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폭력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구
A Qualitative Study using the Grounded Theory on the Trauma Experiences of State Violence Victims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30 no.1, 2024년, pp.1 - 33  

김석웅 (심리건강연구소) ,  강영신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가폭력 피해자들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일반 트라우마의 차이를 밝히며,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에 도움이 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국가폭력 피해당사자와 가족으로 제주4·3사건 11명, 여수·순천10·19사건 11명, 5·18민주화운동 6명을 포함하여 총 2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170개의 개념과 57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 국가폭력으로 발생한 직접적인 피해들이었으며, 여기에는 외상후 스트레스, 사회적 낙인, 공동체로부터의 고립, 사회·경제적 문제, 가족 해체 등이 있었다. 과정분석 결과, 참여자들의 경험은 '외상', '고립', '저항', '체념', '회복', '성장'의 총 6단계로 구분되었으며, 각 단계는 순차적, 상호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일반 트라우마와의 차이점과 공동체 지지 등의 사회·문화적 요인이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에 중요한 요인임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experiences of victims of state violence, discovered differences between state violence and general trauma, and proposed ways to help heal trauma.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state violence victims and their families in total, including 11 from the Jeju 43 Incident, 11 from...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61)

  1. 강영신 (2015). 재판과정에서 고문생존자의 심리적 재외상. 광주트라우마센터 국제회의발제. 

  2. 권용철, 박종한 (1989).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연구. 제 1편: MMSE-K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8(1), 125-135. 

  3. 김동춘. (1997). 국가폭력과 사회계약: 분단의?정치사회학. 한국산업사회학회: 경제와 사회, 36, 102-127. 

  4. 김명희 (2014). 외상의 사회적 구성-한국전쟁 유가족들의 가족 트라우마와 복합적 과거청산.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101,?311-352. 

  5. 김문선, 강문민서 (2017). 5.18민주화운동 참여자의 80년 5월 이후 삶과 증언치료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4), 451-473. 

  6. 김상숙 (2014). 과거청산을 위한 역사적 진실?규명과 진실화해위원회 보고서-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사회와 역사, 104, 335-376. 

  7. 김석웅 (2019). 국가폭력 가해자 불처벌이 유가족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5.18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19(2), 37-73. 

  8. 김왕배 (2014). '트라우마'의 치유과정에 대한?사회학적 탐색과 전망. 보건과 사회과학, 37, 5-24. 

  9. 김용국 (2019). 생활법률 상식 사전. 위즈덤하우스.? 

  10. 박영주, 신행우 (2007). 사회적 폭력.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2, 294-320. 

  11. 배재창 (2017). 광주.전남 출신 대학생이 5.18민주화운동에 대해 지니는 암묵적 표상.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3(4),?497-525. 

  12. 변주나 (1996). 광주 5.18민주화운동 부상자들의 15년 후 후유증에 관한 연구: 일상생활 변화 및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29(2), 221-259 

  13. 안규수 (2014). 손가락 총. 에세이스트. 

  14. 엄찬호 (2013).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에 대한 분노와 치유. 인문과학연구, 36, 585-607. 

  15. 여수지역사회연구소 (2012). 다시 쓰는 여순사건 보고서. 한국학술정보. 

  16. 오수성 (2013). 국가폭력과 트라우마. 민주주의와 인권, 13(1), 5-12. 

  17. 오수성, 김석웅, 임형문, 박순영 (2016). 광주트라우마센터 발전방안 연구. 광주광역시. 

  18. 오수성, 신현균, 조용범 (2006). 5.18피해자들의 만성 외상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2), 59-75. 

  19. 이영재 (2010). 과거사 피해보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기억과 전망, 23, 199-234. 

  20. 이은경, 이현수 (2007).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계그리기 검사(CDT) 양상. Korean Journal?of Clinical Psychology, 26(2), 511-532. 

  21. 이재승 (2003). 과거청산과 인권. 민주법학, 24.?15-41. 

  22. 이홍석, 이흥표, 권기준, 최윤경, 이재호 (2015).?무엇이 트라우마인가? 진화심리학적 측면에서 본 트라우마의 이해와 분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2), 565-598. 

  23. 정문용, 김남희, 김대호, 김태석, 노대영, 민정아, 박주언, 소형석, 이경욱, 이병철, 정연은, 채정호, 최경숙, 최진희 (2010). 국가보훈대상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전달체계 개발에 대한 연구. 국가보훈처. 

  24. 정호기 (2006). 국가폭력과 피해자보상-5.18민중항쟁의 인적 피해보상 제도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인권, 6(1), 113-145. 

  25. 제주특별자치도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 (2016).?2016년 4.3 생존희생자 및 유족 심리지원사업 보고서. 

  26. 조희연, 조현연 (2002). 국가폭력.민주주의 투쟁.희생에 대한 총론적 이해. 조희연(편), 국가폭력, 민주주의 투쟁, 그리고 희생. 함께읽는책. 

  27.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2009).?2009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https://www.jinsil.go.kr/fnt/nac/selectNoticeList.do;jsessionidrC_VD4S1Y6c0wJFblDeUFEkWKuQXnEs5iaPyQ-Lg.jins_10?bbsIdBBSMSTR_000000000715 

  28. 최상진, 한규석 (2000). 문화심리학적 연구방법론.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4(2),?123-144. 

  29. 최윤경 (2017). 외상후 성장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1), 199-228. 

