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통일 신라의 임상 의학은 어떻게 이뤄졌을까: 의학 교육 기관 ‘의학(醫學)’의 설치와 그 영향
How Did the Clinical Medicine Progress during the Unified Silla Era: Installment of the Medical Education Center ‘Uihak 醫學’, and Its Effects 원문보기

醫史學 : 大韓醫史學會誌, v.32 no.1, 2023년, pp.203 - 239  

오재근 (Associate Professor, College of Korean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신동원 (Research Fellow, The Institute for Medical Humanities, Inje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I aimed to recognize the historical meaning of installing the medical education center, ‘Uihak 醫學’, during the Silla 新羅 dynasty. ‘Uihak’ was installed in 692, in the first year of King Hyoso 孝昭 ’s rule. ‘Uihak’ was founded by using various Chinese medical classics as its textbooks for medical education, such as the Classic of Plain Questions 素問經.

The wooden prescriptions excavated from Anapji 雁鴨池, which is thought to have been created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and the Chinese medical book Prescriptions for Universal Benefit 廣利方, which the envoy of Silla tried to acquire in 803, reflect the idea on medicine during that period in Silla. By this time, the field of medicine began to develop the idea to discern the locations and mechanism of disease patterns by centering on the viscera and bowels 臟腑 while making use of the herbal prescriptions based on various drugs. This means that clinical medicine founded upon the medical education achieved in ‘Uihak’ was being realized in the medical fields as well.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三國史記, for the illness of Queen Sunduk 善德 in 636, medicine, praying, and the method of esoteric Buddhism 密敎 was tried out as a means of her cure. Comparatively, for the treatment of the first rank Chunggong 忠公 in 822, the Kingdom’s representative doctor 國 醫 with professional medical knowledge was sought out to fine a cure. The analyses of the human disease, diagnosis, treatment method, etc., given by the kingdom’s representative doctor were identical to those recommended in the medical textbooks used in ‘Uihak’. As such, we can posit that his academic background was ‘Uihak’ and the education given there.

The Classic of Materia Medica 本草經, which was also used in ‘Uihak’, was a book professionally centered on the drug branch of medicine. The Classic of Materia Medica is a terminology referring to various books on drugs, including the Shennong’s Classic of Materia Medica 神農本草經, the Variorum of the Classic of Materia Medica 本草經集注, the Newly Revised Materia Medica 新修本草, etc. Thus, we cannot specify what the classic of Materia Medica actually taught, based on only its terminology. However, based on the wooden prescriptions excavated from Anapji, and from the terminology of drugs recorded in the drug trading document Purchase List for Silla goods 買新羅物解 preserved in Shosoin 正倉院 of Japan, we can hypothesize that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the Newly Revised Materia Medica was indeed being circulated. Based on these evidences, we can also hypothesize that Silla was part of the network of drug trading that encompassed the entire region of Asia.

After unifying the Korean peninsula, the Kingdom of Silla actively adopted the medical educational system of Tang 唐 China. By using the obtained medical knowledge, Silla cured illnesses and used the medical knowledge on various drugs recorded in the Newly Revised Materia Medica to pursue trade with China, Japan, and other countries. Through the installation of ‘Uihak’, the same medicine has now begun to be officially used in East Asia, including Silla.

Keyword

참고문헌 (66)

  1. 1 가노우요시미츠 지음, 동의과학연구소 옮김, 『몸으로 본 중국사상』 (서울: 소나무, 1999) 

  2. 2 가와하라히데키 지음, 김광래 옮김, 『독약은 입에 쓰다』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9) 

  3. 3 강종훈, 『삼국사기 사료비판론』 (서울: 여유당, 2011) 

  4. 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한국의 고대목간』 (창원: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6) 

  5. 5 김두종, 『한국의학사』 (서울: 탐구당, 1981) 

  6. 6 김난옥, 「『고려사』의 편찬과 조선전기 前朝史인식」, 『사학연구』 116, 2014, 7-39쪽 

  7. 7 김영식, 『동아시아 과학의 차이』 (서울: 사이언스북스, 2013) 

