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영상기반 증발산량 및 토양유효수분을 활용한 밭가뭄 평가
Drought Risk Assessment for Upland Crops using Satellite-derived Evapotranspiration and Soil Available Water Capacity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21 no.1, 2021년, pp.25 - 33  

전민기 (한경대학교 융합시스템공학과) ,  남원호 (한경대학교 사회안전시스템공학부) ,  이희진 (한경대학교 지역자원시스템공학과) ,  홍은미 (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에코환경과학전공) ,  황선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  허승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토양비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온난화 현상이 야기되고 있으며,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및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가뭄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7년 동안 극심한 가뭄이 국지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농업용 저수지 및 양수장 등 다양한 농업수리시설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논벼 작물과 비교하여, 밭작물의 경우 관개시설이 부족하여 가뭄에 대한 취약성이 높다. 밭작물은 자연 강우만으로는 작물에 필요한 용수를 충족시킬 수 없는 수분 부족량은 관개를 통해 공급하며, 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후 환경, 수자원 환경에 민감하고 토양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생육하기 때문에 이러한 밭작물의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은 증발산량 뿐만 아니라 토양내 수분의 이동을 고려하여 수분 부족량을 산정해야 한다. 토양유효수분은 밭가뭄 평가에 활용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로, 물순환의 중요한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지질조사국(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 제공하는 기근조기경보 시스템네트워크(Famine Early Warning Systems Network, FEWS NET)의 증발산량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증발산량 및 토양유효 수분 기반의 밭가뭄 평가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ricultural drought can have long-lasting and harmful impacts on both the agricultural ecosystem and economy. Recently, as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global warming,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droughts are increasing as weather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directly affect agriculture are ra...

주제어

참고문헌 (29)

  1. Allen 1998 

  2. Berg, Alexis, Sheffield, Justin. Soil Moisture-Evapotranspiration Coupling in CMIP5 Models: Relationship with Simulated Climate and Projections. Journal of climate, vol.31, no.12, 4865-4878.

  3. Cai, J., Liu, Y., Lei, T., Pereira, L.S.. Estimating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with the FAO Penman-Monteith equation using daily weather forecast messag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145, no.1, 22-35.

  4. Chiew, F.H.S., Kamaladasa, N.N., Malano, H.M., McMahon, T.A.. Penman-Monteith, FAO-24 reference crop evapotranspiration and class-A pan data in Australi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vol.28, no.1, 9-21.

  5. 조혜련, 황석환, 조용식, 최민하. 상세화 기법을 통한 한반도 공간 강우장 분석.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11, 1129-1140.

  6. Garcia, Magali, Raes, Dirk, Allen, Rick, Herbas, Carlos. Dynamics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in the Bolivian highlands (Altiplano).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ol.125, no.1, 67-82.

  7. 홍은미, 남원호, 최진용. 토양수분모형을 이용한 주요 밭작물의 미래 가뭄 전망 -전라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57, no.3, 65-76.

  8. Hong, E.M., Nam, W.H., Choi, J.Y., Pachepsky, Y.A.. Projected irrigation requirements for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model under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vol.165, 163-180.

  9. Hunt, Eric D., Hubbard, Kenneth G., Wilhite, Donald A., Arkebauer, Timothy J., Dutcher, Allen L..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oil moisture index.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 a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vol.29, no.5, 747-759.

  10. 황세운, 허용구, 장승우. 미래 기상 시나리오에 대한 편의 보정 방법에 따른 지역 기후변화 영향 평가의 불확실성.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55, no.4, 95-106.

  11. Comparis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methods with limited data in South Korea Jeon 137 2019 

  12. 전상묵, 정은성, 이상호, 김연주.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위한 로버스트 의사결정 기법의 개발 및 적용.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6, no.9, 897-907.

  13. 강민구, 이광만, 고익환, 정찬용. 요인분석을 이용한 수계 관리 맥락에서 유역관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통합지수 개발.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41, no.3, 277-291.

  14. Estimation of high-resolution soil moisture based on Sentinel-1A/B SAR sensors Kim 89 2019 

  15. Satellite-based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as an indicator of agricultural drought in North Korea Lee 1 2019 

  16. Percentile approach of drought severity classification in Evaporative Stress Index for South Korea Lee 63 2020 

  17. 이용관, 김상호, 안소라, 최민하, 임광섭, 김성준. Terra MODIS 위성영상과 SEBAL 모형을 이용한 공간증발산량 산정 연구 - 용담댐 유역을 대상으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8, no.1, 90-104.

  18. López-Urrea, R., Martín de Santa Olalla, F., Fabeiro, C., Moratalla, A.. Testing evapotranspiration equations using lysimeter observations in a semiarid climat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vol.85, no.1, 15-26.

  19. Evaluation of regional drought vulnerability assessment based on agricultural water and reservoirs Mun 97 2020 

  20. Nam, Won-Ho, Choi, Jin-Yong, Yoo, Seung-Hwan, Engel, B.A.. A Real-Time Online Drought Broadcast System for Monitoring Soil Moisture Index.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16, no.3, 357-365.

  21. Nam, W.H., Hayes, M.J., Svoboda, M.D., Tadesse, T., Wilhite, D.A.. Drought hazard assessment in the context of climate change for South Korea.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vol.160, 106-117.

  22. 남원호, 홍은미, 장민원, 최진용. 토양수분모형을 이용한 미래 주요 밭작물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 전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56, no.5, 77-87.

  23. Nam, Won-Ho, Tadesse, Tsegaye, Wardlow, Brian D., Hayes, Michael J., Svoboda, Mark D., Hong, Eun-Mi, Pachepsky, Yakov A., Jang, Min-Won. Developing the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for South Korea (VegDRI-SKorea) to assess the vegetation condition during drought e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39, no.5, 1548-1574.

  24. Ruosteenoja, Kimmo, Markkanen, Tiina, Venäläinen, Ari, Räisänen, Petri, Peltola, Heli. Seasonal soil moisture and drought occurrence in Europe in CMIP5 projections for the 21st century. Climate dynamics, vol.50, no.3, 1177-1192.

  25. Suleiman, A.A., Hoogenboom, G.. A comparison of ASCE and FAO-56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for a 15-min time step in humid climate conditions. Journal of hydrology, vol.375, no.3, 326-333.

  26. 성장현, 강현석, 박수희, 조천호, 배덕효, 김영오. 대표농도경로 (RCP)에 따른 21세기 말 우리나라 극한강수 전망. 대기 = Atmosphere, vol.22, no.2, 221-231.

  27. van der Linden, Eveline C., Haarsma, Reindert J., van der Schrier, Gerard. Impact of climate model resolution on soil moisture projections in central-western Europe.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23, no.1, 191-206.

  28. Drought hazard assessment using MODIS- based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and ROC analysis Yoon 51 2020 

  29. Application of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for satellite-based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in South Korea Yoon 121 20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