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플랜트 시설물 제연설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moke Removal Equipment in Plant Facilities Using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20 no.1, 2024년, pp.40 - 46  

최두찬 (KF UBIS CO., Ltd) ,  양민혁 (KF UBIS CO., Ltd) ,  고민혁 (KF UBIS CO., Ltd) ,  오수민 (KF UBIS CO., Ltd)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플랜트 시설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연경계벽의 폭 및 제연설비의 유무와 피난 안전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제연경계 벽의 폭, 수직거리에 따른 급기량, 배기량의 변화를 통해 피난 안전성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도의 경우 경계벽 0.6m 만을 사용한 경우 5m 이하로 되는 시점이 가장 짧게 도달하였으며 제연경계 폭 1.2m와 제연설비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0%긴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의 경우 제연설비를 사용하지 않고 경계 폭만 사용하였을 때 0.6m 보다 1.2m가 20%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제연 경계벽에서는 온도를, 제연설비에서는 가시도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나, 반대로 제연 경계벽의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 가시도의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제연설비를 설치하였을 때 온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정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제연계획과 제연 설비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in order to ensure the evacuation safety of plant facilities,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of smoke removal boundary walls,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oke removal equipment, and evacuation safety. Method: Using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s, evacuation 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플랜트 시설물의 피난에 대한 효율성을 연구하기 위해 실제 운용중인 플랜트 시설물을 활용하여 A구역 부터 E구역까지 제연경계벽과 제연설비를 적용하는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제연경계벽의 폭 및 제연설비 설치 유무와피난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Choi, S.G. (2018). "A study on the smoke control design parameter of large volume space by fire dynamic?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9, No. 11, pp. 237-243. 

  2. Kim, D., Jeong, J., Park, S., Go, J., Yeom, C. (202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optimal evacuation route through?evacuation simulation system in case of fire."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6, No. 1, pp. 96-110. 

  3. Kim, M.S., Baek, E.S. (2017). "A study on improvenment of livingroom smoke-control system using the FDS." Fire?Science and Engineering, Vol. 31, No. 04, pp. 26-34. 

  4. Lee, S.G., Min, S.H. (2023). "A model experiment study to secure the straight line distance between the air inlet and?exhaust section of the living room."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9, No. 2, pp. 439-450. 

  5. Nam, G.T., Lee, D.H., Choi, D.C. (2022). "Fire risk analysis of petrochemical plant facilities through fire modeling."?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6, No. 06, pp. 131-14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