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여성에서 폐경과 대사증후군 관련인자들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in Korean Women

Korean diabetes journal : kdj, v.32 no.3 = no.107, 2008년, pp.243 - 251  

고장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 ,  이미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남수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성중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필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노진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신장열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신영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춘희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배경: 폐경 여성에 있어서 심혈관계질환유병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증가는 폐경 전기에서 폐경 후기로 변화하는 여성에서 나타나는 연속적인 호르몬 변화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히 폐경 후기에는 대사증후군의 위험도가 약 60%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인인자로서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증가, 에스트로겐의 감소, 복부비만 등의 발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기를 지나가는 동안 각 단계에서 폐경과 대사증후군과 관련된 주요인자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종합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1,926명을 대상으로 검진 당시 시행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폐경 유무에 따라 폐경전기 (premenopausal status), 주폐경기 (perimenopausal status), 폐경후기 (postmenopausal status)의 3구분으로 분류하였다.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등을 측정하였으며, 공복 시에 혈당, ALT, GGT,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등을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으로는 NCEP ATP III의 기준을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폐경전기 7.1%, 주폐경기 9.8%, 폐경후기 24.2%이었다. 폐경전기에서 폐경후기로 갈수록 허리둘레, 혈압, 체질량지수, ALT, GGT와 공복혈당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P < 0.001), 이중 허리둘레의 증가가 폐경후기에서 대사증후군 구성인자 수의 증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 = 0.56, P < 0.01). 폐경전기에서 폐경후기로 갈수록 대사증후군 구성인자의 비교 위험률은 나이를 보정했을 경우 중성지방이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주폐경기, OR 1.517 [95% CI 1.014~2.269] 폐경후기, OR 1.573 [95% CI 1.025~2.414]). 또한 여성전체에서 ALT와 GGT의 상승에 따라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률도 증가하였다. 결론: 폐경 여성의 대사증후군 발생에 있어서 연령 이외에 중성지방과 허리둘레의 증가가 연관성이 있었고 ALT와 GGT도 대사증후군의 발생을 예측하는 인자로서 사용할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Postmenopausal status is associated with a 60% increased risk for metabolic syndrome. It i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decreased estrogens and increased abdominal obesity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metabolic syndro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

주제어

참고문헌 (35)

  1. J Intern Med Peters 246 521 1999 10.1046/j.1365-2796.1999.00547.x 

  2. Int J Cardiol Cabrera 114 224 2007 10.1016/j.ijcard.2006.01.019 

  3. Bjog Kuh 112 476 2005 10.1111/j.1471-0528.2005.00416.x 

  4. Arch Intern Med Matthews 154 2349 1994 10.1001/archinte.1994.00420200105011 

  5. Stroke Matthews 32 1104 2001 10.1161/01.STR.32.5.1104 

  6. Atherosclerosis Torng 161 409 2002 10.1016/S0021-9150(01)00644-X 

  7. J Clin Endocrinol Metab Carr 88 2404 2003 10.1210/jc.2003-030242 

  8. Arch Intern Med Park 163 427 2003 10.1001/archinte.163.4.427 

  9. Diabetes Care Isomaa 24 683 2001 10.2337/diacare.24.4.683 

  10. Nutrition Despres 9 452 1993 

  11. Lancet Eckel 365 1415 2005 10.1016/S0140-6736(05)66378-7 

  12. Diabet Med Alberti 23 469 2006 10.1111/j.1464-5491.2006.01858.x 

  13. Climacteric Mesch 9 40 2006 10.1080/13697130500487331 

  14. Am J Epidemiol Brambilla 140 1091 1994 10.1093/oxfordjournals.aje.a117209 

  15. Lancet Greendale 353 571 1999 10.1016/S0140-6736(98)05352-5 

  16. Diabetes Res Clin Pract Lee 75 72 2007 10.1016/j.diabres.2006.04.013 

  17. Endocrinol Metab Clin North Am Cameron 33 351 2004 10.1016/j.ecl.2004.03.005 

  18. Diabetes Care Stern 27 2676 2004 10.2337/diacare.27.11.2676 

  19. Diabetes Care Roper 25 43 2002 10.2337/diacare.25.1.43 

  20. Diabetologia Nakagami 47 385 2004 10.1007/s00125-004-1334-6 

  21. Ann Intern Med Poehlman 123 673 1995 10.7326/0003-4819-123-9-199511010-00005 

  22. Br Med J (Clin Res Ed) Lapidus 289 1257 1984 10.1136/bmj.289.6454.1257 

  23. J Clin Endocrinol Metab You 89 5517 2004 10.1210/jc.2004-0480 

  24. Circulation Tanko 111 1883 2005 10.1161/01.CIR.0000161801.65408.8D 

  25. Diabetes Res Clin Pract Florez 71 92 2006 10.1016/j.diabres.2005.05.003 

  26. Acta Med Scand Bengtsson 224 549 1988 10.1111/j.0954-6820.1988.tb19625.x 

  27. Stroke Lehto 29 635 1998 10.1161/01.STR.29.3.635 

  28. Am J Hypertens Onat 19 1055 2006 10.1016/j.amjhyper.2006.02.014 

  29. Atherosclerosis Yamada 189 198 2006 10.1016/j.atherosclerosis.2005.11.036 

  30. Metabolism Choi 54 1510 2005 10.1016/j.metabol.2005.05.018 

  31. J Endocrinol Invest Marchesini 28 333 2005 10.1007/BF03347199 

  32. World J Gastroenterol Sakugawa 10 1052 2004 10.3748/wjg.v10.i7.1052 

  33. Diabet Med Kim 22 1134 2005 10.1111/j.1464-5491.2005.01581.x 

  34. Menopause Cho 15 524 2008 10.1097/gme.0b013e3181559860 

  35. Diabetes Care Kim 30 701 2007 10.2337/dc06-140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