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그린인프라 핵심지역의 경제적 가치와 계획 요소 분석 - 세종호수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zing the Economic Value and Planning Factors of Hubs within Urban Green Infrastructure - Focusing on the Case of Sejong Lake Park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4, 2021년, pp.41 - 54  

이동규 (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안병철 (원광대학교 산림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의 핵심지역(Hubs)에 해당되는 도시공원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활용한 가치추정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 요소 도출을 통하여 도시공원에 대한 가치 향상 및 계획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주요 목적은 첫째, 경제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도출하고, 둘째, 그린인프라의 핵심지역인 도시공원의 이용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며, 셋째, 이러한 가치의 향상을 위한 계획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린인프라의 핵심지역 중 세종시의 도시공원을 대표할 수 있는 세종호수공원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세종호수공원의 이용적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금액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요소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105개의 응답결과를 바탕으로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종호수공원의 이용적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분석한 결과, 세종호수공원 방문객의 사회경제적 특성에서는 거주지, 연령이 이용적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이중양분선택형 질문의 응답 결과를 통계적 기법으로 변수화하여 로짓모형으로부터 도출된 계수를 활용한 세종호수공원의 이용적 가치에 대한 1인당 평균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한 결과 8,597원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세종호수공원의 총 방문객 약 43만명 고려시 세종호수공원에서 연간 발생하는 이용적 가치는 약 37억 원으로 추정된다. 셋째, 세종호수공원의 이용적 가치에 대한 지불의사 결정에 미치는 계획 요소의 리커트 척도 평균값은 수변공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불의사금액 10,000원에서는 편의시설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지불의사액 5,000원 및 2,500원에서는 수변공간이 가장 높게 나타나, 방문객들이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가장 크게 고려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린인프라 중 도시지역에 위치한 핵심지역에 해당되는 공원에 대하여 이용적 가치와 도시공원의 가치평가 결과에 영향을 준 계획요소, 그리고 계획요소간의 상관성 분석에 대한 논문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targets the urban park corresponding to the core areas (Hubs) of Green Infrastructure and estimates their value utiliz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and determines the planning factors which affect them. The research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supporting the value improveme...

주제어

참고문헌 (32)

  1. An, B. C.(2016) A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ement efficiency use of waterfront: A focus on the waterfront analysis for domestic and foreign dragon boat festiva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4): 86-99. 

  2. Benedict, M. and E. MaMahon(2002) Green infrastructure: Smart conservation for the 21 century. Renewable Resources Journal 20(3): 12-17. 

  3. Bishop, R. and T. Heberlein(1979) Measuring values of extra-market goods: Are indirect measured biased.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1: 926-930. 

  4. Boyle, K. J., M. P. Welsh and R. C. Bishop(1988) Validation of empirical measures of welfare change: Comment. Land Economics 64(1): 94-98. 

  5. Cameron, T. A. and M. D. James(1987) Efficient estimation methods for "closed-ended" contingent valuation surveys.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269-276. 

  6. Choi, J. H.(2020) Analysis on Perception from Experts and Seoul Citizen through the Constructing Green Infrastructure at the Neighborhood Unit by Multi Dimensional Greenery: Focus on Traditional Greenery: Focus on Traditional Market in Seoul Neighborhood Unit. Ph. 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7. Foster, J., A. Lowe and S. Winkelman(2011) The Value of Green Infrastructure for Urban Climate Adaptation: The Center for Clean Air Policy. 

  8. Ha, H. K.(2020) Changes in citizen participation policy in park and green administration: Focusing on Seoul, Incheon, Daegu, Ulsan and Busan. GRI Review, 22(4): 1-24. 

  9. Hanemann, W. M.(1978) Welfare evaluation in contingent valuation experiments with discrete respons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Resource Economics 66: 332-341. 

  10. Hyun, I. J., S. I. Kim, and C. Jeong(2020) The estimation of payment value of Hallasan National Park for admission fee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4(3): 89-107. 

  11. Kang, J. E.(2011) Urban renewal strategy for adaption to climate change: Use of green infrastructure on flood mitigation. KEI Reports. 2011-17, Korea Environment Institute, Sejong. 

  12. Kang, J. E., M. J. Lee, Y. S. Koo and Y. H. Cho(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lanning framework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Focusing on Yeonje-Gu and Nam-Gu in Busa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13(3): 43-73. 

  13. Kang, K. R., S. G. Ha and K. C. Lee(2011) A study on measuring the environmental value of Gyeongnam arboretum using the CV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 39(1): 46-55. 

  14. Kim, D. H., H. J. Seo, and B. K. Lee(2014)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application for sustainable land use of non-urban area: The case study of eco-delta city.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6(6): 402-411. 

  15. Kim H. T.(2015) Theme 5 of Moon(asking) thought: Economic analysis of urban green infrastructure. Korea Local Administrative Mutual Aid Association 560(50): 30-33. 

  16. Kim, J. H.(2007) Valuing urban parks in Ulsan: Application of CVM with double-bounded dichotomous choice and test of inter-dependence of subsequent two answers.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11(1): 151-178. 

  17. Kim, Y. G. and J. M. Choi(2012) The impl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for park and green spaces in England.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2): 86-96. 

  18. Kwon, J. W. and G. W. Kim(2019) A survey on green infrastructure design element in urban hub green: Focused on ASLA's case studi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8(12): 1147-1156. 

  19. Lee, C. K.(2005) Valuation of eco-tourism resources for DMZ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international comparison of values. Research of Tourism and Leisure 17(4): 65-81. 

  20. Lee, C. K.(2013) Estimating the preservation value of Dokdo: Using two stag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7(4): 117-139. 

  21. Lee, C. K. and J. W. Mjelde(2007) Valuation of ecotourism resources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case of the Korean DMZ. Ecological Economics 63(2-3): 511-520. 

  22. Lee, C. K. and S. Y. Han(2002) Estimating the use and preservation values of national parks' tourism resources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urism Management 23(5): 531-540. 

  23. Lee, E. S., C. W. Noh, and J. S. Sung(2014) Meaning structure of green infrastructure: A literature review about definitio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2): 65-76. 

  24. Lee, H. M., S. J. You, S. M. E. Park and J. H. Chon(2018) A study on categories of green infrastructures to enhance urban resilience.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3(1): 215-235. 

  25. Lee, J. J.(2000) Environmental Economics. Seoul: Parkyoungsa. 

  26. Mitchell, R. C. and R. T. Carson(1981) Using Survey to Value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hington, D. C., Resources for the Future. 

  27. Park, J. H. and H. Y. Park(2004) Evaluation on the economic value of central park of new town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9(6): 199-214. 

  28. Park S. G., S. C. Lee, G. L. Kang and S. H. Choi(2016) A study about the presumed economic value of miscanthus landscape conservation: Miscanthus colonies in Yo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4): 1-13. 

  29. Park, S. Y. and W. S. Lee(2017) Valuation of the Jidong mural art alle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 application of nostalgia.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1(6): 45-62. 

  30. Randall, A., C. I. Berry and C. Eastman(1974) Bidding games for valuation of aesthetic environmental improve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 1: 132-149. 

  31. Shin, Y. C.(1997) Measuring the venefi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Han Rive using CV data from a DCF questionnaire.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6(1): 171-192. 

  32. Sinden, J. A. and A. C. Worrell(1979) Unpriced Values: Decisions without Market Prices. UK: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