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호작용 강화 협동학습이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Emphasizing Interaction on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1, 2024년, pp.1 - 17  

김현주 (서울교육대학교) ,  김민주 (서울문현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창의성을 증진하는데 상호작용 강화 협동학습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 정량적 자료와 정성적 자료를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영재 학생 34명을 상호작용 강화 협동학습에 참여한 실험 집단과 대집단 상호작용에만 참여한 비교 집단으로 나누어 생성한 창의적 산출물의 창의성 점수를 비교하였다. 정성적 분석을 위해서는 실험 집단에 속한 학생들이 협동하는 과정에서 나눈 대화를 분석하여 상호작용 양상을 탐색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 강화 협동학습은 과학 창의성 요소 중 유용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상호작용 강화 협동학습에 참여한 학생들의 상호작용 양상이 협동학습 실시 후반으로 갈수록 질적으로 향상하였다. 셋째, 상호작용 강화 협동학습의 효과를 저해시키는 요인에는 소집단 구성원의 부정적인 과제 무관 진술과 이에 따른 운영 진술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상호작용 강화 협동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emphasizing interactions on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Thirty-four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class and a comparison class to compare their creativity scores...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73)

  1. 강석진, 김창민, 노태희(2000). 소집단 토론 과정에서의?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353-363. 

  2. 강성주, 김현주, 이길재, 권영식, 김명희, 김연숙, 김윤화,?신호심, 임희영, 하지희(2009). R&E 프로그램에 대한 과학영재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6), 626-638. 

  3. 곽영순(2001). 과학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실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60-376. 

  4.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5. 김민주, 임채성(2021). 초등학생의 창의 과정과 산물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한 과학 창의성 검사 도구 개발-생명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40(4), 520-544. 

  6. 김준호, 서계홍, 정연숙, 이규송, 고성덕, 이점숙, 임병선,?문형태, 조강현, 이희선, 유영한, 민병미, 이창석, 이은주, 오경환(2007). 현대생태학. 서울: 교문사. 

  7. 노태희, 박수연, 임희준, 차정호(1998). 협동학습 전략에서?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61-70. 

  8. 노태희, 서인호, 한재영, 전경문, 차정호(2000).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74-182. 

  9. 노태희, 한지원, 강석진(2014).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협동학습의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대한화학회지, 58(6), 630-637. 

  10. 동효관, 홍준의, 신영준, 김경호, 이길재(2003). 과학영재가 선호하는 수업 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통한 수업전략의 개발. 생물교육, 31(1), 16-23. 

  11. 박윤배, 류인숙(2004). 과학과 수업에서 협동학습에 의한?창의성 증진 방안. 중등교육연구, 52(2), 309-328. 

  12. 박종원(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13. 배진호(1999). 과학교육에서 두뇌학습 원리에 기초한 창발수업모형의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배진호, 노성인, 소금현(2009). 사회적 상호 작용을 강조한 초등 생명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 효능감과?과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창발성 발현 사례.?생물교육, 37(2), 244-255. 

  15. 배진호, 박현주(201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초등과학수업에서 창발성 발현에 대한 정량적 분석. 생물교육, 39(2), 262-276. 

  16. 손충기, 김명철(2007). 초?중학생 창의성 영재 선발 검사에 나타난 창의성 요인별 특성 연구. 영재교육연구, 17(2), 307-337. 

  17.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27(3), 252-260. 

  18. 이선영(2014). 영재성과 창의성 개념 간의 관계를 통해서?본 영재성과 창의성: 동질적인 개념인가? 이질적인 개념인가?. 영재와 영재교육, 13(1), 107-128. 

  19.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20. 임채성(1997). 협동학습의 대뇌생물학적 기초: 아이디어공유-창출 모델. 한국동물학회 학술대회, 3181. 

  21.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22. 장남기, 배진호(2000). 과학교육에서 두뇌학습 원리에 기초한 창발수업모형의 개발. 생물교육, 28(2), 110-122. 

  23. 정현철, 한기순, 김병노, 최승언(2002). 과학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이론과 예시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4), 334-348. 

  24. 조무정, 진석언(2016). 초등학교 과학 영재학생의 집단 창의성 발현과정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16(2), 35-59. 

  25. 한재영, 한수진, 노태희(2002).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유화성에 따른 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17-724. 

  26. 현승자(2007). 초등 과학수업에서 상호작용 강화 협동학습이 창발성의 발현과 과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Alexander, P. A. (1992). Domain knowledge: Evolving?themes and emerging concerns. Educational Psychology,?27(1), 33-51. 

  28. Amabile, T. M. (1983).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New York: Springer-Verlag. 

  29. Amabile, T. M. (1987). The motivation to be creative. ln?S. G. Lsaks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Beyond the basics (pp. 223-254). Buffalo, NY: Bearly?Limited. 

  30. Amabile, T. M.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31. Barron, F., & Harrington, D. M.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of Psychology,?32(1), 439-476. 

  32. Cattell, R. B. (1971). Abilities: Their structure, growth, and?action. Houghton Mifflin. 

  33. Cohen, E. (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itions?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Research, 64(1), 1-35. 

