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elationship of Aircraft-noise and the Result of Audiological Evaluation Among Residents Near U.S. Military Airbases in Pyeongtaek City

대한산업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21 no.2, 2009년, pp.154 -   

Jeong, Jong Do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  Kim, Hyunjoo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  Jung, Jae Y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  Roh, Sangchul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  Kwon, Ho Ja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Dankook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비행기소음이 청각에 대한 포괄적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명 및 난청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를 통해 비행기소음의 난청에 대한 영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지역은 평택시에 위치한 두 개의 미군기지(K-55, K-6) 주변 8개 마을로 선정하였고 대조지역은 비행장에서 10 ㎞ 이상 떨어진 5개 마을이었다. 연구대상은 전도성 난청자와 순음청력검사에 협조가 불가능 한 경우를 제외하고 노출군 492명, 대조군 200명이었다. 환경소음은 2005년 12월 9일, 노출지역 8개, 대조지역 2개 마을을 동시에 주간 8시간 측정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명 여부와 그 불편감을 조사하였고, 이명 불편감은 구조화된‘이명 불편감 설문지’를 통해 파악한 뒤 감정적, 기능적, 재앙화적 측면에서의 점수를 합산하여 산출하였다. 청력평가를 위해 0.5, 1, 2, 3, 4, 6, 8 ㎑에 대하여 순음청력검사와 1582, 2003, 3175, 4007 ㎐에 대하여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를 시행하였다. 비행기소음의 노출특성 및 혼란변수의 성차를 고려하여 성별층화분석을 했고, 연속변수는 일반선형모델(gener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범주형 변수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보정한 혼란변수는 연령, 교육정도, 스트레스 반응척도, 군대소음, 농업소음, 직업소음이었다.

결과: 이명 증상 호소율은 남성에서 노출군 47.3%, 대조군 27.6%이었고, 여성에서 노출군 50.8%, 대조군 28.5%이었으며, 그 대응비는 남성에서 2.06(95% CI: 1.09~3.88), 여성에서 1.97(95% CI: 1.17~3.30)이었다. 이명 불편감 영역별 점수는 남녀 모두에서 감정적, 기능적, 재앙화적 측면에서 노출군이 비노출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순음청력검사결과 남성에서는 우측 귀 0.5, 1 ㎑에서, 여성에서는 좌측 귀 0.5, 1 ㎑와 우측 귀 0.5, 1, 2, 3, 4, 6 ㎑ 주파수 영역에서 노출군의 청력역치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변조이음향방사 검사결과, 남성에서는 두 군간에 비정상률의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의 비정상률은 좌측 귀 3175, 4007 ㎑ 영역에서 각각 1.92(95% CI: 1.10~3.36), 2.71 (95% CI: 1.49~4.91), 우측 귀 각각 1.73(95% CI: 1.01~2.99), 1.78(95% CI: 1.01~3.15)의 대응비를 보였다.

결론: 연구결과 수십 년간 군 기지의 비행기소음에 노출된 집단에서 이명과 이명 불편감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순음청력검사는 노출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청력저하를 보였다. 변조이음향방사 검사는 여성 노출군에서만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비정상률을 보였다. 이로부터 비행기소음이 이명과 난청 등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문제를 유발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ircraft noise and the results of audiological evaluation on tinnitus and hearing loss among residents near United States military air-bases in Pyeongtaek city. Methods: Residents (n=492) exposed to aircraft noise were selected from eight villages n...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