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13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nursing colleges of C city in Gyungnam.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13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nursing colleges of C city in Gyungnam.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online-questionnaire from 5 January to 18 January, 202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7.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Factor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were teaching presence(presence of teacher)(𝛽=.43, p<.001), instructional quality(content qualities)(𝛽=.41, p<.001),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satisfaction)(𝛽=.13, p<.001). instructional quality(interface)(𝛽=.12, p=.036), which explained about 85.3% of total variance(F=192.78,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classes that prioritize the presence of teacher so that learners can recognize and trust the presence of teacher by passionately professional performing. And, among instructional quality, we should be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learning materials, content factors related to tests and assignments, and strive to improve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operate classes that fully consider the interface factors related to the manual composition and system convenience for online classes among the quality factors of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138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C nursing colleges of C city in Gyungnam. Data was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online-questionnaire from 5 January to 18 January, 202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WIN 27.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Factor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o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during COVID-19 pandemic were teaching presence(presence of teacher)(𝛽=.43, p<.001), instructional quality(content qualities)(𝛽=.41, p<.001),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satisfaction)(𝛽=.13, p<.001). instructional quality(interface)(𝛽=.12, p=.036), which explained about 85.3% of total variance(F=192.78,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non-face-to-face classes, it is necessary to operate classes that prioritize the presence of teacher so that learners can recognize and trust the presence of teacher by passionately professional performing. And, among instructional quality, we should be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learning materials, content factors related to tests and assignments, and strive to improve satisfaction of nursing maj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operate classes that fully consider the interface factors related to the manual composition and system convenience for online classes among the quality factors of classes.
따라서, COVID-19 팬데믹으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해 자기주도학습능력과 교수실재감, 수업의 질 및 수업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아 향후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비대면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온라인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비대면 수업 시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수업만족도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교수실재감과 수업의 질은 온라인 비대면 상황에서 수업 개선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부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즉,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실재감(수업의 체계적 실행영역), 교수실재감(학습 촉진 및 점검영역), 교수실재감(교수자 존재감 영역), 수업의 질(시스템 요인), 수업의 질(서비스 및 운영 요인), 수업의 질(인터페이스 요인), 수업의 질(내용 요인) 및 수업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온라인 비대면 수업 진행 시 수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수실재감 중 교수자 존재감, 수업의 질 중 내용 요인, 간호학에 만족하는 경우, 수업의 질 중 인터페이스 요인의 순서로 밝혀졌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자는 COVID-19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전면 온라인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된 경남 C시에 소재한 C 대학 간호학과 3, 4학년 학생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이다.
80, 예측변수 11개를 기준으로, 필요한 대상자 수는 123명이었으나 탈락률 10%를 고려하여 최소 표본 수는 137명이 산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총 148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통계분석 시 케이스별 진단으로 10부를 제외하여 138명을 최종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구글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경남 C시에 위치한 C 대학 내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간호대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였다. 구글 온라인 설문지에 연구 참여 동의 문항을 넣어 동의하면 설문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데이터처리