  30. 최현정, 이훈진 (2016). 한국 현대사 고문 생존자의 내러티브 정체성 형성 과정. 한국게슈탈트상담연구, 6, 29-58. 

  31. 한홍구 (2018). 7일의 항명, 70년의 아픔. 다시보는 여순사건과 한국 현대사. 여순항쟁?70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엄 기조 발제. 

  32. 한홍구, 강은숙, 최현정, 오하린 (2012). 광주트라우마센터 설립을 위한 기초 연구. 평화박물관. 

  33. 황석영 (1996). 광주 5월 민중항쟁일지: 5.18 그 삶과 죽음의 기록. 풀빛. 

  34. 황혜리, 라영안 (2018). 네팔의 지진으로 인한?심리사회적 변화와 외상후 성장 요인에?관한 질적연구. 재활심리연구, 25(2), 283-297. 

  35. Alexander, J. C. (2007). 사회적 삶의 의미: 문화?사회학 (박선웅 역). 한울아카데미. (원전은 2004년 출판). 

  3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and Statistical Manual (5th ed.). American?Psychiatric Association. 

  37. Amris, K. (2005). Chronic pain in survivors of?torture. In Berliner P, Arenas JG, Haagensen?JO (Ed.), Torture and organised violence, 31-69.?Dansk Psykologisk Forlag. 

  38. Barney, G., Glaser, Anselm, L., & Strauss. (2011).?근거이론의 발견: 질적 연구 전략 (이병식, 박상욱, 김사훈 역). 학지사. (원본 출판 1999년) 

  39. Brewin, C. R., & Holmes, E. A. (2003).?Psychological theories of posttraumatic stress?disorder. Clinical Psychology Review, 23, 339-376. 

  40. Creswell, J. W. (2015).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가지 접근-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선 공역). 학지사 (원본 출판 2012년) 

  41. Danieli, Y. (2009). Massive trauma and the healing?role of reparative justice. Journal of Traumatic?Stress, 22, 351-357. 

  42. Davidson, J. R. T., & Foa, E. B. (1991).?Diagnostic issues in posttraumatic stress?disorder: Considerations for the DSM-IV.?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 346-355. 

  43. Draucker, S. S., Martsolf, D. S., Ross, R., & Rusk,?T. B. (2007). Theoretical sampling and?category development in grounded theory.?Qualitative Health Research, 17(8), 1137-1148. 

  44. Dunmore, E., Clark, D. M., & Ehlers, A. (2001).?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the role of?cognitive factors in persistent posttraumatic?stress disorder (PTSD) after physical or sexual?assault.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9, 1063-1084. 

  45. Ehlers, A., & Clark, D. M. (2000). A cognitive?model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38, 319-345. 

  46. Folstein, M., Folstein, S., & McHugh, P. (1975).?"Mini-mental state": a practical method for?gra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clinician.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12, 189-198. 

  47. Heidi, Z., Alyssa, A. R., Alesia, H., Benjamin, E.?S., & Dean, G. K. (2009). Losing a Loved?One to Homicide: Prevalence and Mental?Health Correlates in a national samples of?young adults. Journal of Trauma Stress, 22(1),?20-27. 

  48. Herman, J. (2012). 트라우마: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최현정 역). 열린책들. (원본 출판 1997년) 

  49. Hertz, M. F., Prothrow-Stith, D., & Chery, C.?(2005). Homicide survivors: Research and?practice implications. American Journal of?Preventive Medicine, 29, 288-295. 

  50. Janoff-Bulman, R. (1989). Assumptive worlds and?the stress of traumatic events: Applications of?the schema construct. Social Cognition, 7(2),?113-136. 

  51. Jones, E. E., & Nisbett, R. E. (1972). The actor?and the observer: Divergent perceptions of the causes of behavior. In E. E. Jones, D. E.?Kanouse, H. H. Kelley, R. E. Nisbett, S.?Valins, & B. Weiner (Eds.), Attribution:?Perceiving the Causes of Behavior. Morristown,?General Learning Press. 

  52. Kilpatrick, D. G., & Resnick, H. S. (1992). A?description of theposttraumatic stress disorder?field trial. In J.R.T. Davidson & E. B. Foa?(Ed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SM-IV?and beyond, 243-250. American Psychiatric?Press. 

  53. Kira, I. A., Ashby, J. S., & Lewandowski, L.?(2013). Advances in continuous traumatic?stress theory: Traumatogenic dynamics and?consequences of intergroup conflict: The?Palestinian adolescent case. Psychology, 4, 396-409. 

  54. Kleinman, A. (2002). 사회적 고통: 인간의 고통에 대한 사회학적, 의학적, 문화인류학적접근 (안종설 역). 그린 비. (원본 출판?1997년) 

  55. Lincoln, Y., & Guba, E. (1985). Naturalistic?Inquiry. Beverly Hills, Sage. 

  56. Morse, J. M. (2003). 근거이론 연구방법론 (신경림, 김미영 역). 현문사. (원본 출판 2001년) 

  57. Schiraldi, G. (2000).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ource book. Ill.: McGraw-Hill. 

  58. Schreiber, R. S., & Stern, P. N. (2001). The "how?to" of grounded theory: Avoiding the pitfalls,?In RS Schreiber & PN Stern (Eds.), Using?Grounded Theory in Nursing, Springer Publishing?Company. 

  59. Stern, P. N. & Covan, E. K. (2003). 근거이론?연구방법론 (신경림, 김미영 역). 현문사. (원본 출판 2001년) 

  60.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61.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Sage?Publications, Ltd.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