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거지역 가로환경 및 일상 걷기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대상으로 -
Estimation of the Effects of Daily Walking Hours and Days on the Mental Health of Urban Residents - The Case in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2 no.1, 2024년, pp.87 - 100  

구본유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백승주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 ,  윤희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민의 가로환경 이용을 매개로 하여 주거지역 가로환경 질이 도시민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과잉 음이항 회귀모형을 통해 보행 활동과 가로환경이 도시민의 우울 증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 범위는 2017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로 한정하였으며, 우울 유병 증세를 종속 변수, 가로환경 변수 및 보행 변수, 개인 특성을 독립 변수로 이용하였다. 나아가, 가로 녹지와 보행 빈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 녹지에서 걷는 행위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상승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로 녹지 면적 비율이 높을수록 우울증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행 빈도가 높을수록 우울 증세가 나타나지 않거나, 우울 증세가 존재할 경우에도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가로 녹지에서의 보행 빈도가 늘어날수록 우울 증세가 약하게 나타나는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각적 복잡성은 낮을수록 우울 증세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도시민의 정신 건강 문제를 지역사회차원에서 다루는 데에 기여하며, 가로 녹지와 보행 빈도의 시너지 효과를 발견함으로써 주거지역 가로 녹지 환경이 도시민 정신 건강 증진에 미치는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the street environment in residential areas on the mental health of urban residents, considering the frequency of street use. Using a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the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walking frequency a...

주제어

참고문헌 (51)

  1. 기동환, 김선재, 이수기(2021) Google Street View와 딥러닝을 활용한 서울시 녹지 형평성 분석: NDVI와 가로?이미지 기반 녹지 산출방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6(4): 194-211. 

  2. 명혜린, 최윤원, 윤희연(2020) 청약률에 영향을 미치는 아파트 입지조건. Journal of Korea Planning?Association 55(1): 85. 

  3. 문하늬, 채철균, 송나경(2018) 지역사회 물리적 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19(2): 87-103. 

  4. 서주환, 최유나(2012) 도시 광장의 시각적 인지 특성에 관한 연구 - 선호성 및 복잡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 포럼 34: 197-206. 

  5. 이우민, 서승연, 이경환(2016) 지역주민들의 행복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특성에 대한 실증분석: 서울시를?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2): 351-360. 

  6. 임은정(2021)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 요인에 대한 문헌적 고찰. 주택도시연구 11(3): 79-101. 

  7. 조판기, 이승욱(2014) 국민행복을 위한 생활인프라 정비방향. 국토정책 Brief: 1-6. 

  8. 최홍석, 최지호, 박기호, 주규진, 가혁, 고희정, 김성열(2007) 주요우울장애의 선별 도구로서 한국판 patient?health questionnaire-9 의 표준화. 가정의학회지 28(2): 114-119. 

  9. Astell-Burt, T. and X. Feng(2019) Association of urban green space with mental health and general health?among adults in Australia. JAMA Network Open 2(7): e198209. 

  10. Barton, J. and J. Pretty(2010) What is the best dose of nature and green exercise for improving mental?health? A multi-study analysi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4(10): 3947-3955. 

  11. Bertram, C. and K. Rehdanz(2015) The role of urban green space for human well-being. Ecological?Economics 120: 139-152. 

  12. Cameron, A. C. and P. K. Trivedi(2013) Regression Analysis of Count Data (Vol. 53). Cambridge:?University Press. 

  13. Cohen, J., P. Cohen, S. G. West and L. S. Aiken(201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for the Behavioral Sciences. Routledge. 

  14. Dinas, P. C., Y. Koutedakis and A. D. Flouris(2011) Effects of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on?depression. Irish Journal of Medical Science 180: 319-325. 

  15. Gao, T., T. Zhang, L. Zhu, Y. Gao and L. Qiu(2019) Exploring psychophysiological restoration and?individual preference in the different environm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17): 3102. 

  16. Greene, W. H.(1994) Accounting for Excess Zeros and Sample Selection in Poisson and Negative?Binomial Regression Models. 

  17. Ha, J., H. J. Kim and K. A. With(2022) Urban green space alone is not enough: A landscape analysis?link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green space to mental health in the city of Chicago. Landscape?and Urban Planning 218: 104309. 

  18. Hematian, H., and E. Ranjbar(2022) Evaluating urban public spaces from mental health point of view:?Comparing pedestrian and car-dominated streets. Journal of Transport and Health 27: 101532. 

  19. Kelly, P., C. Williamson, A. G. Niven, R. Hunter, N. Mutrie and J. Richards(2018) Walking on sunshine:?Scoping review of the evidence for walking and mental health.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52(12):?800-806. 

  20. Kim, J. I., C. Y. Yu and A. Woo(2023) The impacts of visual street environments on obesity: The?mediating role of walking behaviors.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09: 103593. 

  21. Lambert, D.(1992)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with an application to defects in manufacturing.?Technometrics: 1-14. 

  22. Lepine, J. P. and M. Briley(2011) The increasing burden of depression. Neuropsychiatric Disease and?Treatment 7(sup1): 3-7. 