  34. Creswell, J. W. (2011). Research Design: Qualitative,?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Kim,?Young Suk et al. Trans. Sigmapress. 

  35. Cropley, D., & Cropley, A. (2005). Engineering creativity:?A systems concept of functional creativity. In J. C.?Kaufman & J. Baer (Eds.), Creativity across domains:?Faces of the muse (pp. 169-185). Mahwah, NJ: Lawrence?Erlbaum Associates. 

  36.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1st Ed.). New York:?Harper Collins Publishers. 

  37. Csikszentmihalyi, M. (1997). Flow and the psychology of?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 Perennial, New York,?39, 1-16. 

  38. Davidson, N., & Worsham, T. (1992). Enhancing thinking?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eachers College Press,?1234 Amsterdam Avenue, New York, NY 10027. 

  39. Davila, T., Epstein, M. J., & Shelton, R. (2006). Making?innovation work: How to manage it, measure it, and?profit from it. Upper Saddle River, NJ: Wharton School?Publishing. 

  40. Fisher, C. M., & Amabile, T. (2009). Creativity, improvisation and organizations, Rotman, 40-45. 

  41. Glaser, B.,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New Brunswick, NJ: Aldine Transaction.? 

  42.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5, 444-454. 

  43. Han, K. S., & Marvin, C. (2002). Multiple creativities??Investigating domain-specificity of creativity in young?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46(2), 98-109. 

  44. Harrington, D. M., Block, J. H., & Block, J. (1987). Testing aspects of Carl Rogers's theory of creative environment child-rearing antecedents of creative potential in?young adolesc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52(4), 851-856. 

  45. Hogan, K., Nastasi, B. K., & Pressley, M. (1999). Discourse?patterns and collaborative scientific reasoning in peer?and teacher-guided discussions. Cognition and Instruction, 17(4), 379-432. 

  46. Jaber, L. Z., & Hammer, D. (2016). Learning to feel like?a scientist. Science Education, 100(2), 189-220. 

  47. Johnson, D. W., & Johnson, R. T. (1987).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Prentice-Hall, Inc. 

  48. Khandker, S. R., Koolwal, G. B., & Samad, H. A. (2009).?Handbook on impact evaluation: Quantitative methods?and practices. World Bank Publications. 

  49. Koren, Y., Klavir, R., & Gorodetsky, M. (2005). Students'?multi-modal re-presentations of scientific knowledge?and creativity. Third Quarter, 39(3), 193-215. 

  50. Makel, M. C., & Plucker, J. A. (2008). Creativity. In S. I.?Pfeiffer (Ed.),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sychoeducational theory, research, and best practices (pp.?247-270). New York: Springer. 

  51. Mayer, R. E. (1999). Fifty years of creativity research. In?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Monahan, C., Munakata, M., & Vaidya, A. (2019). Creativity as an emergent property of complex educational?system. Northeast Journal of Complex Systems (NEJCS),?1(1), 4. 

  53.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Research Journal, 15(2-3), 107-120. 

  54. Palincsar, A. S. (1998).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s?on teaching and learn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9, 345-375. 

  55. Paulus, P. B., & Nijstad, B. A. (Eds.). (2003). Group?creativity: Innovation through collaboration. Oxford?University Press. 

  56. Rogoff, B. (1994). Developing understanding of the idea of?community of learners. Mind, Culture and Activity, 1,?209-229. 

  57. Runco, M. A. (2004). Everyone has creative potential. In?R. J. Sternberg, E. L. Grigorenko, & J. L. Singer (Eds.),?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pp. 21-30).?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8. Runco, M. A., & Jaeger, G. J. (2012). The standard definition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92-96. 

  59. Salomon, G., & Globerson, T. (1989). When teams do not?function the way they ought to. International Journal of?Educational Research, 13(1), 89-99. 

  60. Sawyer, R. K. (2011). Explaining creativity: The science of?human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61. Sharan, S. (1990). Cooperative learning: Theory and research. Praeger Publishers, London, UK. 

  62. Simonton, D. K. (2004). Creativity in science: Chance, logic,?genius, and zeitgei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Simonton, D. K. (2012). Assessing scientific creativity:?Conceptual analyses of assessment complexities. Commissioned paper, The Science of Science and Innovation?Policy Conferenc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64. Sproud, T. (1997). 'Nobody really knows': The structure?and analysis of social constructivist whole class discuss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8),?911-924. 

  65. Stahl, R. J. (1996).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A handbook for teachers.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433. 

  66. Stein, M. I. (1953). Creativity and culture. The Journal of?Psychology, 36(2), 311-322. 

  67.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3). Creative giftedness:?A multivariate investment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7(1), 7-15. 

  68.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Free?Press. 

  69.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7). 677-688. 

  70.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2004).?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1. Torrance, E. P. (1974).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thinking: Norms and technical manual. Bensenville, IL;?Scholastic Testing Service, Inc. 

  72. Wooldridge, J. M. (2016). Introductory Econometrics A?Modern Approach. Boston: Cengage Learning. 

  73. Zhou, C. (2015). Bridging creativity and group by elements?of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Pattern analysis,?Intelligent security and the Internet of things (pp. 1-9).?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