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생활 균형과 구성원간 갈등관계 : 직장 내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효과 중심으로
Work & Life Balance and Conflict among Employees : Work-life Balance Effect that Reflects Work Characteristics

벤처혁신연구 =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v.7 no.1, 2024년, pp.183 - 200  

이양표 (한전KPS주식회사) ,  최창범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던 기존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를 활용하고 있는 공공기관 및 기업은 업무성격과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의 활성화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따라, 회사에서 실질적으로 운영중인 WLB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보편타당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생활 균형 수준 향상을 위한 제도는 남녀 노동자의 일·가정 양립 여건을 제고하고 MZ세대의 직장에 대한 이상적 가치관과 부합하며, 융통성 있는 경력 설계를 가능하게 해 여성의 노동시장 탈락을 예방하고,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있다. 또한, MZ세대의 사회진출과 여성인구(Working Mom)의 사회참여로 WLB을 중시하는 직장내 그룹은 협업을 중시하는 기존 직장 그룹과 업무지향점의 차이로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회사 및 조직은 유연근무제도 등 일·생활 균형과 업무성격에 따라서 직무몰입에 차이를 보인다. 이에 공공기관 및 중견·대기업에서 실제 운영 중인 WLB를 위한 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보편타당한 WLB 지원제도의 합의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근로환경에 대한 정책과 인식이 변화하는 가운데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실무적 합의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 및 업무성격에 따른 직무몰입 영향을 분석하여 업무 특성을 반영한 WLB 운영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상호간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이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2x2 매트릭스 모형으로 구성하여 상호간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4가지 갈등형, 주도형, 동조형, 협동형 그룹으로 분류하여 상호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첫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협업 지향적인 갈등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입장의 협업을 강조하는 업무 형태에서는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를 도입하는데 제한된 입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일·생활 균형 수준이 높고, 개인 지향적인 주도형 그룹은 직무몰입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MZ세대의 사회진출 및 여성인구의 고용률 증가를 반영하여 개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업무처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활성화하여 WLB 수준과 부합할 때 직무몰입에 대한 동기부여가 가능하며,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의 적절한 활용이 가능함이 검증 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일·생활 균형 수준과 업무 성격을 요인으로 구성원의 성격을 세분화한 것이며, 실무적 시사점은 공공기관 및 대기업에서 운영중인 WLB 지원 제도를 그룹화하여 효과성을 분석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다양한 조직이나 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폭넓게 설정하고, 일·생활 균형을 위한 지원제도와 업무성격을 세분화 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ith the MZ generation's entry into society and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female population, conflicts are occurring between workplace groups that value WLB and existing groups that emphasize collaboration due to differences in work orientation.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that...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39)

  1. 강우란, 배노조, 정지영 (2006). 경영의 새 화두: 일과 생활의 균형. 삼성경영연구소 CEO Information, 558, 1-21. 

  2. 김석영.이수진.박은경.손승연.윤석화.박희태(2012). 일-가정 갈등이 정서적 고갈과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관리학회, 36(3), 103-133. 

  3. 김지현 (2021). 유연근무제도 사용이 기혼여성 관리자의 일-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 사회보장연구, 37(3), 5-40. 

  4. 박상언.최민오(2013). 가정친화제도의 효과성과 직장: 가정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경영학연구, 42(2), 355-381. 

  5. 박원철(2012). 스마트워크 유용성 지각과 일-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정민, 윤영채 (2018). 차별적 경험과 성역할 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9(3), 21-38. 

  7. 김종순 (2019). 집단지성이 공공기관 팀 성과와 구성원의 조직,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다양성과 협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경환 (2015). 유연근무제의 도입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1-25. 

  9. 방진아(2021). 근로시간 유연화가 여성 관리자의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방진아 (2022). 일.가정 양립을 위한 근로시간 유연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설승환 (2014). 일 생활 균형(WLB)을 위한 지원제도와 지원분위기가 직무만족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사 지원과 배우자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손영미, 박정열 (2015). 한국 기혼여성근로자의 일-가정 양립 관련 가치관이 일-가정 갈등 및 촉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7), 203-215. 

