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X, M, Z 보육교사의 세대 및 직무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al and Job Perception of X, M, Z Generation Childcare Center Teacher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20 no.3, 2024년, pp.19 - 42  

김지연 (배화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  이윤선 (배화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  배선영 (배화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Generations X, M, and Z. Methods: Seventeen teachers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career and the types of childcare centers they worked in. Focus group interviews explored their job p...

Keyword

표/그림 (4)

참고문헌 (50)

  1. 강수진, 문혁준 (2023).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9), 57-75.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19.57 

  2. 고정완 (2023).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사회적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안녕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9), 555-566. https://scholar.kyobobook.co.kr/article/detail/4010067763598 

  3. 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 보건복지부. 

  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n.d.). 세대.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에서 2024년 5월 18일 인출 

  5. 김승인 (2002). 유아교육기관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희 (202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영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조직건강성의 부분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4), 841-856.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24.841 

  7. 김재원, 정바울 (2018). 밀레니얼세대 초등교사의 직업 동기, 직무 인식, 그리고 경력 전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6(3), 231-249. 

  8. 김향순, 이진희 (2023).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2), 601-613. https://doi.org/10.22251/jlcci.2023.23.2.601 

  9. 김홍길, 이진화 (2024). 보육교사의 분배공정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문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19(1), 115-135. https://doi.org/10.16978/ecec.2024.19.1.005 

  10. 대학내일20대연구소 (2021). 밀레니얼-Z세대 트렌드 2022. 서울: 위즈덤하우스. 

  11. 문정희, 김윤희, 송승민, 김혜수 (2023).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5), 21-43.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5.021 

  12. 박상완, 박소영 (2022). 90년대생 교사 분석 분석: 세대 특성과 개인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9(1), 1-30. https://doi.org/10.24211/tjkte.2022.39.1.1 

  13. 박성준 (2021). 세대론에서의 세대 형성 요인과 상호세대론적 세대 개념의 물음. 현대유럽철학연구, 제62집, 219-246. https://doi.org/10.20974/dasein.2021..62.219? 

  14. 박은혜 (2002). 유아 교사 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5. 박재홍 (2017). 세대 차이와 갈등: 이론과 현실. 경남: 경상대학교 출판부. 

  16. 백선정, 주혜리, 유혜인 (2018). 경기도 보육교사 근로환경 개선방안 연구: 보육교사 쉴 권리 확보를?중심으로. 경기;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17. 성경주, 황성원 (2017).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4), 71-90. 

  18. 성은지, 송숙진 (2021). 유아문제행동지도를 위한 교사와 부모의 협력 과정 및 어려움과 요구: 고경력 공립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25(4), 51-74. https://doi.org/10.32349/ECERR.2021.8.25.4.51 

  19. 송길영 (2023). 시대예보: 핵개인의 시대. 경기: 주식회사 교보문고. 

  20. 심미영, 이윤선 (2023).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생애학회지, 13(3), 53-69. http://doi.org/10.30528/jolss.2023.13.3.004 

  21. 양미선, 조용남, 최윤경 (2019). 영유아 보육교육 분야 일자리 수급분석 및 확충 방안.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2. 오문선, 김지연 (2024). 어린이집 교사의 학습공동체 경험에 관한 인식이 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4(1), 45-67. https://doi.org/10.18023/kjece.2024.44.1.003 

  23. 오미옥, 신원식 (2010).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유형.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85-102. 

  24. 우이슬, 김지연 (2023). 보육교사의 직장 내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유능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5), 45-64. https://doi.org/10.14698/jkcce.2023.19.05.045 

  25. 윤원자 (2024).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직업 정체성의 순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수영, 김수정 (2024).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사-부모 협력 관계의 매개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0(1), 55-71. https://doi.org/10.14698/jkcce.2024.20.01.055 

  27. 이장익, 이명신 (2011). 초등학교 교원의 세대 간 상호인식도와 세대갈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8(2), 266-278. https://doi.org/10.24211/tjkte.2011.28.2.257 

  28. 이정민, 이재필, 손여울, 김예은, 방현 (2020). 그리고 영유아 교사 곁에는 아무도 없었다. 경기: 들녘. 

