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탄소중립 실효성 제고를 위한 사회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Plan to revitalize soci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bon neutralit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22 no.1, 2024년, pp.1 - 14  

문경삼 (제주특별자치도 농축산식품) ,  하태현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의 탄소중립 실효성 제고를 위헤 도내 초·중·고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교 환경교육은 제외하고, 사회 환경교육의 실태를 문헌연구를 통해 파악하여 부족한 점 또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사회 환경교육을 체계적이고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도출된 방안은 탄소중립 실효성 제고를 위해 환경에 대한 인식 전환과 친환경적 행동 유도의 지침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결과 제주특별자치도는 현재 위탁 중인 환경교육센터의 내실 있는 운영과 지원을 통해 도내에 분산 운영되고 있는 환경교육 기관·단체 및 전문가 그룹과 협의체를 구축하여 환경교육 정책수립에 필요한 현황 파악, 콘텐츠 개발, 정보공유, 역할 분담과 정기적 소통·공감 및 정책 피드백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플랫폼을 구축하고 환경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감성을 자극하고 환경문제를 자기화하는 현장을 중심으로 한 현장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carbon neutralit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is study identifies the current state of social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excluding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being implemen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주제어

표/그림 (10)

참고문헌 (23)

  1.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National?Legislation Information Center. (2022). Paris?Agreement(Paris Agreement. Paris, 12 December?2015).?https://www.law.go.kr/LSW/trtyInfoP.do?mode4&trtySeq12440&vSctparis 

  2.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21). Status?of environmental education facilities and support of?private environmental education institutions, 19-19 

  3. Daeyeon Jeong. (2004). Environmental Sociology.?Seoul: Akanet. 

  4. UNESC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Cultural Organization). (2014a). Ecological Sciences?for Sustainable Development. 

  5. UNESCO. (2014b). Shaping the Future We Want:?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Development (2005-2014). 

  6.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A).?(2018).?https://www.epa.gov/education/what-environmental-education 

  7. Environmental Education Act. (2023). (abbreviated?abbreviation for 'Act on Activation and Support of?Environmental Education'. 

  8. D. G. Lee. (2006). The concept and meaning of?inquir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Environmental Education, 19(1), 80-89 

  9. Ministry of Environment. (2015a). How to live well?together - environmental education. 

  10. Korea Environment Award. (2022).?http://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79507121536868 

  11. S. J. Choi. (2008). Purpose and development?direction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motion?Act. Environmental Information, 31-33. 

  12. S. Bamberg & G. Moeser. (2007). Twenty Years?after Hines, Hungerford and Tomera: A New?Meta-analysi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7(1), 14-25. 

  13. A. E. Wals et al. (2014). Convergence between?Scien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Science, 344,?583-584.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5b). Study on?environmental education project evaluation and improvement plan. 

  15. T. K. Kim et al. (2005). Goals and contents of new?environmental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first half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Education conference, 101-105. 

  16. D. Y. Jeong. (2018). Jeju Island's climate change?status and response strategy. Manuscript presented?at a workshop held by Seogwipo Arts Group on?June 22nd 

  17.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2010).?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plan to respond?to climate change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Province 

  18. D. Y. Jeong. (2022). Jeju Special Self-Governing?Province Climate Change Response Plan for 2050?Carbon Neutrality 

  19. Paper Associat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Province 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 (2019).?Establishing a vision and establishing a system for?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ustainable Development Council 

  20. Jeju City. (2023.6). resident registration population?statistics - statistical information - information?disclosure https://www.jejusi.go.kr>statistics>population 

  21. B. M. Kim. (2017). Critical review and policy?suggestions on climate change response plans in?Jeju: Focusing on the response status of industrial?companies. Doctoral thesis, Department of?Sociology,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22. D. Y. Jeong. (2013). The role of civic groups in?climate change. Manuscript presented at a?workshop host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Province Agenda 21 Council on November 8 

  23. T. Y. Kim & D. Y. Jeong. (2018). Jeju Special?Self-Governing Province Environmental Education?Evaluation Index and Evaluation System?Development Research. Jeju Research Institut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