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시적인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을 동반한 터너 증후군 1예
A Case of Turner’s Syndrome with Transient Hypopituitarism 원문보기

대한내분비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v.22 no.4, 2007년, pp.266 - 271  

남지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조민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노정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혜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윤지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한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종숙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강은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안철우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차봉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은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임승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경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현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터너 증후군은 증후군은 X 염색체의 완전 혹은 불완전 결손으로 인한 저신장증과 성선무발생증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에서 가장 흔한 성염색체 질환이다. 그 이외에도 특이적인 근골격계 기형, 심혈관계 질환, 신장기형, 갑상선 기능저하증, 내당능장애, 염증성 장 질환 등 전신적으로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일 수 있다. 드물지만 뇌하수체질환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성선 기능저하증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뇌하수체 비후증이나 뇌하수체 선종이 발생한 경우가 있고, 뇌하수체 공터키안 혹은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동반된 경우가 몇 차례 보고된 적 있다. 저자들은 터너 증후군 환자에서 원인 미상의 일시적인 뇌하수체기능저하증이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urner's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short stature and gonadal dysgenesis, and it is often associated with various systemic manifestations, such as cardiovascular, renal, thyroidal, gastrointestinal,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ough very rare, it can also be accompanied by hypopituitarism. It ...

주제어

참고문헌 (20)

  1. N Engl J Med Saenger 335 1749 1996 10.1056/NEJM199612053352307 

  2. Clin Cardiol Cracowski 22 245 1999 10.1002/clc.4960220320 

  3. Eur J Pediatr Nishi 142 25 1984 10.1007/BF00442585 

  4. Arch Intern Med Samaan 139 198 1979 10.1001/archinte.1979.03630390050021 

  5. J Kor Soc Endocrinol Kim 11 114 1996 

  6. J Pediatr Endocrinol Metab Gallicchio 16 901 2003 10.1515/JPEM.2003.16.6.901 

  7. Hum Reproduction Efstathiadou 15 2388 2000 10.1093/humrep/15.11.2388 

  8. Kor J Intern Med Kim 35 564 1988 

  9. Gynecol Endocrinol Lomna-Bogdanov 20 22 2005 10.1080/09513590400020971 

  10. Birth Defects Orig Artic Ser Simpson 11 23 1975 

  11. J Clin Endocrinol Metab Pasquino 82 1810 1997 

  12. Endocr Rev Elsheikh 23 120 2002 

  13. Lancet Ranke 358 309 2001 10.1016/S0140-6736(01)05487-3 

  14. Am J Obstet Gynecol McDonough 119 565 1974 10.1016/0002-9378(74)90223-3 

  15. Horm Res Garel 67 194 2007 

  16. South Med J Silver 76 642 1983 10.1097/00007611-198305000-00027 

  17. Endocrinologist Martin 4 184 1994 10.1097/00019616-199405000-00006 

  18. Endocr Pract Tan 1 320 1995 10.4158/EP.1.5.320 

  19. Eur J Pediatr Eiholzer 145 128 1986 10.1007/BF00441873 

  20. J Clin Endocrinol Metab Zadik 75 412 1992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