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3차원 방향탐지 기법 연구
3-D Direction Finding Techniqu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원문보기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v.28 no.5, 2024년, pp.678 - 685  

최홍락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과) ,  최준성 (충북대학교 전파통신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동식 위치표정은 전파를 발생하는 목표물을 기지국 또는 차량을 이용해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탐지한다. 하지만, 기지국과 차량은 이동의 제한이 많을 뿐만 아니라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며 활용되던 기법들은 2차원으로 목표물의 위치만 탐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 상업용으로서 다양한 활용 중인 높인 위치에서 이동성을 겸비한 무인항공기를 이용하여 3차원으로 목표물의 위치를 탐지하는 기법을 다룬다. 수신 전력만을 이용하여 가상의 3차원 구를 생성해 목표물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하며 시뮬레이션을 구성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성된 시뮬레이션은 지상 차량 실측데이터와 동일한 위치에서의 무인항공기를 위치시켰을 때 3차원 방향탐지 기법을 사용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추정하는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nual direction-finding method detects a target that emits radio waves using a base station or vehicle, utilizing various techniques. However, base stations and vehicles have many limitations in mobility and are heavily affected by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techniques traditionally used co...

Keyword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수동식 표정방식의 장단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이동성을 겸비하면서 높은 위치에서 LOS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를 이용하고자 한다. 무인항공기는 드론(drone)이라 불리기도 하며,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비행할 수 있는 항공기이다.
  • 최초 무인항공기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었지만, 기술의 발달과 증가하는 수요로 점차 민간, 상업용으로 빠르게 도입되면서 무인항공기 시장이 확대되어 교통관제, 배송, 농업, 방송, 재난 등 활용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2]. 본 논문에서는 특정 주파수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발생하는 목표물을 3차원으로 탐지하기 위한 시뮬레이션을 구성하여 지상과의 성능을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3차원으로 목표물의 위치를 탐지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무인항공기는 전원 공급량이 제한적이며, 특히 기동 속도 및 시간 등을 고려할 때 적재 가능한 무게가 많아질수록 높은 전원공급이 필요하거나 전원공급이 높게 필요한 고성능 장비는 제한적이라 판단된다.
  • 본 논문에서는.방향탐지를 할 때 무인항공기를 기반으로 3차원 목표물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기법은 MATLAB 시뮬레이션으로 무인항공기에 대한 상황을 구현하여 차량 측정데이터와 동일한 기법을 적용하였다.

가설 설정

  • - 교차 공간이 한 개의 구 전체에 발생한 경우는 한 대의 무인항공기가 목표물에 너무 가깝고, 다른 한 대의 무인항공기가 목표물과 멀리 있으면 다른 한 대의 구가 잠식된다. 그림 6은 교차공간이 한 개의 구 전체에 발생한 상황을 표현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W. Rhee and J. -S. Choi, "Experimental studies for source?positioning using TDOA algorithm," The Korean Society?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2006, No. 5, pp.?138-142, May. 2006. Retrieved from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NPAP08156816. 

  2. S. -I. Oh, "A case study civilian drone," Proceeding of The?Korean Society of BroadEngineers Conference, 29830753,?pp. 315-318, Jul. 2015, Retrieved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6396481. 

  3. W. S. Jeong, J. S. Lim, H. K. Baek and J. Y. Koo,?"TDOA/AOA-based unknown surveillance radar?localization scheme using a single UAV," The Journal of?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Sciences, Vol. 47, No. 8, pp. 1244-1252, April. 2022. DOI : https://doi.org/10.7840/kics.2022.47.8.1244. 

  4. S. H. Lee, K. W. Min, J. C. Kim, J. W. Kim and J. H. Park,?"Technical trend of location-based service," Electronics?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 2006, No. 3, pp.?33-42, Jun. 2006. DOI: https://doi.org/10.22648/ETRI.2005.J.200305. 

  5. I. -Y. Kim, K. -S. Kang, J. -J. Goo and G. S. Choi, "The?implementation of a cleaning robot with RSSI based indoor?location tracking,"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Information Engineers Conference, Vol. 2010, pp. 474-475.?Nov. 2010. Retrieved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1588109. 

  6. Wikipedia, free-space path loss [Internet]. Available:?https://en.wikipedia.org/wiki/Free-space_path_loss. 

  7. Wikipedia, Hata model [Internet]. Available: https://en.wikipedia.org/wiki/Hata_model. 

  8. 3GPP, TR 38.901: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study on channel model for frequencies from 0.5 to 100 GHz?(release 18), 2024.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