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한국인 HIV 감염자에서 당뇨병 발생 양상
Clinical manifestations for diabetes mellitus in HIV-infected Koreans on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원문보기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 대한내과학회지, v.74 no.5 = no.573, 2008년, pp.506 - 514  

최희경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수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한성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  진범식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  최석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  한상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  김명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  김창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  최준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  송영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  김준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에이즈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HAART의 도입은 HIV에 감염된 환자들의 AIDS 발병률을 의미있게 감소시켰으나, 장기적인 부작용 중의 하나로 특히 단백효소 억제제와 관련된 당뇨병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서구의 보고들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HIV 감염자에서 발생하는 당뇨병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HAART를 받고 있는 한국인 HIV 감염자들에게서 발생하는 당뇨병의 빈도와 임상양상, 위험인자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에서 HAART를 6개월 이상 받은 215명의 감염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코호트 연구환자 대조군 연구를 통해 당뇨병 발생 빈도와 양상,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 215명의 감염자에서 1,079인년를 추적관찰하였으며 당뇨병의 발생률은 발생률은 100인년 당 1.39예, 공복혈당장애는 100인년 당 6.02예였다. 비비만형의 제2형 당뇨병이 주로 발생하였으며 서구의 보고 및 국내 비감염인 당뇨병 환자의 특성과 달리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인슐린 분비능 저하를 모두 나타내었다. 당뇨병 발생의 위험인자를 분석한 결과 연령 증가와 바이러스 혈중농도 감소폭, indinavir 노출 여부가 당뇨 발생의 위험인자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감염자들의 당뇨병 발생율은 서구의 보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당뇨병의 위험인자 보다는 약제의 사용력이 당뇨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강도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감염자들에서 이러한 약제를 선택할 때 주기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Aims : The introduction of highly active antiretroviral therapy (HAART) has significantly modified the course of HIV infection. However, the HAART regimens, and especially those including protease inhibitors (PIs), have been shown to cause diabetes mellitus. We evaluated the incidence and...

주제어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