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cess-focused assessment policy practice and implementation types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정중심평가 실천 방식과 수행 유형 분석 원문보기

교육과정평가연구 = The journal of curriculum & evaluation, v.25 no.2, 2022년, pp.139 - 166  

Kim, Youngsil

초록이 없습니다.

참고문헌 (32)

  1. 경기도교육청(2016). 2016 교육과정 정책 추진 계획. 경기: 경기도교육청. 

  2. 경상북도교육청(2016). 2016 초등 과정중심 학생평가 추진계획. 경북: 경상북도교육청. 

  3. 고현(2019).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지원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19(9), 1137-1164. 10.35174/JKCI.2019.06.19.2.9 

  4.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3호). 세종: 교육부. 

  5. 김덕년(2017).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에 대한 고찰(이슈페이퍼 CP 2017-02-01).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6. 김순남, 강이희, 김병찬, 박삼철, 유지은, 이은송, 전명남, 조훈희(2013).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학생평가 정책연구: 국제 사례를 중심으로(현안보고 OR 2013-09).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김영실, 곽소영(2022). 수학 수업에서 발휘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아비투스 분석. 열린교육연구, 30(1), 177-205. 

  8. 김이경, 김지혜(2014). 교육정책 집행요인이 교원의 정책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창의경영 학교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52(4), 223-244. 

  9. 김정민(2018).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0), 839-859. 10.22251/jlcci.2018.18.20.839 

  10. 김희규, 김경윤(2011). 교원성과상여금제도의 정책 수용도에 관한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18(1), 39-59. 

  11. 박정(2017). 수업에서 학생 평가 의미 탐색. 교육평가연구, 30(3), 397-413. 

  12. 백승관(2010). 교원정책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요인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17(4), 39-64. 

  13. 성태제(2014). 현대교육평가(4판). 서울: 학지사. 

  14. 10.29221/jce.2017.20.2.135 신혜진, 안소연, 김유연(2017). 과정 중심 평가 활용의 정책적 분석: 서울특별시 소재 중학교 교사의 수행평가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과정평가연구, 20(2), 135-162. 10.29221/jce.2017.20.2.135 

  15. 이경화, 강현영, 고은성, 이동환, 신보미, 이환철, 김선희(2016). 과정 중심 평가의 실행을 위한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26(4), 819-834. 

  16. 이형빈(2015). 교육과정-수업-평가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서울: 맘에 드림. 

  17. 10.29221/jce.2018.21.3.75 임은영, 이은화, 김유형, 심현표(2018). 교사별 학생평가 도입을 위한 학교단위 학생평가 실태 및 교사별 학생평가 인식 조사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1(3), 75-104. 10.29221/jce.2018.21.3.75 

  18. 장홍월(2017). 수업은 평가를 바꾸고 평가는 수업을 바꾼다. 서울교육, 228. https://webzine-serii.re.kr/수업은-평가를-바꾸고-평가는-수업을-바꾼다/ 

  19. 전경희(2016). 과정중심 수행평가의 방향과 과제(CP 2016-02-4).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전라남도교육청(2016). 학습과 성장을 돕는 과정중심평가. 광주: 전라남도교육청. 

  21. 정정길, 최종원, 이시원, 정준금, 정광호(2016). 정책학원론. 서울: 대명문화사. 

  22. 조희정(2018). 학점은행제 업무 담당자의 정책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23. 주경일(2005). 교육정보화정책의 성공적인 집행과 수용에 관한 실증 연구: 서울시 각급 일선학교 교사들의 NEIS 채택과정을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12(3), 67-87. 

  24. 10.31308/KSSM.22.6.3 하동엽, 김갑성(2017).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정책 수용도 영향용인과 정책 수용도와의 영향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5(1), 263-285. 

  25.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9). 수업과 연계한 과정 중심 평가, 어떻게 할까요?(vol. 14) (홍보자료 PIM 2019-6-2).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6. 홍수향, 장인실, 김태선(2017). 합의적 질적 연구를 통한 초등교사의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인식. 교육과정연구, 35(4), 47-69. 

  27. Duncan, W. J. (1981). Organizational behavior. Boston: Houghton Mifflin. 

  28. Hargreaves, A. (2011). 지식사회와 학교교육: 불안정한 시대의 교육[Teaching in the knowledge society: Education in the Age of Insecurity]. (곽덕주, 양성관 외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3년에 출판). 

  29. 10.1016/j.erss.2018.09.009 Jansson, J., & Rezvani, Z. (2019). Public responses to an environmental transport policy in Sweden: Differentiating between acceptance and support for conventional and alternative fuel vehicles. Energy Research & Social Science, 48, 13-22. 10.1016/j.erss.2018.09.009 

  30. Palmer, J. (1996). Integrating assessment and instruction: continuous monitoring. In Blum, R. E. & Arter, J. A. (Ed). A handbook for student performance assessment in an era of restructuring (pp. IV-6: 1-12). Alexandria, VA: The association for arte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1. 10.1080/0969594X.2011.582838 Swaffield, S.(2011). Getting to the heart of authentic assessment for Learning. Assessment in Education: Principles, Policy & Practice, 18(4),433-449. 10.1080/0969594X.2011.582838 

  32. Young, O. R. (1979). Compliance & public authority: A theory with international applications. Baltmore and London: The John Hopkins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