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과계 중환자의 산 염기 장애 분석
Analysis of the acid-base disorders of critically ill patients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대한내과학회지, v.73 no.4 = no.566, 2007년, pp.399 - 406  

이승근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  정재훈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  김지은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  송상헌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  안승재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  이동원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  이수봉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  곽임수 (부산대학교병원 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중환자에서 산 염기 장애는 매우 흔하며, 특히 대사성 산증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중환자에서 대사성 산증 이외의 다른 산 염기 장애 및 둘 이상의 일차성 산 염기 장애가 존재하는 혼합형 산 염기 장애의 빈도도 높지만 이에 대한 평가는 아직 부족하다. 저자들은 내과계 중환자들을 대상으로 산 염기 장애의 유형 및 예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내과계 중환자 중 후향적으로 분석이 가능했던 187명을 대상으로 산 염기 장애의 유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비생존군과 생존군으로 나누어 양 군에서 산 염기 장애에 관련된 지표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예후와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의 나이는 평균 61.7세였으며 사망률은 56.7%였다. 일차성 산 염기 장애만 존재하는 single disorders의 빈도는 25.1%, 두 개의 일차성 산 염기 장애가 존재하는 double disorders는 48.7%, triple disorders 는 13.4%, 정상은 12.8%였으며, 대사성 산증의 빈도는 57.8%였다. 하지만 산 염기 장애의 종류에 따른 사망률의 차이는 없었다. 비생존군과 생존군을 비교하였을 때 pH (7.34 vs 7.41), 혈장 중탄산염(20.68 mmol/L vs 25.90 mmol/L), 세포외액 염기과잉(-5.19 vs 1.19), 음이온차이(18.57 mmol/L vs 13.77 mmol/L), 교정 음이온차이(23.63 mmol/L vs 17.96 mmol/L), 알부민(2.37 g/dL vs 2.73 g/dL), APACHE II score (20.7 vs 17.2)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나(p<0.05),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analysis에서 APACHE II scores만이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내과계 중환자에서 다양한 산 염기 장애가 존재하며, 비생존군과 생존군 사이에 산 염기 장애와 관련된 지표들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APACHE II scores를 제외하고는 통계적으로 예후에 영향을 주지는 못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 Acid-base imbalances are common in critically ill patients; however, the incidence of acid-base imbalances in the medical intensive care units has not been fully determin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cidence and the type of acid-base imbalanc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and ...

주제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