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7 no.4, 2024년, pp.333 - 3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tudents' attitude and achievement in mathematics by employing Havruta-based Learning to third grad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lass to which the Havruta-based Learning was applied had a ...
강완, 백석윤(1998). 초등수학교육론. 동명사.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8].
권점례, 권미선(2023).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및?사회적 환경을 중심으로. 초등수학교육, 26(3),?199-217.
김가영(2024). 하브루타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선숙(2018). 하브루타 수업이 수학 학습에 미치는?영향-학습태도와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준, 김은경, 권미선(2024).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 체계의 세 범주와 초등학교?1~2학년 수학 교과서 차시명의 연계성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38(2), 167-186.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노시현, 박용준, 박희정, 안효은, 이대현, 정선혜, 정유화, 정지호, 황윤정(2023). 초등학교 수학 3-1.?아이스크림.
김은지(2018). 하브루타를 적용한 입체도형 지도에서?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상민, 류성림(2022).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시각과 시간' 단원 수업이 초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논총, 38(3), 195-220.
박소윤(2017). 하브루타 국어수업이 초등학생의 질문?생성 능력과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정훈(2016). 하브루타를 바탕으로 한 수학과 토론수업의 효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광상, 임해미, 박인용, 서민희, 김부미(201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 설문 문항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9(4), 45-70.
이석영(2017). 초등학교 하브루타 수업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진주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임복(2023). 챗GPT 질문하는 인간, 답하는 AI. 천그루숲.
임수현(2017). 하브루타를 적용한 초등학교 수학 '수와 연산' 학습 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장봉석(2018). 국내 하브루타 학습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과정연구, 36(2), 1-24.
장영숙(2015). 하브루타 소집단 주제 토론 과학수업이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성수(2012). 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예담.
전성수(2014). 최고의 공부법 유대인 하브루타의 비밀. 경향BP.
전혜경(2016). 하브루타 수학 수업이 수학적 태도와?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부산교육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채민희(2024). 질문중심 하브루타를 적용한 초등수학수업 사례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옥영(2023). GPT 시대의 소프트웨어 교육 패러다임 변화.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27(2), 43-46.
Hozler, E. (2009). Either a Havruta partner of?death: A critical view on the interpersonal?dimentions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Jewish Education, 75(2), 130-149.
Kent, O. (2010). A theory of Havruta learning.?Journal of Jewish Education, 76(3), 215-245.
Kent, O. & Allison, C. (2012). Three partners in?study: two people and a text. A Journal of?Jewish Ideas, 42(2), 90-115.
Kent, O. & Cook, A. (2012). 'Havruta' inspired?pedagogy: Fostering an ecology of learning for?closely studying texts with others. Journal of?Jewish Education, 78(3), 227-25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