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트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몰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Controlling Behavior in Dating Relationships: The Mediation Effect of Self-Absorption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30 no.1, 2024년, pp.35 - 53  

박은선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  박지선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데이트폭력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본 연구는 데이트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특히 내면화된 수치심의 네 가지 하위요인(부적절감, 공허, 자기처벌, 실수불안)과 통제행동 간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인 자기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20-30대 미혼 남녀 200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몰입을 더 많이 하고, 데이트 관계에서 상대에 대한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또한, 자기몰입을 더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데이트 관계에서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요인(부적절감, 공허, 자기처벌, 실수불안)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스스로에 대해 부적절감이 높을수록, 공허감을 많이 느낄수록, 자기처벌을 많이 할수록, 실수불안이 클수록 자기몰입을 더 많이 하며, 자기몰입을 많이 할수록 데이트 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dating violence is recently rising as one of the most serious social issue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controlling behavior manifested in dating relationship. We explored the mediation effect of self-absorption, indicating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between 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64)

  1. 강에스더 (2019). 성인애착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 한국가족복지학, 63, 35-63. 

  2. 권진숙, 박시현 (2019). 데이트 폭력 여성피해자의 강압적 통제 경험.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1), 46-58. 

  3. 김가은 (2022). 폭력 허용도가 데이트 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압적 통제의 확대(escalation) 경로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31(3), 27-60. 

  4. 김동현, 박주애, 곽대경 (2021). 연인에 대한 행동통제가 물리적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폭력허용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5(2), 145-160. 

  5. 김아롱, 김정민, 송근아 (2017). 대학생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과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기불일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지행동치료, 17(4), 575-595. 

  6. 김안나, 최보영. (2019). 대학생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억제변인과 유발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26(7), 1-27. 

  7. 김용태 (2010). 사회-심리적 특성으로서 수치심의 이해와 해결. 상담학연구, 11(1), 59-73. 

  8. 김진숙, 문화진 (2021). 성인 남녀의 통제 행동이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젠더 감수성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2(3), 727-741. 

  9. 김혜원, 이지연 (2017).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매개변인탐색: 자기몰입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청소년상담연구, 25(1), 247-270. 

  10. 남순임 (2018).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억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2), 221-241. 

  11. 류석진, 조현주 (2017).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반추가 사회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3), 339-350. 

  12. 박영주 (2018). 대구지역 데이트폭력의 실태 및 요인 분석. 치안정책연구, 32(3), 103-140. 

  13. 박지영, 박주희 (201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생애학회지, 9(2), 69-84. 

  14. 서경현, 안귀여루 (2007).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3(2), 77-96. 

  15. 신재은, 김설민, 전미유, 박두흠, 유승호, 하지현, 유재학 (2015). 한국판 수치심 경험 척도(K-ES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1), 23-39. 

  16. 안현진, 금명자 (2018).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관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6(1), 173-187. 

  17. 오주령, 박지선 (2019).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법, 10(1), 47-65. 

  18. 유고은, 이창배 (2021). 가정폭력 피해경험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66, 291-318. 

  19. 윤혜영, 강지현 (2015).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405-423. 

  20. 이기은, 이종현, 김도연 (2020). 데이트폭력 피해가 경계선 성격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를 통한 복합 외상 후 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6(1), 69-96. 

  21. 이숙정, 권호인 (2021). 남녀의 가해동기와 폭력 정당화가 데이트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4), 391-410. 

  22. 이아람, 이정윤 (2021). 미혼남녀의 내현적 자기애와 데이트 폭력 가해의 관계: 부정적 자동사고와 집착행동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60(3), 177-202. 

  23. 이유경, 장문선, 윤병수 (2013). K-MBSR 프로그램이 방어적 자기초점주의 성향 대학생들의 자기몰입, 정서조절, 심리적 증상 및 마음챙김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35-52. 

  24.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25. 이인혜 (2008). 자기초점주의가 자전기억의 과일반화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자기초점주의의 적응성과 부적응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633-651. 

  26. 이재란, 정근선 (2020). 국내 데이트 폭력 가해 연구 동향 분석. 교정담론, 14(1), 211-241. 

  27. 26.이지연 (2008).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표현의 관계. 상담학연구, 9(2), 353-373. 

  28. 이지영 (2010).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정신병리의 관계: 적응적 대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9(2), 371-388. 

  29. 이지영 (2011). 자기초점적 주의와 정서조절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13-133. 

  30. 이지영, 권석만 (2005).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의 개발: 사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2), 451-464. 

  31. 이태영, 심혜숙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6), 2273-2291. 

  32. 이한올, 박지선 (2022). 특권의식이 데이트 관계에서의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배경향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8(4), 555-575. 

  33. 임정하, 최정원 (2022). 대학생의 아동기 불안정애착과 거부민감성 및 데이트폭력 가해행동 간의 관계. 생애학회지, 12(2), 21-39. 