  29. 이현경, 전주성 (2024). 보육교사가 지각한 직업정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3(1), 141-164. https://doi.org/10.35222/IHSU.2024.43.1.141 

  30. 임진영, 김성원 (2020). 자녀가 재원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의 양육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부모역할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지, 20(1), 57-68. https://doi.org/10.21213/kjcec.2020.20.1.57 

  31. 임홍택 (2018). 90년대생이 온다. 서울: 웨일북. 

  32. 장미숙, 유영미 (2022). 보육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31(1), 49-64. https://doi.org/10.5934/kjhe.2022.31.1.49 

  33. 장선후, 최지영, 전정민 (2023). 연장전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이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30(4), 113-136. https://doi.org/10.22155/JFECE.30.3-4.113.136 

  34. 정은경, 도미향 (202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전문성인식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19(4), 81-101. https://doi.org/10.61400/JPE.2022.19.4.81 

  35. 정정란 (2014).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조사. 유아교육학논집, 18(1), 199-223. 

  36. 조성연, 강재희 (2007). 영아교사의 보육 실제 직무 수행실태와 인식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1(3), 5-22. 

  37. 조혜진 (2009). 보육시설에서 초임교사를 멘토링하는 경력교사의 어려움과 효과적인 멘토링을 위한 중요 요소. 유아교육연구, 29(5), 21-43. https://doi.org/10.18023/kjece.2009.29.5.002 

  38. 중앙일보 (2023. 8. 31.) 이은형의 슬기로운 조직생활: MZ세대니까, 여자니까 그렇다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88774 2023. 9. 10. 인출 

  39. 지선미, 장유진 (2023). 보육교사의 성격 5요인과 전문성 인식.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의 관계. 인간연구, 51, 183-209. 

  40. 차수진 (2019). 보육교사의 관계스트레스와 전문성 인식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한국산업인력공단 (2023). 국가직무능력표준개요 보육. https://www.ncs.go.kr/unity/hth01/hth0101/selectNcsModuleReport.do 에서 2024년 5월 18일 인출 

  42. 한미영, 문경화 (2022). 교직사회에서의 세대 차이 및 갈등 인식: 초등교사의 세대 간 상호지각 및 상호평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30(3), 51-78. https://doi.org/10.18230/tjye.2022.30.3.51 

  43. 허문영, 김민곤 (2023). 보육교사 인성과 아동보호 행동 간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아동학대 인식 및 신고 의도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31(4), 451-479. 

  44. 황난희, 김경란 (2023).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어린이미디어연구, 22(4), 55-81. https://doi.org/10.21183/kjcm.2023.12.22.4.55 

  45. Kertzer, D. I. (1983). Generation as a socialogical problem. Annual Review of Socialogy, 9(1), 125-149.?https://doi.org/10.1146/annurev.so.09.080183.001013 

  46. Mannheim, K. (1952). The Problem of Generations. In P. Kecskemeti (Ed.), Essays on the Sociology?of Knowledge (pp. 276-320).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47. Richardson, P. W., & Watt, H. M. (2014). Why people choose teaching as a career: An?expectancy-value approach to understanding teacher motivation. In Teacher motivation (pp. 3-19). NY: Routledge. 

  48. Stone-Johnson, C. (2016). Generational Identity, Educational Change, and School Leadership. NY:?Routledge. 

  49. Sullivan C. G., & Glanz, J. (2000). Supervision that improves teaching-strategies and techniques. CA:?Corwin Press, Inc. 

  50. Tosriadi, T., Asib, A., Marmanto, S., & Azizah, U. A. (2018). Peer observation as a means to develop?teachers' professionalism. International Journal of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Understanding, 5(3), 151-158. http://dx.doi.org/10.18415/ijmmu.v5i3.140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