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온라인창업 교육을 위한 전자책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book Contents for Fashion Online Entrepreneurship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6 no.1, 2024년, pp.33 - 44  

정화연 (국제대학교 엔터테인먼트학부) ,  홍은희 (경상국립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e-book content in order to use e-books as a tool to provide more efficient classes to learners who are familiar with smart devices and online spaces. E-book contents were produced using Sigil-0.9.10. The development process is as follows. Before e-book development, it is necessa...

주제어

참고문헌 (23)

  1. 교육부. (2014). 2014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활성화 계획(안). 세종: 교육부. 

  2. 김성식, 안성훈, 이건남, 최숙기, 김길모, 유지은, 서례숙. (2015). 2015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교육과학기술부발간물. 세종: 교육부. 

  3. 김소형, 정용화. (2003). 전산회계 전자교재(e-Textbook) 개발에 관한 연구. 직업능력개발연구, 6(1), 117-140. 

  4. 김인수. (2017). 학생선수를 위한 게임화 전략 기반 전자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학생선수의 인식 탐색. 한국스포츠학회지, 15(4), 711-720. 

  5. 김재경, 허경, 서우석, 손원성. (2013). 대학 교육에서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전략 - 추진 체계 확립과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전자출판연구, 2, 21-27. 

  6. 노상진. (2014). 스마트교육을 위한 공간정보 콘텐츠 개발방안 연구 : 전자교과서를 사례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류지헌, 정효정. (2013). 원격대학 학습자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 사용의도에 대한 기술수용모형 분석. 교육방법연구, 25(3), 623-647. 

  8. 송철욱. (2000). 전자책 읽을까, 종이책을 읽을까. PCLINE 8월호. 

  9. 이두걸. (2010. 04. 10). e-book특집, 전자책의 역사. 서울신문. 자료검색일 2023. 5. 16, 자료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00410011005 

  10. 이성혜, 최효선, 채유정. (2018). 중.고등학생의 전자교재 기반 온라인 학습 경험 모형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2), 331-361. 

  11. 이정춘. (2000). 디지털 시대의 전자책(e-book) 발전 방향, e-book의 시장 전망과 문제점. 문화관광부. 

  12. 이종문. (2021). 대학생 대상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강의 콘텐츠 운영 실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2(4), 5-24. 

  13. 장충재. (2011). E-Book을 활용한 교과 수업 학습만족도 및 성취도 분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정화연. (2022). 무료온라인쇼핑몰 만들기. 서울: 유페이퍼. 

  15. 정화연. (2022). 패션학과 내 전자책(e-book)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춘계학술대회. 83-84. 

  16. 정효정. (2014). 성인학습자를 위한 전자교재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 Adobe DPS 기능을 활용한 디지털 퍼블리싱 사례를 중심으로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582-590. 

  17. 정효정, 류지헌, 나청수. (2013). 스마트패드용 전자교재의 설계유형에 따른 사용편의성, 인지부하,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9(3), 547-572. 

  18. Daniel, D. B., & Woody, W. D. (2013). E-Textbooks at what cost? Performance and use of electronic v. Print texts. Computers & Education, 62, 18-23. 

  19. Lau, K. H., Lam., T., Kam, B. H., NKjoma, M., Richardson, J., & Thomas, S. (2018). The role of textbook learning resources in e-learning: A taxonomic study. Computers & Education, 118, 10-24. 

  20. Rockinson-Szapkiw, A. J., Courduff, J., Carter, K., & Bennett, D. (2013). Electronic versus traditional print textbooks: A comparison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Computers & Education, 63, 259-266. 

  21. Weisberg, M. (2011). Student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s digital textbooks. Publishing Research Quarterly, 27(2), 188-196. 

  22. Weng, C., Otanga, S., Weng, A., & Cox, J. (2018). Effects of interactivity in E-textbooks on 7th graders science learning and cognitive load. Computers & Education, 120, 172-184. 

  23. Yair, Y. Y. (2014). Print vs. digital books in distance education. ACM Inroads, 5(1), 28-2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