  8. 8 김호, 「唐代 太醫署의 醫學分科와 醫書」, 『中國古中世史硏究』 27 (2012), 105-141쪽 

  9. 9 무함마드깐수, 『신라ㆍ서역교류사』 (서울: 단국대학교출판부, 1992) 

  10. 10 박경, 「脈經硏究集成序」,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진단학교실ㆍ맥경연구집성간행위원회, 『脈經硏究集成」 (대구: 청운, 2010) 

  11. 11 박남수, 『한국 고대의 동아시아 교역사』 (서울: 주류성, 2016) 

  12. 12 박준형ㆍ여인석, 「『대동류취방』 전약료본(典藥寮本)과 고대 한반도 관련 처방」, 『목간과 문자』 15 (2015), 223-285쪽 

  13. 13 손홍렬, 『한국의학사연구』 (서울: 수서원, 2013) 

  14. 14 신동원, 「의관으로 출세하기 위한 험난한 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엮음, 『조선 전문가의 일생』 (파주: 글항아리, 2010) 

  15. 15 , 『조선의약생활사』 (파주: 들녘, 2014) 

  16. 16 , 「유라시아 교류로 본 판데믹과 한국 고대의 의약 문명」, 고일홍ㆍ권오영 엮음, 『대륙과 메가아시아』 (과천: 진인진, 2023, 미출간본) 

  17. 17 永正美嘉, 「신라의 對日鄕藥貿易」, 『한국사론』 51 (2005), 7-83쪽 

  18. 18 오드아르네베스타 지음, 옥창준 옮김, 『제국과 의로운 민족』 (서울: 너머북스, 2022) 

  19. 19 오재근ㆍ전종욱ㆍ신동원, 「신라 승려의 『금광명경』 「제병품」 주석을 통해 살펴본 한국 고대 불교의학」, 『의사학』 25-3 (2016), 329-372쪽 

  20. 20 윤선태, 「신라통일기 사료의 논쟁적 해석 752년 신라의 대일교역과 바이시라기모쯔게(買新羅物解)」, 『역사와 현실』 24 (1997), 40-66쪽 

  21. 21 이강래, 『삼국사기 형성론』 (서울: 신서원, 2007) 

  22. 22 이경록, 『고려시대 의료의 형성과 발전』 (서울: 혜안, 2010) 

  23. 23 이경섭, 『신라 목간의 세계』 (서울: 경인문화사, 2014) 

  24. 24 이기동, 「신라 성덕왕대의 정치와 사회」, 『역사학보』 160 (1998), 1-18쪽 

  25. 25 이덕호ㆍ이선아ㆍ김남일, 「안압지 출토 木簡 처방전의 釋讀에 대한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15-2 (2009), 85-91쪽 

  26. 26 이덕호, 『안압지 출토 木簡 處方戔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0 

  27. 27 이승현, 「김충공의 질병과 용치탕」, 『동국사학』 68 (2020), 197-232쪽 

  28. 28 이영호, 『신라 중대의 정치와 권력구조』 (서울: 지식산업사, 2015) 

  29. 29 이영호 외, 『신라의 왕권 강화와 발전』 (영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30. 30 이현숙, 「신라 애장왕대 唐 의학서 『廣利方』의 도입과 그 의의(1)」, 『동양고전연구』 13 (2000a), 235-263쪽 

  31. 31 , 「신라 애장왕대 唐 의학서 『廣利方』의 도입과 그 의의(2)」, 『동양고전연구』 14 (2000b), 201-232쪽 

  32. 32 , 「신라 약재명 목간에 대한 분석」, 『한국목간학회 정기발표회』 (2009a), 107-112쪽 

  33. 33 , 『신라 의학사 연구』 (서울: 일조각, 2009b) 

  34. 34 , 「한국 고대 질병 연구의 궤적과 과제」, 『한국고대사연구』 102 (2021), 5-32쪽 

  35. 35 張非非 외 지음, 김승일 옮김, 『한중관계사』 (파주: 범우, 2005) 

