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출생 문제해결을 위한 한자녀 기혼여성의 후속 출산의향 예측: 머신러닝 방법의 적용
Predicting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with One Child to Solve the Low Birth Rate Problem in Korea: Application of a Machine Learning Method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20 no.2, 2024년, pp.127 - 143  

전효정 (동아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chine learning model to predict the subsequent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with one child, aiming to address the low birth rate problem in Korea, This will be achieved by utilizing data from the 2021 Family and Childbirth Survey conduc...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37)

  1. 강경희, 전홍주 (2013). OECD 국가의 양육지원 정책과 출산율 분석: 현금지원 정책, 보육시설서비스 정책, 조세혜택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197-221.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197 

  2. 강유진 (2007). 둘째 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4), 639-653. 

  3. 강은영, 진미정, 옥선화 (2010). 비혼 여성의 비혼 자발성 관련 요인 탐색: 결혼 및 가족 가치관을 중심으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2), 135-144. 

  4. 김정석 (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2), 97-116. 

  5. 박수미 (2008). 둘째 출산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 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9-77. 

  6. 배광일, 김경신 (2011). 생태학적 변인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2), 123-149. 

  7. 배혜원 (2017a). 한국 저출산 문제와 가족 정책 방향. 가족과 문화, 29(3), 211-234. 

  8. 배혜원 (2017b). 기혼여성의 가족가치관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251, 86-100. 

  9. 백지희 (2020). 만 1세 첫째 자녀의 성별과 기질이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계획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19-34.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019 

  10. 서정연, 김한곤 (2015a). 한국의 결혼과 출산에 대한 생태계 동인성 분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9(3), 3-23. 

  11. 서정연, 김한곤 (2015b). 출산자녀수별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인구학, 38(3), 1-24. 

  12. 송다영 (2013a).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한 진단과 정책적 대응.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 송다영 (2013b).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생애주기별 복지와 돌봄패러다임. 페미니즘연구, 13(1),?93-129. 

  14. 송유진 (2014). 기혼여성의 자녀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5(3),?339-347. https://doi.org/10.7856/kjcls.2014.25.3.339 

  15. 신인철 (2009). 기혼여성의 자녀출산계획에 대한 공간효과 분석. 한국인구학, 32(2), 59-85. 

  16. 이미옥, 명성준 (2015). 출산장려정책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29(1), 331-350.?https://doi.org/10.18398/kjlgas.2015.29.1.331 

  17. 이완, 채재은 (2017). 기혼여성의 자녀가치관과 추가출산의향 간의 관계에서 출산장려정책의 조절효과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9), 65-78. https://dx.doi.org/10.14400/JDC.2017.15.9.65 

  18. 이철희 (2018). "한국의 출산장려정책은 실패했는가?" 2000년-2016년 출산율 변화요인 분해. 경제학연구, 66(3), 5-42. 

  19. 장한나, 이명석 (2013). 기혼 직장여성의 출산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1(4),?425-438. 

  20. 최미란, 장경은 (2017). 영아기 첫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후속 출산의도의 관계: 직업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4), 53-73.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4.053 

  21. 차승은 (2008a). 한국의 저출산 문제: 출산행동에 대한 인과관계 모형 분석. 한국인구학, 31(1),?1-28. 

  22. 차승은 (2008b).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 자녀 출산계획: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3, 111-134. 

  23. 통계청 (2023). 2023년 11월 인구동향 보도자료.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82662_1&rs/assist/synap/preview 2024년 1월 31일 인출함. 

  2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2021년도 가족과 출산조사 자료. https://data.kihasa.re.kr/kihasa/kor/contents/ContentsList. html 2023년 10월 24일 다운로드함. 

  25. Anderson, T., & Kohler, H. (2015). Fertility,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Gender Equity. Population?and Development Review, 41(3), 381-407. https://doi.org/10.1111/j.1728-4457.2015.00065.x 

  26. Choi, Y., & Kwon, S. (2018). Work-Family Balance Policies in South Korea. In The Palgrave?Handbook of Family Policy (pp. 483-505). Palgrave Macmillan, London. http://doi:library.oapen.org/handle/20.500.12657/46123 

  27. Cho, N., & Yoo, S. H. (2018). The Impact of the Financial Incentives for Childbearing on Fertility?in South Korea.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39(1), 81-93. http://doi:org/10.1186/s12889-022-14722-4 

  28. Duvander, A., & Andersson, G. (2008). Gender Equality and Fertility in Sweden?A Study on the Impact of the Father's Uptake of Parental Leave on Continued Childbearing.?Marriage & Family Review, 39(2), 121-142. https://doi.org/10.1300/J002v39n01_07 

  29. Fernandez-Delgado, M., Cernadas, E., Barro, S., & Amorim, D. (2014). Do we Need Hundreds of?Classifiers to Solve Real World Classification Problems? Journal of Machine Learning?Research, 15, 3133-3181.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279556630. 

  30. Jeong, K., Yoon, J., Cho, H., Kim, S., & Jang, J. (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korean fertility rate and policies to encourage fertility. BMC Public Health, 22, 2298.?https://doi.org/10.1186/s12889-022-14722-4 

  31. Kwon, E., & Chang, H. (2019). The Influence of Social Recognition on the Fertility Intentions of?Young Korean Adults.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45(3), 597-620. https://doi.org/10.1093/pubmed/fdx1281258728K 

  32. Lee, S. (2019). The Effects of the Fertility Policy on Marriage and Fertility in South Korea. Journal?of Population Economics, 32(4), 1261-1294. 

  33. McDonald, P. (2000).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Population and Development?Review, 26(3), 427-439.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0.00427.x 

  34. Mills, M., Mencarini, L., Tanturri, M. L., & Begall, K. (2008). Gender Equity and Fertility Intentions?in Italy and the Netherlands. Demographic Research, 18(1), 1-26. https://www.jstor.org/stable/26347977 

  35. Seo, S. H. (2019). Low fertility trend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problems of its family and?demographic policy implementation. Population and Economics, 3(2), 29-35. https://doi.org/10.3897/popecon.3.e37938 

  36. Simundic AM. (2012).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data presentation in?Biochemia Medica journal. Biochemia Medica. 22, 15-23. DOI: 10.11613/BM.2012.003 

  37. Zhang, T., Cai, X., Shi, X., Zhu, W., & Shan, S. (2023). The Effect of Family Fertility Support Policies?on Fertility, Their Contribution, and Policy Pathways to Fertility Improvement in OECD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 4790.?https://doi.org/10.3390/ijerph2006479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