  23. Machado, P., J. Romero, M. Nadal, A. Santos, J. Correia and A. Carballal(2015) Computerized measures?of visual complexity. Acta Psychologica 160: 43-57. 

  24. Marselle, M. R., K. N. Irvine and S. L. Warber(2013) Walking for well-being: Are group walks in?certain types of natural environments better for well-being than group walks in urban environments??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0(11): 5603-5628. 

  25. Mau, M., K. W. Rasmussen, M. Jacobsen and K. K. Roessler(2020) Walking against depression: A brief?report. SDU Research Portal 6. 

  26. Nutsford, D., A. L. Pearson and S. Kingham(2013) An ecological study investigating the association?between access to urban green space and mental health. Public Health 127(11): 1005-1011. 

  27. Pittman, B., E. Buta, S. Krishnan-Sarin, S. S. O'Malley, T. Liss and R. Gueorguieva(2020) Models for?analyzing zero-inflated and overdispersed count data: An application to cigarette and marijuana use.?Nicotine and Tobacco Research 22(8): 1390-1398. 

  28. Robertson, R., A. Robertson, R. Jepson and M. Maxwell(2012) Walking for depression or depressive?symptom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ntal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5(1): 66-75. 

  29. Roe, J., A. Mondschein, C. Neale, L. Barnes, M. Boukhechba and S. Lopez(2020) The urban built?environment, walking and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older adults: A pilot study. Frontiers in Public?health: 528. 

  30. Roshanaei-Moghaddam, B., W. J. Katon and J. Russo(2009) The longitudinal effects of depression on?physical activity. General Hospital Psychiatry 31(4): 306-315. 

  31. Ross, C. E.(2000) Neighborhood disadvantage and adult depressio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Behavior: 177-187. 

  32. Shulin, S. H. I., G. O. U. Zhonghua and H. C. Leslie(2014) How does enclosure influence environmental?preferences? A cognitive study on urban public open spaces in Hong Kong.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13: 148-156. 

  33. Stas, M., R. Aerts, M. Hendrickx, N. Dendoncker, S. Dujardin, C. Linard, T. S. Nawrot, A. Van?Nieuwenhuyse, J. M. Aerts, J. Van Orshoven and B. Somers(2021) Residential green space types, allergy?symptoms and mental health in a cohort of tree pollen allergy patient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210: 104070. 

  34. Strain, T., C. Fitzsimons, C. Foster, N. Mutrie, N. Townsend and P. Kelly(2016) Age-related comparisons?by sex in the domains of aerobic physical activity for adults in Scotland. Preventive Medicine Reports 3:?90-97. 

  35. Sugiyama, T., E. Leslie, B. Giles-Corti and N. Owen(2008) Associations of neighbourhood greenness with?physical and mental health: do walking, social coherence and local social interaction explain the?relationships? Journal of Epidemiology & Community Health 62(5): e9. 

  36. Sung, H., S. Lee and S. Cheon(2015) Operationalizing Jane Jacobs's urban design theory: Empirical?verification from the great city of Seoul, Korea.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35(2):?117-130. 

  37. Tabrizian, P., P. K. Baran, W. R. Smith and R. K. Meentemeyer(2018) Exploring perceived restoration?potential of urban green enclosure through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Psychology 55: 99-109. 

  38. Vert, C., M. Gascon, O. Ranzani, S. Marquez, M. Triguero-Mas, G. Carrasco-Turigas, L. Arjona, S.?Koch, M. Llopis, D. Donaire-Gonzalez, L. R. Elliott and M. Nieuwenhuijsen(2020) Physical and mental?health effects of repeated short walks in a blue space environment: A randomised crossover study.?Environmental Research 188: 109812. 

  39. Wang, R., Y. Lu, J. Zhang, P. Liu, Y. Yao and Y. Liu(2019)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enclosure?for neighbourhood street walkability and elders' mental health in China: Using street view images. Journal?of Transport and Health 13: 90-102. 

  40. WHO(2004) Promoting Mental Health: Concepts, Emerging Evidence, Practice: Summary Report. World?Health Organization.? 

  41. WHO(2021) Comprehensive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30. 

  42. Zhao, J., J. Wu and H. Wang(2020)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ets in relation to perceived?restorativeness.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30(2): 309-319. 

  43.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22) 2021 건강보험통계연보. https://url.kr/z1khet 

  44. 국가공간정보포털 http://www.nsdi.go.kr/ 

  45. 대한민국 통계청(Korea Statistics)(2017) 행정구역(시군구)별, 성별 인구수. https://url.kr/2i7b68 

  46. 서울시(2021a) 서울시 공원 (1인당 공원면적) 통계. https://url.kr/i6yf7m 

  47. 서울시(2021b) 서울시 주거실태현황 (주택유형, 점유형태 등) 통계. https://url.kr/dx4lwe 

  48. 서울시(2022) 서울시 도로 현황 (도로율) 통계. https://url.kr/gns1o9 

  49. 서울시(2023) 2040 서울도시 기본계획. https://url.kr/ior695 

  50. OECD(2024) Suicide rates (indicator). https://url.kr/jkqhgd 

  51. SAMHSA(2021) National Survey on Drug Use and Health (NSDUH), 2021. https://url.kr/p2d9wv?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