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QZSS SLAS 보정정보 정확도의 장기간 성능분석
Long-term Evaluation of QZSS SLAS Correction Accuracy 원문보기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v.13 no.4, 2024년, pp.457 - 466  

김용래 (Department of Aeronautical and Astronautical Engineering, Korea Aerospace University) ,  김희섭 (Satellite Application Division at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KARI)) ,  김정래 (Department of Aeronautical and Astronautical Engineering, Korea Aerospace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QZSS) provides sub-meter level augmentation service (SLAS) to improve the positioning accuracy of single-frequency GPS L1 receiver users. The SLAS correction consists of differential GPS information (DGPS) and the corrections are transmitted via quasi-zenith satell...

Keyword

표/그림 (2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QZSS SLAS 보정정보가 장기간에 걸쳐 일본 내 GPS 위치정확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5년간의 SLAS 및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추정 성능을 평가하였다. SLAS 보정정보를 후처리 방식으로 적용하여 일본 내 IGS 지상국에서 수집된 GPS 데이터를 처리하였으며, 위치정확도 향상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 2019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총 5년간 GPS 단독 운영과 SLAS 보정정보 사용 시 위치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위치추정 시험을 진행하였다. 이 시험은 GPS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와 SLAS 보정정보를 추가로 활용할 때의 위치정확도를 비교하고, SLAS 보정정보의 성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번 시험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으로 GPS를 사용하였으며, 총 32기의 위성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QZSS SLAS 보정정보가 GPS L1 코드 의사거리의 차분 보정정보를 제공하여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일본 내 3개 SLAS 기준국과 6개 IGS 지상국의 5년간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wang, N. E., Lee, J. H., & Kim, I. K. 2021, Examination?of Availability on QZSS SLAS in Korea, Institute of?Control, Robotics and Systems, 27, 168-175. https://doi.org/10.5302/J.ICROS.2021.20.0163 

  2. Japan Cabinet Office 2022, Quasi-Zenith satellite system?performance standard, Government of Japan National?Space Policy Secretariat, PS-QZSS-003 

  3. Japan Cabinet Office 2024b, Quasi-Zenith Satellite System?Interface Specification Sub-meter Level Augmentation?Service, Government of Japan National Space Policy?Secretariat, IS-QZSS-L1S-007 

  4. Japan Cabinet Office, Sub-meter Level Augmentation?Service (SLAS) [Internet], cited 2024a Jul. 26, available?from: https://qzss.go.jp/en/overview/services/sv05_slas.html 

  5. Kenji, N. 2023, QZSS System and service Updates, in 2023?ICG Annual Meeting, Madrid, Spain. 15-20 Oct 2023.?https://www.unoosa.org/documents/pdf/icg/2023/ICG-17/icg17.01.06.pdf 

  6. Kim, Y., Kim, H. S., Kim, J. 2024, Analysis of Long-term?Positioning Performance of QZSS SLAS Corrections, In?Proceedings of the 2024 IPNT Conference, Jeju, Korea,?6-8 Nov 2024. https://ipnt.or.kr/2024proc/14 

  7. Matsumoto, D., Kaneso, T., Urushido, T. & Owada, S.?2019, Evaluation of QZSS SLAS (Sub-meter Level?Augmentation Service) Performance, Proceedings of?the ION 2019 Pacific PNT Meeting, pp.361-366. https://doi.org/10.33012/2019.16811 

  8. Sakai, T. 2020, Japanese GNSS Future System Evolution in?the 2020-2030 Perspective, 2020 European Navigation?Conference (ENC), Dresden, Germany, 23 - 24?November 2020, pp.1-10.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9317528 

  9. Sakai, T. 2024, QZSS System and service Updates, in 2024?GNSS workshop, Manila, Philippines, 22-26 Apr 2024. https://www.unoosa.org/documents/pdf/psa/activities/2024/GNSS2024/GNSS2024_01_05.pdf 

  10. Tae, H., Kim, H.-I., & Park, K.-D. 2015, Development of a?Virtual Reference Station-based Correction Generation?Technique Using Enhanced Inverse Distance Weighting,?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4, 79-85. https://doi.org/10.11003/JPNT.2015.4.2.07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