core?and Metadata Applications, 87-94. Available:?https://dcpapers.dublincore.org/pubs/article/view/3965 

  7. Bex IS. Available: https://www.bexis.uni-jena.de/ 

  8. Canadensys repository. Available: https://data.canadensys.net/ipt/. 

  9. Easterday, K., Paulson, T., DasMohapatra, P., Alagona, P., Feirer, S., & Kelly, M. (2018). From?the field to the cloud: a review of three approaches to sharing historical data from field?stations using principles from data science. Frontiers in Environmental Science, 6, 88. 

  10. EDI Data Potal. Available: https://portal.edirepository.org/nis/home.jsp 

  11. Environmental Information Data Centre. Available: https://eidc.ac.uk/. 

  12. Finnish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Available: https://laji.fi/en. 

  13. GBIF. Available: https://www.gbif.org/. 

  14. Gries, C., Hanson, P. C., O'Brien, M., Servilla, M., Vanderbilt, K., & Waide, R. (2023). The?environmental data initiative: connecting the past to the future through data reuse.?Ecology and Evolution, 13(1), e9592. https://doi.org/10.1002/ece3.9592 

  15. Kim, Hyun Woo, Yoon, Sungsoo, Kim, Mokyoung, Shin, Manseok, Yoon, Heenam, & Kim, Kidong?(2021). EcoBank: A flexible database platform for sharing ecological data. Biodiversity?Data Journal 9: e61866. Available: https://doi.org/10.3897/BDJ.9.e61866 

  16. Kim, Suntae (2021).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data repositories in the field of ecological?research.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2(2),?139-143. https://doi.org/10.22920/PNIE.2021.2.2.139 

  17. KNB Data Repository. Available: https://knb.ecoinformatics.org/. 

  18. National Ecosystem Data Bank. Available: https://ecodb.scidb.cn/en. 

  19. Pampel, H., Weisweiler, N. L., Strecker D., Witt, M., Vierkant, P., Elger, K., Bertelmann, R., Buys,?M., Ferguson, L. M., Kindling, M., Kotarski, R., & Petras, V. (2023). Re3data-indexing?the global research data repository landscape since 2012. Scientific Data, 10(1), 571. 

  20. SiB Colombia Portal de Datos. Available: http://biodiversidad.co/. 

  21. VertNet. Available: http://vertnet.or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