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 왕실 태실의 세계유산 등재 대상 선정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Joseon's Royal Placenta Chambers for Successive Registration in World Heritages Listings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6 no.3, 2023년, pp.6 - 20  

이재완 (예천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20년 세계유산 우선 등재 목록으로 신청된 세종대왕자 태실을 검토했던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 위원회는 성주태실의 단독 등재 방식이 아닌 전국적으로 분포한 조선 왕실 태실로 확대하여 연속유산으로 등재하는 방안을 권고했다. 이에 따라 일부 자치단체에서는 세계유산 연속유산 대상에 해당 지역의 태실이 포함될 수 있는지가 중요한 화두로 대두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요구하는 부동산 가운데 탁월한 보편적 가치, 유산의 보호와 관리, 진정성, 완전성의 조건을 토대로 연속 등재 대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 세 가지를 등재 대상으로 선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첫째, 문화재로 지정되어 국가와 자치단체에서 보호와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부동산 문화재인 태실 22개소가 그 대상이 된다. 둘째, 유산의 진정성과 완전성 논리를 확보하기 위해 가봉태실로 한정하고, 연구조사와 학술고증을 통해 복원과 문화재 추가 지정이 가능한 태실을 그 대상으로 본다. 셋째, 조선 왕실 태실의 완전성을 갖추기 위해 일제강점기 이왕직에 의해 조성된 서삼릉과 표본으로 이설한 성종태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재로 지정된 대상이라 할지라도 원래의 위치가 아닌 것이 많으며, 이 가운데에는 일제의 의도에 따라 이설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연구자는 일제강점기 태실 이설에 대한 역사성을 이해할 수 있는 대상을 선별하여 추가하고, 문화재로 지정되지 않은 대상도 서둘러 지정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기초자치단체에서는 문화재 지정 여부와 관계없이 철저한 고증을 바탕으로 복원과 지정을 추진하여 세계유산 연속유산 등재 대상 목록에 포함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문화재청과 기초자치단체에서는 세계유산 연속유산 등재 대상에 포함되기 위해 개별 태실에 관한 지속적인 조사연구와 진정성 있는 복원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orld Heritage Subcommitte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examine The World Heritage Subcommitte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The World Heri The World Heritage Subcommittee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examined the Placenta Chamber of King Sejon...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51)

  1. 「文宗實錄」. 

  2. 「宣祖修正實錄」. 

  3. 「世宗實錄」. 

  4. 교남문화유산, 2017, 「사적 제444호 성주 세종대왕자태실 보존관리계획 보고서」, 성주군. 

  5.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 「성주 태종.단종태실 학술(지표)조사 결과보고서」. 

  6. 동원건축사사무소, 2015, 「명봉리 조선왕실 태실유적 복원 기본설계 및 종합정비 계획」I, 예천군. 

  7. 문화재위원회, 2020, 「2020년도 문화재위원회 제1차 세계유산분과 위원회 회의록」. 

  8. 문화재청, 2019,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9. 박재관, 2022,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추진과정과 과제」, 「태봉.태실의 세계유산 가치성 연구」, 경기문화재연구원. 

  10. 성림문화재연구원, 2014, 「예천 명봉사 조선왕조 태실(문종.장조) 유적」, 예천군. 

  11. 심현용, 2010, 「성주지역 태실과 생명문화관 전시방안」, 「세종대왕자태실 생명문화관 컨텐츠 및 전시 방향 모색을 위한 전문가 초청 학술세미나」, 성주군. 

  12. 예천군, 2015, 「명봉리 조선왕실 태실유적 복원 기본설계 및 종합정비 계획」I. 

  13. 淸州大學校博物館 淸原鄕土文化硏究會, 1997, 「淸原 山德里 胎室 發掘調査 報告書」. 

  14. 한빛문화재연구원, 2019, 2020, 「(보물 제1976호)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충청남도 서산시. 

  15. 호연건축문화유산연구원, 2018, 「영천 인종태실 학술조사 보고서」, 영천시. 

  16.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1999, 「서삼릉태실」, 국립문화재연구소. 

  17.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2008, 「조선왕실의 태봉」, 국립문화재연구소. 