제 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실재감, 수업의 질, 수업만족도의 차이는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으며,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온라인 비대면 수업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0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대상자의 제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제 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실재감, 수업의 질, 수업만족도의 차이는 t-test, ANOVA, 사후검증은 Scheffé test로 분석하였으며,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온라인 비대면 수업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 중 범주형 변수는 더미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본 연구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이석재[17]가 개발한 도구를 진서연[18]이 전문가 집단과 대학생에게 타당도를 검증한 후 수정 보완한 도구 25문항으로 측정하였다. 각 문항은 ‘매우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교수실재감은 고은현[19]이 이러닝 환경에서 개발한 도구를 고등교육 이러닝 수업에서 차민정[20]이 수정한 도구로 총 15개 문항을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수업의 체계적 실행 영역 5문항, 학습 촉진 및 점검 영역 5문항, 교수자의 존재감 영역 5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교수 실재감 인식 수준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수업의 질은 이종연과 서종택[21]이 원격 평생교육 수업의 질적 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후 수정한 총 16개 문항이다. 시스템 요인은 온라인 강의 홈페이지나 시스템 접속, 자료 다운로드 등, 서비스 및 운영 요인은 수업계획서 및 과목 관련 안내 등, 인터페이스 요인은 매뉴얼 구성 및 시스템 편리성, 내용 요인은 학습자료의 유용성 및 시험, 과제물과 관련된 사항을 포함하며 네 요인은 각 4문항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수업만족도는 주영주 등[22]이 개발한 도구를 유민우[23]가 수정한 내용/설계요인 5문항과 전반적 만족도 요인 4문항인 총 9문항으로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Likert 5점 척도로, 점수가 높을수록 수업만족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성능/효과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교수 실재감은 전공만족도(t=-6.41, p<.001), 교우관계(t=-3.10, p=.002), 학교생활(F=12.48,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전공만족도(t=-4.14, p<.001), 교우관계(t=-3.08, p=.003) 및 학교생활(F=12.48,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자기주도학습능력 95.34점, 교수실재감 64.93점, 수업의 질 68.10점, 수업만족도 38.36점으로 나타났다(Table 2).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의 질은 전공만족도(t=-4.73, p<.001), 교우관계(t=-2.71, p=.008), 비대면 수업 여부(t=3.379, p=.006), 학교생활 (F=9.93,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는 전공만족도(t=-6.49, p<.001), 교우관계(t=-3.62, p<.001), 비대면 수업 여부(t=2.16, p=.033), 학교생활 (F=16.01,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학교생활이 적극적인 경우는 소극적인 경우보다, 보통인 경우보다 수업만족도 점수가 높았다(Table 2).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대한 회귀모형을 분석한 결과,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192.78, p<.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85.3%였다
가장 영향력 있는 예측 요인은 교수실재감(교수자 존재감)(β=.43, p<.001)이었고, 수업의 질(내용 요인)(β=.41, p<.41), 간호학 만족도(만족)(β=.13, p=.001), 수업의 질(인터페이스 요인)(β=.12, p=.036)의 순서로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첫째,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교수실재감 영역 중 교수자 존재감이었다. 이는 교수실재감이 온오프라인 교육을 융합한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의 만족도를 높게 만든다는 선행연구 결과[9]와 비슷한 맥락을 보였다.
둘째,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두 번째 요인은 수업의 질 중 내용 요인이었다. 이는 교수자의 충실한 수업활동, 학습자의 수업참여활동(질문, 과제), 교수-학생 간의 의사소통이 수업의 질을 향상하며 수업만족을 초래한다는 선행연구 결과[25]와 일맥상통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세 번째 요인은 간호학에 만족하는 경우였다. 이는 비대면 수업에서 전공에 관한 관심이 현저히 저하된다고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27]와는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네 번째 요인은 수업의 질 중 인터페이스 요인이었다. 인터페이스 요인은 매뉴얼 구성 및 시스템 편리성과 관련된 사항을 포함하는 수업의 질을 말한다[21].
본 연구결과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수업만족도에 주요 영향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온라인 학습만족도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나 영향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은 선행연구 결과를[15, 29] 지지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연구대상자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 경험에 따른 차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즉, 본 연구 결과에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이전에 경험한 학생이 93.5%를 차지하며, 특히 3번 이상 경험한 학생이 63.1%로 반수 이상을 차지하여 반복된 온라인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어느 정도 길러진 학생들로 파악된다. 그러나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성취감을 향상시키고[30] 학습만족감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15] 학습자의 특성 분석을 통해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향상하는 방안 모색은 지속해서 진행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수실재감 중 교수자 존재감, 수업의 질 중 내용 요인, 간호학에 만족하는 경우, 수업의 질 중 인터페이스 요인의 순서로 밝혀졌다. 따라서 비대면 수업에서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자가 교수자의 존재를 인식하고 신뢰할 수 있게 교수존재감을 우선으로 고려한 수업운영이 필요하다.
후속연구
학습자 측면에서는 교수가 직접 출연한 강의 영상에 만족하나 음성녹음 재생 수업에는 불만족하며, 코로나19 등 위기 상황에서 안전한 학습이 가능하고, 어디서나 원하는 시간에 학습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교수나 다른 수강생과의 소통 부족, 집중 저하, 접속 불안정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3]. 향후 비대면 수업에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측면에서 파악된 단점을 개선 보완한 수업 적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반면,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강의대체 수업에서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은 학업성취도와 학습방법으로 나타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전공만족도는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15]. 이에,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비대면 수업에서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지 영향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교수와 학생 간 신뢰 있는 관계, 다양한 수업방법, 고차원적 사고 유발, 참여 기회, 실제적 과제 해결 등 학생 간 팀 협력과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능동적 학습도 수업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26]. 그러므로 온라인 비대면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수업내용의 충실성, 양질의 학습콘텐츠 활용, 즉, 교수-학생 간에 상호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수업운영, 비대면 상황에서도 학생 간에 능동적 학습이 진행되어 학습자의 고차원적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팀플레이 과제 수행과 같은 수업운영 내용에 대한 질적 제고가 필요하리라 본다.
