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older adult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원문보기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산업진흥연구, v.9 no.1, 2024년, pp.113 - 122  

장지혜 (칼빈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현승 (서울디지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가족관계 만족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에 따른 사회복지영역에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제16차 한국복지패널조사]의 원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응답자 중 65세 이상 4,310명의 노인을 표본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서 Hayes(2018)가 제안한 SPSS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가족관계 만족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유의성 검증 결과, 가족관계 만족도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가족관계 만족도의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가족관계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의 유의성 검증 결과, 가족관계 만족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매개변수인 자아존중감도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가족관계 만족도의 특성을 파악하고 노인의 우울감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제안과 사회복지 실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effect of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on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social welfare field. For this study, raw data from the 16th Korean Welfare Panel Survey were used for analys...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58)

  1. 통계청(2021), 「장래인구추계」, 주요 연령 계층별 추계인구.? 

  2. OECD(2021), 「Health Status」.? 

  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 윤현숙.유희정(2014),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5. 조유향.정영해(2014), 한국 전.후기 노인의 삶의 질?관련 요인과 성별 차이. 농촌의학.지역보건, 39(3),?176-186.? 

  6. 이민수.최윤경.정인과.곽동일(2000), 한국 어느 도시?지역의 노인성 우울증 역학조사. 노인정신의학. 4.?54-163.? 

  7. 오병훈(2006), 노인자살문제와 예방. 2006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8. Borg, M & Kristiansen, K(2004), Recovery-oriented?professionals: Helping relationships in mental?health services, Journal of Mental Health, 13:5,?493-505.? 

  9. Butler, R. N., & Lewis, M. I(1998), Aging and?Mental Health: Positive Psychological and Biomedical Approaches. 5th edition. Allyn and Bacon.?28-118.? 

  10. Wickrama, K. A. S., Lorenz, R. D. O. and Elder, G.?1997. Marital Quality and Physical Illness: A Latent?Growth Curve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Family, 59, 143-155.? 

  11. Kiecolt-Glaser, J, K., & Newton, T, L. (2001).?Marriage and health: His and hers. Psychological?Bulletinulletin, 127(4), 472-503.? 

  12. Dean, A., Kolody, B., & Wood, P. (1990). Effects of?Social Support from Various Sources on Depression?in Elderly Pers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Behavior. 31(2), 148-161. Published by: American?Sociological Association.? 

  13. 김미호.문재우(2013), 노인의 가족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10, 1-26.? 

  14. Seo, B. S., & Shin, H. S. (1992), The influence of?the aged parents-adult children solidarityon the?psychological distress of aged parents, Journal of?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2(2), 99-108.? 

  15. 김종선(2016), "한국노인의 사회기여활동 참여가 당사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6.? 

  16. 한명자(2019), "노인의 대인관계능력과 분노조절능력이 집단활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17. 정순둘(2007), 한국여성의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36: 210-220.? 

  18. Krause, N. & Benjamin A. (2000), "Role-Specific?Feelings of Control and Mortality." Psychology and?Aging 15: 617-626.? 

  19. 정문진(2017),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특성과 건강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20. 정경희(2018), 노인의 가족 현황과 전망. 보건복지포럼, 6-18.? 

  21. 김향아(2015),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616-634.? 

  22. 가문정(2018), "성인 자녀와의 관계와 노인의 건강:?접촉 빈도, 금전적 지원, 지리적 근접성을 중심으로".?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윤지은.전혜정(2009),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정신건강.소득 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검증". 한국노년학, 29(2): 743-759.? 

  24. 윤현숙.염소림 (2016).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연대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8(1), 53-71.? 

  25. 이준상.김향아 (2017).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27-36.? 

  26. 천재영.이난희(2011), 노인의 우울에 대한 가족갈등?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연구.? 

  27. 김재엽.김동배.최선희(1998), 노인부부의 스트레스와?갈등, 우울증, 그리고 권력. 한국노년학. 18(3). 103-122.? 

  28. 한경혜(2019), 가족과 가구 영역의 주요 동향. 한국의사회동향 2019, 56-68.? 

  29. 양옥경.이민영(2003), "가족관계척도 활용을 위한 타당도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4(0), 5-34.? 

  30. 손의성(2006), "노인이 인지한 자녀지원, 자녀관계 만족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자립적인 삶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3(2): 69-94.? 

  31. 김동배.박은영.김세진(2010), "손자녀 주양육자 및?공동양육자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183-209.? 

  32. 권중돈.조주연(2000),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33. 서욱경(2016), "중국가정의 가족여가활동이 가족기능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대학원 가정학과 석사학위 논문.? 

  34. 이승원.김동배.이주연(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107-125.? 

  3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Diagnostic?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6. 강희숙.김근조(2000),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 성. 대한보건연구, 26(4), 451-459.? 

  37. Blazer, D. G. (2003), Depression in late life: review?and commentary. The Journals of Gerontology?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58(3), 249-265.? 

  38. 권구영(2012), 조손가정 아동의 우울감과 학교적응?유연성간 관계: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GRI 연구논총, 14(1), 205-230.? 

  39. 김진순.손태용.금란.홍금덕(1999), 일 지역의 보건소 및 경로당 이용노인의 우울성향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19(3), 141-153.? 

  40. 강희숙.김근조.(2000),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6(4):451-459.? 

  41. 이미애(2009), 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5, 170-192.? 

  42. 정호영.노승현(2007),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우울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27(4); 789-805.? 

  43. 박봉선(2019), 노인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44. 최현석(2018), 인간의 모든 성격: 나를 나이게 하는?것은 무엇인가. 서해문집.? 

  45. 이신숙(2013), 노부모가 인지하는 성인자녀에 대한?양가감정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2(6),?633-647.? 

  46. 황세경(2023), 가족관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47. Blazer. D. G.(1995). Social support and mortality in?an elderly community population. American. Journal?of Epidemiology, 11(5), 684-694.? 

  48. Rosenberg. M.(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FL: Academic?Press.? 

  49. Branden. N.(1994). Our urgent need for selfesteem.?Executive Excellence.? 

  50. 김순분.이재모(2021), 사회적 관계망과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치학회보, 29(1), 113-135.? 

  51. 권태연(2009),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1), 163-196.? 

  52. 곽아람.박정원.박진희(2019), 노인의 자아존중감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사회복지상담연구, 3(1), 5-32.? 

  53.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1), 제16차 한국복지패널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4. 김동배.유병선.민정선(2011), 노인 집단에서 나타나는 건강 수준 차이의 요인 분석. 사회복지연구. 42(3),?267-290.? 

  55. 김명숙.고종욱(2013), 여가활동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지지의 매개역할. 60, 35-54.? 

  56. 최태을.권경주.최미영(2016),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4), 221-242.? 

  57. 송종원(2015),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삶의?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2(2), 31-47.? 

  58. 강은미.이영철(2018), 경로당 이용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서울특별시 경로당을 중심으로. 융합정보논문지, 8(5), 173-18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