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 Study on Urban Sprawl of Sejong City
세종시 도시스프롤 현상에 대한 연구 원문보기

부동산 분석 = Journal of real estate analysis, v.6 no.1, 2020년, pp.113 - 133  

Cha, Eun Hye ,  Lee, Seok Hee

초록이 없습니다.

참고문헌 (28)

  1. 김경환, 1992, ?그린벨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도시경제 측면?, 『국토』, 135: 11-14. 

  2. 김재익, 2008, ?지역별 난개발 수준의 측정?,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 127-148. 

  3. 김태진·사공호상, 2006, ?수도권지역의 시가화 확산 결정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7(2): 95- 116. 

  4. 나무위키, n.d.. “도시스프롤,” Accessed March 8, 2020, https://namu.wiki/w/%EC%8A%A4%ED%94%84%EB%A1%A4%20%ED%98%84%EC%83%81. 

  5. 세종시청, 2016, 세종시, 전국 최초로 ‘성장관리방안’ 시행한다, 8월 1일, 보도자료. 

  6. 세종특별자치시, 2016, ?세종시 비도시지역 성장관리방안 수립?, 세종:세종특별자치시. 

  7. 신정엽·김진영, 2012, ?도시스프롤에 대한 논의 재조명과 공간 분석방법론에 토대한 도시 스프롤 측정 연구: 수도권을 사례로?, 『서울법학』, 19(3): 317-354. 

  8. 엄현태·우명제, 2015, ?도시스프롤 현상이 중심도시 쇠퇴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재생에 대한 함의: 수도권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50(3): 73-89. 

  9. 은현탁, 2017, 세종지역 난개발도 풍선효과... 북부지역으로 이동, 8월 3일, 대전일보. 

  10. 10.17208/jkpa.2018.04.53.2.45 이성원, 2018, ?개발제한구역제도가 도시 확산 방지에 미친 영향?, 『국토계획』, 53(2): 45-65. 10.17208/jkpa.2018.04.53.2.45 

  11. 이창무, 2008, ?참여정부 주택정책의 시장효과?, 『주택연구』, 16(3): 137-157. 

  12. 임은선·이종열·김형진·이희진, 2006,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 안양:국토연구원. 

  13. 전혜진·우명제, 2019, ?수도권 도시 스프롤 평가에 따른 도시성장관리 및 도시재생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5(1): 3-18. 

  14. 찰스 몽고메리, 2014, 『우리는 도시에서 행복한가: 행복한 도시를 꿈꾸는 사람들의 절박한 탐구의 기록들』, 윤태경 옮김, 서울:미디어월. 

  15. 황의정·우명제, 2016, ?전국 도시권의 도시 스프롤 측정을 통한 유형 및 특성 분석?, 『국토계획』, 51(5): 21-42. 

  16. 10.5751/ES-00595-080202 Allen, J. and K. Lu, 2003, “Modeling and prediction of future urban growth in the Charleston region of South Carolina: A GIS-based integrated approach,” Conservation Ecology, 8(2). 10.5751/ES-00595-080202 

  17. Burchell, R. W., N. A. Shad, D. Listokin, H. Phillips, A. Downs, S. Seskin, J. S. Davis, T. Moore, D. Helton, and M. Gall, 1998, The Costs of Sprawl-revisite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8. Ewing, R., 2008, Characteristics, causes and effects of sprawl: A literature review, in J. Marzluff, E. Shulenberger, W. Endlicher, M. Alberti, G. Bradley, C. Ryan, U. Simon, and C. Zumbrunnen, Urban Ecology, New York, NY: Springer. 

  19. Ewing, R., R. Pendall, and D. D. Chen, 2002, Measuring Sprawl and Its Impact, Washington, DC: Smart Growth America. 

  20. Ewing, R. and S. Hamidi, 2014, Measuring Urban Sprawl and Validating Sprawl Measures, Washington, DC: Smart Growth America. 

  21. 10.1177/0885412215595439 Ewing, R. and S. Hamidi, 2015, “Compactness versus sprawl: A review of recent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Planning Literature, 30(4): 413-432. 10.1177/0885412215595439 

  22. Fulton, W, B. and R. Pendall, 2001, Who Sprawls Most?: How Growth Patterns Differ Across the US,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Center on Urban and Metropolitan Policy. 

  23. 10.1080/10511482.2001.9521426 Galster, G., R. Hanson, M. R. Ratcliffe, H. Wolman, S. Coleman, and J. Freihage, 2001, “Wrestling sprawl to the ground: Defining and measuring an elusive concept,” Housing Policy Debate, 12(4): 681-717. 10.1080/10511482.2001.9521426 

  24. 10.2307/3144884 Harvey, R. O. and W. A. V. Clark, 1965, “The nature and economics of urban sprawl,” Land Economics, 41(1): 1-9. 10.2307/3144884 

  25. 10.1080/10511482.2001.9521399 Kahn, M. E., 2001, “Does sprawl reduce the black/white housing consumption gap?,” Housing Policy Debate, 12(1): 77-86. 10.1080/10511482.2001.9521399 

  26. Kim, K. I. and H. W. Chung, 2003, “The effectiveness of the greenbelt polic as an urban growth control tool: The case of Daegu city, Korea,”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5(3): 65-79. 

  27. 10.17089/kgr.2012.19.3.004 Lee, J. Y., 2012, “Urban sprawl index and the factiors affecting it: A comparison of Korea and Chin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Governance, 19(3): 67-87. 10.17089/kgr.2012.19.3.004 

  28. Wiewel, W. and J. J. Persky, 2002, Suburban Sprawl: Private Decisions and Public Policy, Armonk, NY: Routledge.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