이는 간호학생의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서 기술적 지원 및 시스템 지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제언한 선행연구 결과[28]와 비슷한 맥락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대학의 비대면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해서 비대면 수업방법에 대한 정확한 매뉴얼 구성, 편리한 시스템 이용성 및 접근성이 비대면 수업의 질적 제고에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대학 차원에서 인터페이스 요인과 관련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일개 학교에서 일부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기에 일반화시키기에는 제한이 있다. 향후 대상자 확대 연구를 제언하며, 자가 보고식 조사연구의 제한점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심층 면접과 같은 질적연구를 병행한 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 WHO DirectorGeneral's opening remarks at the media briefing on COVID-19-11 March 2020, , viewed 10 March (2023).
송호철, 뉴 노멀 시대, 언택트(Untact) 솔루션과 업무지속계획(BCP)의 필요성, 전자공학회지, 47, 6, p.37-41, (2020).
교육부, 2020, 포스트코로나 미래교육 전환을 위한 디지털 기반 고등교육 혁신 지원 방안, , viewed 10 March (2023).
정인성, 임정훈, 라디오 기반 방송원격수업과 웹 기반 가상수업의 비용 효과성 비교.분석 연구, 교육공학연구, 17, 1, p.131-163, (2001).
권정숙, 대학에서의 새로운 교수학습방법 적용에 대한 고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8, 11, p.329-337, (2018).
Pena-Shaff, J., W. Martin, & G. Gay, An Epistemological framework for analyzing student ineractions in computermediated communcation environment,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12, 1, p.41-68, (2001).
남영옥, 대학의 온라인 수업 질 제고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요구분석, 학습자 중심교과교육학회, 20, 22, p.975-997, (2020).
한정선, 김진희, 대학 플립드러닝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관계,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 1, p.177-199, (2018).
Khalid, M. N., & Quick, D., Teaching Presence Influencing Online Students' Course Satisfaction at an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9, 3, p.62-70, (2016).
백상현, 대학의 비대면 온라인 수업유형에 따른 수업만족도 분석, 인문사회21, p.2543-2555, (2021).
Larmuseau, C., Desmet, P., & Depaepe, F., Perceptions of instructional quality: Impact on acceptance and use of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27, 7, p.953-964, (2019).
김동일, 임정은, 우예영, 한다솜, 이진우, 연준모, 비대면 수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온라인 수업 구성요소: 대학교 이론 수업 수강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42, 2, p.35-60, (2021).
권선희, 류현숙,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에서 교수 및 학습자 상호작용, 자기주도 학습 능력, 학습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1, p.87-97, (2021).
김선미, 온라인 학습 효과 UP! 핵심은 자기주도학습역량: 아동.청소년 뇌교육 가이드 2편, 브레인, 81, p.52-53, (2020).
박미마, 신지훈,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도 및 온라인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Health Care and Science, 9, 1, p.77-86, (2021).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 G* G* 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4, p.1149-1160, (2009).
진서연,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대한민국, (2021).
고은현, e-러닝 환경에서의 교수 실재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대한민국, (2007).
차민정, 고등교육 이러닝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행위가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대한민국, (2018).
이종연, 서종택, 원격평생교육에서 수업의 질적 요소, 학습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7, p.135-144, (2017).
주영주, 김나영, & 조현국, 사이버대학에서의 강좌평가를 위한 측정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2, 1, p.109-120, (2008).
유민우, 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강의유형과 교과유형의 수업만족도와 학습실재감에 대한 상호작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대한민국, (2021).
구본진, 김아림, 대학 온라인 원격 교육환경에 서 수업의 질, 교수실재감, 교수지지가 간호대학생의 학업 낙관성 및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6, 3, p.141-148, (2021).
송충진,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인식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5, 2, p.171-200, (2014).
송충진, 대학에서의 교수-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수자와 학습자 간 인식차이와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5, 2, p.171-200, (2014).
Kim, S. N., The contents analysis of nursing student's perception about on-line lectur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 17, p.477-491, (202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