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공원의 조성과 운영 내실화를 위한 법제적 개선 방향
Directions for Legislative Improvement for the Creation and Operation of Ecological Park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2 no.1, 2024년, pp.71 - 86  

김아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위기가 심각해지는 현 시점에 서식처 보호 및 복원과 생물다양성 보전 등 도시공원의 생태적 기능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생태공원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과 「자연공원법」이 정한 공원의 유형에 해당하지 않아 전국적으로 조성되는 수많은 생태공원의 법적 근거 역시 다양하고 관리주체도 상이하여 체계적으로 지정·관리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도시공원 패러다임의 생태적 전환과 국토 생태계의 총체적, 통합적 관리를 위한 자연공원 체계의 개선을 위해 생태공원의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관련 법령을 분석하여 문제점과 법제적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토교통부와 환경부 법률의 연계성이 떨어지고 이원화된 공원 체계 속에 생태공원의 법적 지위는 모호한 것으로 나타나, 공원 관련 법제의 개정을 통해 생태공원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둘째, 생태공원은 생태계의 보호와 복원,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증진, 자연관찰과 생태학습 및 여가활동의 균형을 도모하며 생태적 방법으로 조성·관리되는 지속가능한 공원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다듬어가야 할 것이다. 셋째, 공원 관련 행정 협력 체계에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체계화하고 거버넌스 구축을 통해 새로운 공원조성·관리 모형을 수립해야한다. 넷째, 생태공원 서식처의 특성은 개별법의 영향을 받으므로 시설 중복결정의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 다섯째, 생태공원의 목표, 원칙, 시설물의 조성 기준을 갖추도록 세부 지침과 표준 조례가 필요하다. 여섯째, 법률의 개정과 더불어 지자체의 조례 역시 구체화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생태공원을 제도적으로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현재 생태공원과 관련된 다양한 법적 현실을 추적한 문헌 연구이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실증적으로 반영하지 못한 한계를 가지나, 이러한 법적 고찰은 생태공원 조성 기반을 체계화하여 도시의 생태계를 보전하며 시민들에게 자연체험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urban parks' ecological functions in dealing with the climate crisis, ecological parks are not clearly defined in Korea's legal system. Numerous ecological parks created nationwide cannot be systematically designated and managed due to various legal bases and var...

주제어

참고문헌 (46)

  1. 국가녹색기술연구소(2022) IPCC 제6차 평가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기후기술 정책대응 연구. 

  2. 김기태(2015) 환경친화적인 국토이용계획을 위한 입법방향. 연세법학 26: 131-145. 

  3. 김병수(2003) 도시공원 및 녹지제도 개선방안. 국토 259: 105-110. 

  4. 김승열(2008) 법령입안기준. 법제처. 

  5. 김아연(2022) 도시의 자연, 생태공원. 한국 조경 50년을 읽는 열다섯 가지 시선. 서울: 도서출판 한숲. 

  6. 김지연(2018) 도시생태공원의 유형분류 및 관리 평가지표 개발: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진원(2023) 남양주시, 천마산 군립공원을 '시립공원'으로 개명. 경기신문. 2023년 8월 10일. 

  8. 김한경(2006) 개정 도시공원법의 주요 내용. 도시문제 4월호: 12-21. 

  9. 문상덕(2014) 도시공원에 관한 법제적 고찰. 지방자치법연구 14(4): 159-186. 

  10. 박문호(2005) 도시공원및녹지등에관한법률의 주요 내용 및 해설. 도시문제 8월호: 107-114. 

  11. 박석균(2004) 도시생태공원의 시설프로그램 계획기준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선희(2013) 이용후 평가를 통한 도심지 생태공원의 효율적 관리 방안: 길동생태공원과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을?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박준홍(2018) 도시생태관광 자원으로서 길동 생태공원의 특성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기전문화연구 39(1):?37-62. 

  14. 백칠웅(2007) 서울시내 생태공원의 조성과 운영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길동생태공원, 여의도샛강 생태공원을 사례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소병천(2011) 자연공원법에 대한 소고. 환경법연구 33(2): 217-241. 

  16. 아키라 카메야마, 노보루 쿠라모토(1998) Eco-Park: Planning and Design for Ecology Park. 이명균 등(역),?생태공원. 서울: 보문당, 2004. 

  17. 오창송(2018) 도시공원 법제도의 변천과 쟁점: 1934년-2017년 국내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오충현(2000) 서울시의 생태공원 정책. 자연보존 110: 4-9. 

  19. 윤익준(2022) 자연환경 보전 법제의 개정동향 및 함의: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계서비스 논의를 중심으로, 환경법연구 44(1): 33-59. 

  20. 이동영(2004) 산림형 생태공원의 계획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전승훈(2000a) 생태공원의 개념과 의의. 자연보존 110: 18-24. 

  22. 전승훈(2000b)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조성 후 3년간의 식물상 변화. 한국조경학회지 82(5): 76-86. 

  23. 조용현(2000) 생태공원. 국관개배수논문집 7(2): 96-97. 

  24. 차윤정(2000) 도시생태공원의 모니터링 계획 및 관리 방안. 자연보존 110: 18-24. 

  25. 최병언, 이경재(2001)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여의도샛강생태공원의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1):?26-38. 

  26. 최정권(2000) 생태공원의 유형과 주요선례. 자연보존 110: 25-33. 

  27. 환경부(2009) '09년도 자연환경보전 이용시설 현황(국비기준). 

  28. 환경부(2016) 자연환경보전 이용시설 조성 국고보조사업 업무지침. 

  29. 환경부(2017) 자연환경보전이용시설 현황. 

  30. 환경부(2023) 제15차 생물다양성협략 당사국총회(COP15) 마무리 - 쿤밍 - 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채택. 보도참고자료. 

  31. Boland, M.(2001) Ecological Parks: A Talk by Michael Boland at the SPUR Citizen Planning Institute.?Urbanist (https://www.spur.org/publications/urbanist-article/2001-06-01/ecological-parks). 

  32. Cranz, G. and M. Boland(2003) The ecological park as an emerging type. Place 15(3): 44-47. 

  33. Cranz, G. and M. Boland(2004) Defining the sustainable park: A fifth model for urban parks. Landscape?Journal 23(2): 102-120. 

  34. Goode, D.(2017) Celebrating the First Ecology Parks in London (https://www.thenatureofcities.com). 

  35. IPCC(2023) Climate Change 2022: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https://www.ipcc.ch/report). 

  36. Power, A. M.(2006) Designing for ecology: The ecological park. MS Thesis. Massachusetts Institute of?Technology. 

  37. 공공데이터포털 https://www.data.go.kr 

  38.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39.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40. 방글라데시 야생동물보호법(wildlife act) https://faolex.fao.org/docs/pdf/bgd165019.pdf 

  41. 부산광역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조례 https://www.elis.go.kr/ 

  42. 서울특별시 도시공원 조례 https://www.elis.go.kr/ 

  43. 인천광역시 도시공원 및 녹지 조례 https://www.elis.go.kr/ 

  44. 자치법규정보시스템 https://www.elis.go.kr/ 

  45. 청주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조례 https://www.elis.go.kr/ 

  46. Law Insider. https://www.lawinsider.com/dictionary/ecopar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