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병원간호사가 인식한 고위험 정맥주사 투약오류 원인 분석
Analysis of the causes of high-risk intravenous medication errors recognized b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10 no.3, 2024년, pp.625 - 633  

김미란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원간호사의 고위험 정맥주사 약물의 투약오류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파악하고 투약오류의 원인과 개선방안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은 D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고위험 정맥투약 관련 업무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5월 16일~30일 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고위험 정맥주사 투약안전 문제점의 핵심요인으로 병동 별 주요 약물의 투약 protocol 부재, 투약 주입기기의 작동 교육 부족, 표준화 된 고위험 정맥주사 투약수행 절차 미확립, 간호사 대상의 개별화 투약교육 부족, 병원 자체 약물집 부족 혹은 미비치, 비슷한 용기의 포장 약물 확인 부족의 6가지가 도출되었다. 간호실무적 차원에서 고위험 정맥주사 투약안전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안전결과 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추후 연구 수행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hospital nurses on medication errors of high-risk intravenous drugs, and to identify the causes of medication errors and ways to improve the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urses with work experience related to high-risk intrave...

Keyword

표/그림 (9)

참고문헌 (18)

  1. Cohen, E. L, Nurse case management in the 21st century. Mosby; pp. 48-62, 1996. 

  2. H.S. Yoo, Y.M. Kuwan, M.S. Song, H.A. Kim, K.S. Park, "Field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Med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Inpatients at General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 No. 1, pp. 147-209 1995. 

  3. W.J. Choi, H.A. Park, I.S. Cho, I.S. Park, M.S. Cho, "Development of a Web-based Educational Program for Clinical Medication Error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Vol. 13, No. 2, pp. 164-173, July 1999. 

  4. K.M. Sung, E.J. Jang, S.H. Park, H.S. Park, J.Y. Yoon, "Medication error reduction activity through near miss cases of med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spital Association, Vol. 38, No. 1, pp. 106-112, 2009. 

  5. S.H. Yang, Y.H. Son, H.J. Baek, J.S. Won, J.H. Yoo, M.Y. Jeon. Basic Nursing, 4th Edition, Vol. 2, Seoul: Hyunmunsa, 2009. 

  6. Classen, D. C., Jaser, L., & Budnitz, D, "Adverse drug events among hospi-talized medicare patients: Epidemiology and national estimates from a new approach to surveillance. The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Vol. 36, No. 1, pp. 12-AP9, 2010. doi:10.1016/S1553-7250(10)36003-X 

  7. E.K. Kim et al, Hazard Incident and Medication Safety Management to Improve Patient Safety, Seoul: QI Nurses Association of Korea, 2006. 

  8. Leape, L. L., Bates, D. W., Cullen, D. J., Cooper, J., Dermanaco, H. J., Gallivan, et al. "Systems analysis of adverse drug even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74, No. 1, pp. 35-43, 1995 

  9. B.J. Nae,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s safety atmosphere and medication errors.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10. K.W. Lee, J.H. Lee, "Six Sigma Quality Improvement Process for Cancellation of Reception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4, No. 5, pp. 630-637, 2003. 

  11. S.Y. Yoo, A Study on Medication Errors and Prevention Measure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2000. 

  12. S.A. Koo, Analysis of Patient Safety Cases Caused by Voluntary Reporting of General Hospitals: Focusing on the Anesthesia Recovery Department,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9. 

  13. Osborne, J., Blais, K., & Hayes. J. S. "When is it a medication Error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9 No. 4, pp. 33-38, 1999. 

  14. E.H. Kim, "A Study on the Analysis and Experience of Factors Related to Medication Errors in Clinical Nurses", Proceedings of Sorabol University, Vol. 12, pp. 109-126, 2002. 

  15. J.U. Kim, S.H. Kim, S.Y. Lee, Is Healthcare Safe? Tools and techniques of root cause analysis, Seoul: ePUBLIC, 2007. 

  16. E.K. Kim, M.N. Kang, H.J. Kim,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3, pp. 321-334, September 2007. 

  17. J.H. Kang, H.Y. Kang, S.H. Kwon, B.R. Kim, I.S. Kim, M.H. Park, et al., Patient Safety and Nursing, Seoul: Book Publishing Medical Seowon, 2010. 

  18. J.B Roh, P.H. Lee, S.H. Lee, Service Innovation Engine, Six Sigma, Seoul: Samsung Economic Research Institute,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