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선왕실 현판 글자의 금색 안료와 재현 실험 연구
Pigments in the Letters of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and Reproduction Experiments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3, 2023년, pp.118 - 135  

이혜연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이민혜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  이희승 (국립고궁박물관 유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왕실의 현판은 궁궐, 종묘 등 왕실과 관련된 건물에 걸어 건물의 위계와 성격을 나타낸다. 현판은 조선왕실 의궤에 제작 방법이나 재료 등을 기록하고 있어 당시 제작기술이나 재료 변화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현판은 전각의 화재나 전란 등으로 여러 차례 개·보수 되면서 원형과 재료가 변화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선왕실의 현판은 어제·어필 현판이 많아 검은색 바탕에 금색 글자로 이루어진 형태가 주요하다. 본 연구는 조선왕실 현판 중 금색 글자로 추정되는 44점을 대상으로 글자에 남아 있는 안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글자 표면에 남아 있는 금색 안료의 현재 상태와 검출된 구성성분에 따라 분류하였다. 글자 안료의 분석 결과 금(Au) 성분이 주요하게 검출된 현판은 양각 24점과 음각 5점이며, 양각 15점은 황동(Cu, Zn) 성분이 주요하게 검출되었다. 황동 성분이 검출된 현판 중 일부는 금색 안료가 아닌 청록색 안료만 남아 있는 상태이다. 황동 안료는 문헌에 기록이 없고 현재 단청 안료로 사용하고 있지 않아 황동 안료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현실험을 실시하였다. 재현실험은 재료의 한계로 황동안료의 적용 유무와 사용 방법을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앞으로 황동 안료의 사용 시기와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ging boards of the Joseon royal court are hung on building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such as palaces and Jongmyo Shrine, to show the hierarchy and character of the building.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aterials are recorded in th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so it is...

주제어

표/그림 (14)

참고문헌 (14)

  1. 국립고궁박물관, 2020, 『조선왕실의 현판 I』, pp.294~325. 

  2. 국립고궁박물관, 2021, 『조선왕실의 현판 II』, pp.483~467. 

  3. 국립고궁박물관, 2022,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현판』, p.10. 

  4.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각자장』, pp.53~66.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금박장』, 민속원, pp.11~13. 

  6. 김지은.유지아.한예빈.정용재, 2016, 「전통 편금사에 사용된 붉은 접착제 특성 연구」, 『보존과학회지』 32(1), pp.43~49. 

  7. 문화재청, 2015, 『궁궐현판 고증고사』, p.44. 

  8. 서태수.변윤섭.김영순.박윤창.김동표, 2001, 『안료화학』, (주)학술정보, p.116. 

  9. 송동현, 2009, 「조선시대 궁궐 건축의 현판구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p.32. 

  10. 양웅열, 2021,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선조·인조·숙종의 御製·御筆 현판의 게판과 형태」, 『藏書閣』 45別冊, 한국학중앙연구원, pp.7~43. 

  11. 유지아.김지은.한예빈.이상현.정용재, 2014, 「전통 편금사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재료 특성 비교 연구」, 『보존과학회지』 30(3), pp.307~315. 

  12. 이규경, 2008, 『오주서종박물고변』, 학연문화사, p.73. 

  13. 장기인.한석성, 2004, 『丹靑』, 보성각, p.150. 

  14. Jonathan Thornton, 2000, 「All That Glitters is not Gold: Other Surfaces that Appear to be Gilded」, 『Gilded Metals History, Technology and Conservation』, The American Institute for Conservation of Historic and Arttistic Works, Archetype Publication, pp.307~31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