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운룡주(雲龍柱) 보물 앙부일구의 특성과 제작 기술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Angbuilgu Treasure with Plate Pillars Decorated with a Dragon in Clouds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4, 2023년, pp.24 - 37  

윤용현 (국립중앙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과) ,  민병희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  김상혁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22년에 새롭게 보물로 지정된 앙부일구의 재질과 외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과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의 세 기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보물 앙부일구는 그 재질, 규격, 형태(외형), 은상감 등 제작기법이 쌍둥이처럼 비슷하다. 이 세 점의 앙부일구은 구리: 아연: 납이 90.6: 6.0: 1.8의 비율인 황동으로 제작되어 있다. 이 성분비는 82.2: 3.7: 11.8의 조성비를 가지고 있는 보물 제845호 앙부일구와 분명한 차이를 보인다. 새 보물 앙부일구에서 반구의 받침부분은 용의 문양이 수직기둥에 그려지고 구름의 문양이 기둥의 날개를 형성하여, 반구 지평환에 각각 리벳과 은땜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운룡주(雲龍柱)의 문양은 조선 후기 제작된 다양한 앙부일구 받침대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앙부일구에 새겨진 북극고도는 1713년 이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실제 제작은 19세기 진주 강씨 앙부일구 전문제작자의 활동 시기에 근접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가 2022년 지정 보물 앙부일구의 재질과 외형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근대 과학기기의 과학기술사적 고찰을 견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materials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Angbu-ilgu, a kind of scaphe sundial, which was newly designated as a Korean Treasure in 2022. The Angbu-ilgu Treasure is owned by three institutions -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Gyeongju National Museum, and Sungshin Wo...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21)

  1. 김상혁, 2007, 「송이영 혼천시계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26~133. 

  2. 김상혁.민병희.김재영, 2022, 「조선 후기 석제 앙부일구 분석」, 「천문학논총」 37(3), pp.35~47. 

  3. 남문현, 1995, 「한국의 물시계」, 건국대학교출판부, pp.73~75. 

  4. 문화재관리국, 1985, 「과학기술문화재실즉조사서(앙부일귀, 측우기및측우대)」, 문화재관리소보고서(No.11112), pp.3~47. 

  5. 윤용현, 2013, 「청동유물의 주조와 복원제작기술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1~40. 

  6. 윤용현.서준, 2021, 「국가지정 앙부일구 지정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7. 윤용현.조남철.정영상.임인호, 2014, 「상평통보 주조와 복원기술연구」, 「문화재」 47(4), pp.224~243. 

  8. 윤용현.조남철.이승철.윤대식.정영상.조현경, 2015, 「금속(청동, 금동, 오동, 황동, 백동) 전통주조, 가공기술 및 응용기술연구: 2차 년도(오동, 백동)」, 국립중앙과학관, pp.30~54. 

  9. 윤용현, 2017, 「고려.조선의 청동 주조 기술 연구」, 「동아시아 금속활자 인쇄문화의 창안과 과학성 1」,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성남),?pp.91~146. 

  10. 윤용현.도정만.정영상, 2020, 「토제 거푸집 무쇠솥 주조와 불미기술 연구」, 「문화재」 53(3), pp.4~23. 

  11. 이용삼.김상혁.남문현, 2001, 「남병철의 혼천의 연구 I」, 「한국천문학회지」 34(1), pp.47~57. 

  12. 이용삼, 2007, 「괴담 배상열의 천문과 선기옥형」, 봉화군 청량산박물관, pp.121~124. 

  13. 이용삼, 2023, 「농절(農節)을 가득담은 그릇, 명품해시계 앙부일구」, 「농업박물관 소식(여름호」, 국립농업박물관, pp.2~5. 

  14. 이은성, 1982, 「해시계의 歷史와 그 原理」, 「동방학지」 33, pp.81~156. 

  15. 전상운.김성삼.김정흠.나일성.남천우.박성래.박익수.박흥수.유경로.이은성.이태녕.손상용, 1984, 「한국의 과학문화재 조사보고 1980-1985」, 「한국과학사학회지」 6(1), pp.58~118. 

  16. 전용훈, 2004, 「조선후기 서양천문학과 전통천문학의 갈등과 융화」,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5~19. 

  17. 정동찬.윤용현, 1999.「겨레과학기술조사연구(VII) -금속, 나무, 가죽 상감기술-」, 국립중앙과학관. 

  18. 陳萬?, 1983, 「?天文學家梅?成傳稿逸文的補正」, 「中國圖書館學會會報」 35, pp.189~199. 

  19. Choi, G.-E., Mihn, B.-H, Lee, K.-W. 2023, Investigating Calendrical Methods of Calculating Sunrise and Sunset Times in?the Shixian Calendar, Journal for the History of Astronomy 54(3), pp.251~272. DOI: 10.1177/00218286231171855. 

  20. Kim, S. H., Lee, K.-W., Lee, Y. S., 2010, A Study on the Sundials of the Kang Family of Jinju, Journal of Astronnmy and?Space Science 27(2), pp.161~172. 

  21. Lee, Y. S., Kim, S. H., 2011, A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the Sundials in King Sejong Era, Journal of Astronmy and?Space Science 28(2), pp.143~1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