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 6 뇌신경 마비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of the Sixth Cranial Nerve Palsy 원문보기

대한안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thalmological Society, v.49 no.8 = no.332, 2008년, pp.1323 - 1329  

한은령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안과학교실) ,  임기환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안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제 6 뇌신경 마비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 및 자연 경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제 6 뇌신경 마비로 진단된 환자 50명 57안을 대상으로 발병 연령, 원인, 회복 여부 및 자연 경과에 대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평균 발병 연령은 43.2세였으며, 원인 별로는 혈관성 원인이 17명(34.0%)으로 가장 많았고, 원인불명 14명(28.0%), 외상10명(20.0%), 종양 3명(6.0%) 순이었다. 연령별 발병 원인은 50~60대의 경우 혈관성 원인이 7명(46.7%)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20~30대에서는 외상성 및 원인 불명이 10명(76.9%)으로 많았다. 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회복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28명(70.0%)에서 호전을 보였고, 완전 회복을 보인 경우가 26명(65.0%)이었으며, 회복되기까지의 평균 기간은 3.7개월이었다. 완전 회복군과 지속군은 성별, 연령, 방향 및 원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완전 회복군의 경우 지속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초진시 사시각이 작았다. 결론: 제 6 뇌신경 마비의 발병 원인으로는 혈관성이 가장 많았고, 경관 관찰이 가능한 환자의 65%에서 완전 회복을 보였으며, 완전 회복군의 경우 초진시 유의하게 작은 사시각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features and natural course of sixth cranial nerve palsy.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sixth nerve palsy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6 to analyze the age of onset, etiology, recovery, and natural course of this...

주제어

참고문헌 (19)

  1. Am J Ophthalmol Rucker 46 787 1958 10.1016/0002-9394(58)90989-9 

  2. Am J Ophthalmol Rucker 61 1293 1966 10.1016/0002-9394(66)90258-3 

  3. Arch Ophthalmol Rush 99 76 1981 10.1001/archopht.1981.03930010078006 

  4. Am J Ophthalmol Richards 113 489 1992 10.1016/S0002-9394(14)74718-X 

  5. J Korean Ophthalmol Soc Shin 22 137 1981 

  6. J Korean Ophthalmol Soc Lee 26 63 1985 

  7. J Korean Ophthalmol Soc Kim 32 283 1991 

  8. J Korean Ophthalmol Soc Park 38 1432 1997 

  9. J Korean Ophthalmol Soc Park 46 1555 2005 

  10. Ophthalmology Patel 111 369 2004 10.1016/j.ophtha.2003.05.024 

  11.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53 2006 

  12. J Korean Ophthalmol Soc Jeon 47 1776 2006 

  13. J Korean Ophthalmol Soc Lee 34 549 1993 

  14. Eye Tiffin 377 1996 10.1038/eye.1996.77 

  15. Am J Ophthalmol Sanders 134 81 2002 10.1016/S0002-9394(02)01439-3 

  16.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Metz 226 141 1988 10.1007/BF02173302 

  17. Arch Ophthalmol Robertson 83 574 1970 10.1001/archopht.1970.00990030574008 

  18. Am J Ophtalmol Mutyala 122 898 1996 10.1016/S0002-9394(14)70394-0 

  19. J AAOPS Homes 2 265 1998 10.1016/S1091-8531(98)9008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