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의 영유아 관련 세부목표의 우선순위 분석
Priority Analysis of Sub-goals Related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Using the Delphi Techniqu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6 no.3, 2020년, pp.1 - 17  

전효정 (동아대학교 아동학과) ,  고은경 (동아대학교 휴먼라이프리서치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prioritize sub-goals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among the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Methods: The expert panel of this study consisted of 15 faculty member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r children'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유아 관련 세부지표에 대한 중요도를 조사함으로써 대상집단에 대한 모호함을 부분적으로 해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부목표들 간의 우선순위를 밝힘으로서 실제 이행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데 기여하였다. 앞으로는 아직 대상이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은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와 세부목표에 대해 영유아와의 관련성을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영유아가 수혜대상임을 명시화하는 것, 구체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지표 개발 및 보완, 그리고 이행 수단과 평가 방법이 구체화될 수 있도록 공론화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K-SDGs의 세부목표들에서 영유아의 권리와 복지를 대상으로 하는 목표를 선정하고, 나아가 선정된 영유아 관련 세부목표들 사이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를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정책수단과 평가방법을 고안하는데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의 세부목표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목표를 선정하고, 선정된 영유아 관련 세부목표들 사이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K-SDGs의 세부목표들에서 영유아의 권리와 복지를 대상으로 하는 목표를 선정하고, 나아가 선정된 영유아 관련 세부목표들 사이에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를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정책수단과 평가방법을 고안하는데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진주 (2017). 유아의 참여권과 교육에서 기록화. 한국육아지원학회 학술대회지, 109-113. 

  2. 국민건강보험공단 비만대책위원회 (2016). 비만백서. 원주: 국민건강보험공단. 

  3. 김수진 (2018). SDGs 세부목표와 인권 연계 수준 분석 - 인권기준 및 취약그룹별 접근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 13(2), 109-170. doi:10.34225/jidc.2018.2.109 

  4. 김은주, 박정호 (2020). 글로벌 정책목표의 국내이행: 모호성 개념에 기반한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이행실태 분석. 한국행정논집, 32(1), 51-68. doi:10.21888/KPAQ.2020.03.32.1.051 

  5. 김해연, 강진숙 (2016). 국내 아동학대 뉴스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원영이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0(6), 283-312. doi:10.20879/kjjcs.2016.60.6.010010 

  6. 김영란, 배성문, 박경숙 (2016). 어머니가 인식하는 영.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실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337-374. 

  7. 김호현 (2019). 권리의 위계: 영유아 교실 내 더 중요한 권리와 덜 중요한 권리의 구분 가능성 탐색. 아동과 권리, 23(2), 215-233. doi.10.21459/kccr.2019.23.2.215 

  8. 나원정, 장민영, 이승연 (2015). 유아의 참여 및 참여권에 대한 고찰. 어린이미디어연구, 14(4), 307-339. 

  9. 류정희, 이상정, 전진아, 박세경, 여유진, 이주연, 김지민, 송현종, 유민상, 이봉주 (2019). 2018년 아동종합실태조사. http://www.mohw.go.kr/react/gm/sgm0601vw.jsp?PAR_MENU_ID13&MENU_ID1304020703&page1&CONT_SEQ293112에서 2020년 5월 10일 인출. 

  10. 박경희 (2017).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주의집중력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진완 (2018). 미래세대를 위한 세대간 정의실현의 문제로서 지속성의 원칙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법과 정책, 24(2), 115-152. doi.10.36727/jjlpr.24.2.201808.005 

  12. 박태순, 김승희 (2019). 참여권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유아교육기관의 일과 중 유아 참여권 보장 실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3(2), 225-255. doi:10.22590/ecee.2019.23.2.225 

  13. 보건복지부 (2020, 3). 포용국가 아동정책.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4849에서 5월 19일 인출. 

  14. 유은혜 (2018). 인권교육, 사회자본과 아동.청소년의 차별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논총, 21(2), 75-97. doi:10.31625/issdoi.2018.21.2.75 

  15. 유지형, 문혜련 (2017).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과 과잉행동, 충동성 및 부주의 간의 관계.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1(1), 39-63. doi:10.22590/ecee.2017.21.1.39 

  16. 윤재희 (2012). 여자유아의 젠더구성에 참여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실제에 관한 연구. 인문연구, 65, 449-474. 

  17. 이성훈 (2017).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인권기반 개발협력. 국제개발협력, 12(4), 3-38. doi:10.34225/jidc.2017.4.3 

  18. 이종성 (2006).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19. 이지혜, 이대균 (2019). 미세먼지 문제로 인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고민과 실천에 대한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4(1), 157-193. doi:10.20437/KOAECE24-1-07 

  20. 장형윤, 이지원, 신윤미, 박은진, 유희정 (2016). 영유아에서의 스마트기기 및 영상물 노출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영유아 아동 정신건강연구, 9(1), 55-70. 

  21. 정유리, 권귀염 (2017). 유아들의 젠더 개념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351-379. doi:10.20437/KOAECE22-5-15 

  22. 조유나, 오선영 (2018). 보육교사의 양성평등 의식 및 실행 수준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2(2), 225-245. doi:10.22590/ecee.2018.22.2.225 

  23. 지옥정, 김경숙 (2018). 미세먼지 상황이 가져 온 유아교사들의 업무 변화. 어린이미디어연구, 17(3), 1-29. doi:10.21183/kjcm.2018.09.17.3.1 

  24. 환경부 (n.d.).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세부목표 및 지표. http://www.ncsd.go.kr/ksdgs?content3에서 2019년 9월 25일 인출 

  25. 황옥경 (2012). 영유아기 권리에 대한 유엔의 권고 분석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일반논평을 중심으로 -. 아동과 권리, 16(1), 27-49. 

  26. Ayre, C., & Scally, A. J. (2014). Critical values for Lawshe's content validity ratio: Revisiting the original methods of calculation.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47(1), 79-86. doi:10.1177/0748175613513808 

  27.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 563-575. 

  28. Linstone, H. A., & Turoff, M. (1975). The Delphi method, techniques and applications.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29. Minujin, A., & Ferrer, M. (2016). Assessin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rom the standpoint of equity for children. Journal of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Social Policy, 32(1), 98-115. doi: 10.1080/21699763.2016.1200111 

  30. Meadows, D. H., Meadows, D. L., Randers, J., & Behrens, W. W. (1972). The limits to growth: A report for the club of rome's project on the predicament of mankind. New York: Universe Books. 

  31. Murry, J. W., & Hammons, J. O. (1995). Delphi: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18(4), 426-436. doi:10.1353/rhe.1995.0008 

  32. OHCHR (n.d.). Human rights an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trieved May 19, 2020, from https://www.ohchr.org/EN/Issues/SDGS/Pages/The2030Agenda.aspx 

  33. Richardson, D., Brukauf, Z., Toczydlowska, E., & Chzhen, Y. (2017). Comparing child-focus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in high-income counties: Indicator development and overview. Retrieved December 20, 2018 from https://www.unicef-irc.org/publications/pdf/IWP_2017-08.pdf 

  34. UN General Assembly (2015).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Retrieved May 19, 2020 https://www.un.org/ga/search/view_doc.asp?symbolA/RES/70/1&LangE 

  35. UNICEF Office of Research (2017). Building the future: Children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n rich countires. Retrieved May 20, 2018 from https://https://www.unicef-irc.org/publications/pdf/RC14_eng.pdf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