  18. 김희태, 2021, 「조선왕실의 태실」, 휴엔스토리. 

  19. 예천박물관 편, 2021, 「예천의 태실과 조선시대 태실문화」, 민속원. 

  20. 전주이씨대동종약원 편, 1999, 「조선의 태실」I.II.III. 

  21. 김만중, 2001, 「강릉 모전리 정복태실비와 성종의 자녀에 대하여」, 「박물관지」 7, 강원대학교박물관. 

  22. 김영진, 1994, 「충주 경종태실 소고: 변작과 복원을 중심으로」, 「박물관보」 7, 청주대학교박물관. 

  23. 김영진, 1997, 「청원 산덕리 태실 발굴조사 보고」, 「박물관보」 10, 청주대학교박물관. 

  24. 김태일, 2012, 「조선 초기 왕실의 태실 연구: 경북 성주지역 태실 21기를 중심으로」, 「백악논총」 7, 동방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5. 박대윤, 2010, 「조선 성종 태봉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3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6. 박대윤, 2012, 「조선시대 국왕태봉의 풍수적 특징 연구」, 「한국문화」 59, 서울대학교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7. 박채은, 2008, 「성종대왕과 후궁 명빈김씨: 경숙옹주 태실과 관련하여」, 「울산문화연구」 1, 울산문화연구회. 

  28. 박충환, 2015, 「인류학의 비교문화론적 관점에서 본 장태문화(藏胎文化)」, 「嶺南學」 28,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9. 심현용, 2001, 「울진지역 태실에 관한 시고」, 「고문화」 57, 한국대학박물관협회. 

  30. 심현용, 2004, 「광해군태실에 대하여」, 「강원문화사연구」 9, 강원향토문화연구회. 

  31. 심현용, 2005, 「대구 광해군태실 고」, 「향토문화」 20, 대구향토문화연구소. 

  32. 심현용, 2005,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연구」, 「박물관연보」 2, 강릉대학교박물관. 

  33. 심현용, 2006, 「조선시대 아기태실비의 양식과 변천」, 「미술자료」 75, 국립중앙박물관. 

  34. 심현용, 2010, 「조선왕실 태실석함의 현황과 양식변천」, 「문화재」 43(3), 국립문화재연구소. 

  35. 심현용, 2012, 「조선 단종의 가봉태실에 대한 문헌.고고학적 검토」, 「문화재」 45(3), 국립문화재연구소. 

  36. 심현용, 2014, 「조선 초 영주 소헌왕후 태실의 조성과 구조 복원」, 「영남고고학」 68, 영남고고학회. 

  37. 심현용, 2015,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고고학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38. 윤석인, 2000, 「조선왕실의 태실석물에 관한 일연구: 서삼릉 이장 원 태실을 중심으로」, 「문화재」 33, 문화재관리국. 

  39. 윤석인, 2010, 「조선왕실 태항아리 변천 연구」, 「고문화」 7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40. 이재완, 2013, 「경북 예천지역 태실에 관한 일고찰」, 「고궁문화」 6, 국립고궁박물관. 

  41. 이재완, 2016, 「예천지역 왕실의 태실조성과 지역사적 의의」, 「문화재」 49, 국립문화재연구원. 

  42. 최호림, 1985, 「조선시대 태실에 관한 일연구」, 「한국학논집」 7, 한양대학교한국학연구소. 

  43. 홍성익, 1998, 「강원지역 태실에 관한 연구」, 「강원문화사연구」 3, 강원향토문화연구회. 

  44. 홍성익, 2004, 「원주시 대덕리 태실에 대하여」, 「강원문화사연구」 9, 강원향토문화연구회. 

  45. 홍성익, 2008, 「홍천 공작산 정희왕후 태실지 위치비정」, 「강원문화사연구」 13, 강원향토문화연구회. 

  46. 「기호일보」. 

  47. 「경북일보」. 

  48. 「경인일보」. 

  49. 「충청타임즈」. 

  50. 문화재청 www.cha.go.kr(검색일 2022.11.30.). 

  51. 예천박물관 https://www.ycg.kr/open.content/museum/(검색일 2022.12.2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