  36. 36 朝鮮總督府 編, 『朝鮮金石總覽』 上 (서울: 아세아문화사, 1976) 

  37. 37 최재석, 『정창원 소장품과 통일 신라』 (서울: 일지사, 1996) 

  38. 38 한준수, 『신라중대 율령정치사연구』 (서울: 서경문화사, 2012) 

  39. 39 허흥식, 「고려 과거 제도의 검토」, 『한국사연구』 10 (1974), 3-65쪽 

  40. 40 홍순원, 『조선보건사』 (서울: 청년세대, 1989) 

  41. 41 高学敏 主编, 『中医药高级丛书 中药学』(下) (北京: 人民卫生出版社, 2000) 

  42. 42 馬繼興 主編, 『神農本草經輯注』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5) 

  43. 43 马伯英, 『中国医学文化史』 下卷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10) 

  44. 44 范家伟, 『中古时期的医者与病者』 (上海: 復旦大学出版社, 2010) 

  45. 45 尙志均, 「关于『唐ㆍ新修本草』的几个问题」, 苏敬 等撰, 尙志钧 辑校, 『唐ㆍ新修本草」 (合肥: 安徽科学技术出版社, 1981) 

  46. 46 尙志均 校注, 『神农本草经校注』 (北京: 學苑出版社, 2008) 

  47. 47 苏敬 等 撰, 尙志钧 辑校, 『唐ㆍ新修本草」 (合肥: 安徽科学技术出版社, 1981) 

  48. 48 孫思邈 著, 『備急千金要方』 (北京: 人民衛生出版社影印, 1994) 

  49. 49 汪文娟, 「千金方五脏病治法初探」, 『上海中医药杂志』 8 (1991), 31-33쪽 

  50. 50 王振国 主编, 『中国古代医学敎育与考试制度硏究』 (文登: 齐鲁书社, 2006) 

  51. 51 于赓哲, 『唐代疾病, 医疗史初探』 (北京: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11) 

  52. 52 , 『从疾病到人心』 (北京: 中华书局, 2020) 

  53. 53 李建民, 『旅行者的史學』 (台北: 允晨文化, 2009) 

  54. 54 , 『从中医看中国文化』 (北京: 商务印书馆, 2016) 

  55. 55 李飞 主编, 『中医药高级丛书 方剂学』(上) (北京: 人民卫生出版社, 2002) 

  56. 56 李昉 等 編, 『文苑英華』 4冊 (北京: 中華書局, 1990) 

  57. 57 程锦, 『唐代医疗制度研究』, 中国社会科学院 석사학위 논문, 2008 

  58. 58 陈昊, 『身分敍事与知识表述之间的医者之意』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2019) 

  59. 59 天一閣博物館, 中國社會科學院歷史硏究所天聖令整理課題組校證, 『天一閣藏明鈔本天聖令校證』 (北京: 中華書局, 2006) 

  60. 60 岡西爲人, 『本草槪說』 (大阪: 創元社, 1983) 

  61. 61 東野治之, 「鳥毛立女屛風下貼文書の研究: 買新羅物解の基礎的考察」, 『史林』 57-6 (1974), 775-926쪽 

  62. 62 三木榮, 『朝鮮醫學史及疾病史』 (大阪: 自家出版, 1963) 

  63. 63 三上喜孝, 「慶州ㆍ雁鴨池出土の藥物名木簡について」, 朝鮮文化硏究所, 『韓國出土木簡の世界』 (東京: 雄山閣, 2007) 

  64. 64 池田溫, 『東アジアの文化交流史』 (東京: 吉川弘文館, 2002) 

  65. 65 丸山裕美子, 「律令国家と医学テキスト」, 『法史学研究会会報』 11 (2006), 25-41쪽 

  66. 66 Oh, Chaekun, etc, The Dissemination and Practice of Primary Care Medicine by the Scholar-Gentry, East Asian Science, Technology, and Medicine, 53, 2021, pp. 56-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