  34. 임천규, 장은비 (2023).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대인관계 유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0(1), 85-102. 

  35. 정남운, 유은영 (2015). 내면화된 수치심의 임상적 타당성: 자기통제력, 공격성 및 중독가능성과의 상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3), 481-496. 

  36. 정소연, 김동현, 곽대경 (2021). 충동성이 데이트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관계안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5(3), 237-259. 

  37. 조민희, 홍혜영 (2017). 자기초점적 주의와 우울 간의 관계 - 심리적 수용 및 반추의 매개효과 -. 통합치료연구, 8(2), 35-60. 

  38. 조윤경, 현명호 (2020).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반추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5(1), 207-223. 

  39. 조은실, 신미연, 현명호 (2018). 중학생의 자기몰입과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정서변별 어려움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1), 167-185. 

  40. 최임정, 심혜숙 (201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79-492. 

  41. 최현수, 신희천 (2016). 한국판 관계적 수치심 척도(KISI)의 타당화. 상담학연구, 17(2), 81-100. 

  42. 치안정책연구소 (2022). 치안전망 2023. 치안 정책연구소. https://psi.police.ac.kr/police/board/view.do?bbsIdBBSMSTR_000000000156&pageIndex1&nttId158871&menuNo115006000000 

  43. 허수진, 김보경, 김범준 (2019). 성인의 불안애착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통제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법, 10(3), 195-214. 

  44. 홍영오 (2017). 성인의 데이트폭력 가해요인. 형사정책연구, 28(2), 321-353. 

  45. 홍영오, 연성진, 주승희 (2015).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한 연구: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중심으로.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46. Aizpurua, E., Copp, J., Ricarte, J. J., & Vazquez, D. (2021). Controlling Behaviors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Among Women in Spain: An Examination of Individual, Partner, and Relationship Risk Factors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Abus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6(1-2), 231-254. 

  47. Bochon, L., Bird, B. M., & Watson, N. V. (2023). Excluded and ashamed: Shame proneness interacts with social exclusion and testosterone reactivity to predict behavioral aggression. Psychoneuroendocrinology, 157, 106355. 

  48. Cook, D. R. (1988). Measuring sham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Alcoholism Treatment Quarterly, 4(2), 197-215. 

  49. Elison, J., Garofalo, C., & Velotti, P. (2014). Shame and aggressi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9(4), 447-453. 

  50. Hamberger, L. K., Larsen, S. E., & Lehrner, A. (2017). Coercive control in intimate partner violenc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37, 1-11. 

  51. Harper, F. W., Austin, A. G., Cercone, J. J., & Arias, I. (2005). The role of shame, anger, and affect regulation in men's perpetration of psychological abuse 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0(12), 1648-1662. 

  52. Hayes, A. F. (2022).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3rd Ed.). The Guilford Press. 

  53. Higa, C. K., & Daleiden, E. L. (2008). Social anxiety and cognitive biases in non-referred children: The interaction of self-focused attention and threat interpretation biases.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22(3), 441-452. 

  54. Hundt, N. E., & Holohan, D. R. (2012). The role of shame in distinguishing perpetrators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US veteran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5(2), 191-197. 

  55. Ingram, R. E.(1990).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2), 156-176. 

  56. Johnson, H., Eriksson, L., Mazerolle, P., & Wortley, R. (2019). Intimate femicide: The role of coercive control. Feminist Criminology, 14(1), 3-23. 

  57. Kivisto, A. J., Kivisto, K. L., Moore, T. M., & Rhatigan, D. L. (2011). Antisociality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The facilitating role of shame. Violence and Victims, 26(6), 758-773. 

  58. Matheson, F. I., Daoud, N., Hamilton-Wright, S., Borenstein, H., Pedersen, C., & O'Campo, P. (2015). Where did she go? The transformation of self-esteem, self-identity, and mental wellbeing among women who have experienced intimate partner violence. Women's Health Issues, 25(5), 561-569. 

  59. Mor, N., & Winquist, J. (2002). Self-focused attention and negative affect: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28(4), 638-662. 

  60. Stark, E. (2007). Coercive control: How men entrap women in personal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61. Straus, M. A. (2004). Prevalence of Violence Against Dating Partners by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orldwide. Violence Against Women, 10(7), 790-811. 

  62. Straus, M. A., Hamby, S. L., Boney-McCoy, S., & Sugarman, D. B.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 (CTS2)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Family Issues, 17(3), 283-316. 

  63. Tangney, J. P., & Dearing, R. L. (2002). Shame and guilt. Guilford press. 

  64. Wojcik, K. D., Cox, D. W., & Kealy, D. (2019).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shame- and guilt-proneness: Examining the mediating roles of interpersonal problems in a community sample. Child Abuse & Neglect, 98, 10423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