  13. 송다영.장수정.김은지(2010). 일가족양립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직장내 지원과 가족지원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3), 27-52. 

  14. 윤병훈.최응렬 (2014). 경찰공무원의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에 관한 인식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3(1), 92-114. 

  15. 윤홍식 (2006).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06~2010의 평가와 전망. 젠더리뷰, 1(-), 24-33. 

  16. 이선경, 이춘우, 김상순 (2014).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 관리연구, 21(5), 245-262. 

  17. 이수연, 김효선(2017). 인지된 유연근무제 활성화가 조직성과와 일가족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성형평적 문화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7(3), 1-18. 

  18. 이유덕.송광선(2009). 가족친화경영, 직무특성, 가족특성, 그리고 일과 삶의조화, 인적자원관리연구, 16(4) 213-236. 

  19. 이혜정, 유규창 (2012). 일가정 양립제도와 여성근로자의 지각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 80(1), 37-79. 

  20. 정미주, 임상호 (2016). 여성 근로자의 일.가정양립지원제도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1(2), 41-47. 

  21. 정영금(2005). 기혼취업영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4), 113-122. 

  22. 최수형, 강희경, 안나 (2015). 동료에 대한 신뢰가 집단성과에 미치는 영향: 집단지성의 매개효과와 과업상호의존성의?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22(1), 147-169. 

  23. 최슬기(2020). 스마트워크의 조직과 개인의 만족도와 일과 삶의 균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한영선, 정영금 (2014). 유연근무제도가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 및 촉진,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4), 1-26. 

  25. 홍병윤(2017). 일과 삶의 균형(WLB)지원제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공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Ashforth, B. E., Schinoff, B. S., & Rogers, K. M. (2016). I identify with her, I identify with him: Unpacking?the dynamics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41(1), 28-60. 

  27. Austin, J. E. (2000). Strategic collaboration between nonprofits and businesses. Nonprofit and voluntary?sector quarterly, 29(1_suppl), 69-97. 

  28. Aziri, B. (2011). Job satisfaction: a literature review. Management Research & Practice, 3(4), 77-86. 

  29. Beauregard, T. A., & Henry, L. C. (2009). Making the link between work-life balance practic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9(1), 9-22. 

  30. Clark S. C.(2000). Work/family border theory: A new theory of work/family balance. Human Relations,?53(6), 747-770. 

  31. Estes, S. B., & Michael, J. (2005). Sloan Network Encyclopedia Entry. 

  32. Galinsky, E., Friedman, D. E., & Hernandez, C. A. (1991). The corporate reference guide to work-family?programs. Families and Work institute. 

  33. Glass, J, L., & Finley, A. (2002). Coverage and effectiveness of family -responsive workplace polices.?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2(3), 313-337. 

  34. Guest D. E.(2002). Human resource management, corporate performance and employee well-being:?building the worker into HRM. Journal of Industrial Relations, 44(3), 335-58. 

  35. Jenni, R. W., & Mauriel, J. (2004).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reality or rhetoric?. International?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7(2), 181-195. 

  36. Kinsella-Meier, M. A., & Gala, N. M. (2016). Collaboration: Definitions and Explorations of an Essential?Partnership. Odyssey: New Directions in Deaf Education, 17, 4-9. 

  37. Kossek E. E.(2016). Managing work-life boundaries in the digital age. Organizational Dynamic, 45(3),?258-270. 

  38. Lambert, S. J. (1990). Processes linking work and family: A critical review and research agenda. Human?relations, 43(3), 239-257. 

  39. Leonard, P. E., & Leonard, L. J. (2001). The collaborative prescription: Remedy or reverie?. International?Journal of Leadership in education, 4(4), 383-3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