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6세기 신라에서 村이 지방지배의 기본단위였음을 밝히고, 이를 활용한 지배방식의 변화 양상과 그 배경을 검토했다.
6세기 중반 제작된 咸安 城山山城 木簡에 따르면 지방관이 파견된 行政村만이 아니라 그 예하의 村 또한 주변의 自然聚落을 관할하면서 각종 행정 업무를 수행했다. 6세기 신라에서 村은 지방지배의 기본단위였던 것이다. 하지만 村에 예속된 자연취락은 촌락사회의 통제와 파악이 村의 유력자에 의존했음을 말해준다. 또한 당시 역역동원은 재지유력층 중심의 徒를 통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시기 村을 매개로 한국가의 지방지배는 공동체적 질서에 상당 부분 의존했다고 할 수 있다.
6세기 중반 이후 신라가 지방제도를 정비하고 직접지배를 지향하면서 이러한 지배방식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6세기 말 세워진 南山新城碑 第9碑는 역역집단을 행정촌 대신 그 예하의 村을 단위로 기록했다. 이는 제9비의 역역동원이 村을 단위로 이루어지고 지방관이 이를 주도하면서 생긴 차이로 추정된다.
제9비의 양상은 6세기 말 지방지배에서 村이 기층단위로 부각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행정촌 예하 村들이 지방관의 직접 통제를 받는 모습이 통일신라시대 縣의 지배방식과 흡사하다는 점에서 신라 지방지배 방식의 연속성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원동력은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농업생산력이 발전하면서 중심취락에 경제적으로 예속되어 있던 소규모 자연취락들이 성장하여 새로운 村으로 재편되었다. 그리고 이 새로운 村의 유력자들에게도 外位가 수여되었다. 그 결과 종래 재지세력의 위상은 크게 저하되었다.
한편 6세기 중반 이후 신라는 장기적인 전쟁을 겪게 되면서 民의 역량을 최대한 이끌어내 전쟁에 동원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그러나 기존의 공동체적 유대에 의존한 군사력 동원이 어려워지게 되면서 신라는 변경지역을 중심으로 촌락 내부를 村으로 재편, 파악하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 논문은 6세기 신라에서 村이 지방지배의 기본단위였음을 밝히고, 이를 활용한 지배방식의 변화 양상과 그 배경을 검토했다.
6세기 중반 제작된 咸安 城山山城 木簡에 따르면 지방관이 파견된 行政村만이 아니라 그 예하의 村 또한 주변의 自然聚落을 관할하면서 각종 행정 업무를 수행했다. 6세기 신라에서 村은 지방지배의 기본단위였던 것이다. 하지만 村에 예속된 자연취락은 촌락사회의 통제와 파악이 村의 유력자에 의존했음을 말해준다. 또한 당시 역역동원은 재지유력층 중심의 徒를 통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시기 村을 매개로 한국가의 지방지배는 공동체적 질서에 상당 부분 의존했다고 할 수 있다.
6세기 중반 이후 신라가 지방제도를 정비하고 직접지배를 지향하면서 이러한 지배방식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6세기 말 세워진 南山新城碑 第9碑는 역역집단을 행정촌 대신 그 예하의 村을 단위로 기록했다. 이는 제9비의 역역동원이 村을 단위로 이루어지고 지방관이 이를 주도하면서 생긴 차이로 추정된다.
제9비의 양상은 6세기 말 지방지배에서 村이 기층단위로 부각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행정촌 예하 村들이 지방관의 직접 통제를 받는 모습이 통일신라시대 縣의 지배방식과 흡사하다는 점에서 신라 지방지배 방식의 연속성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원동력은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농업생산력이 발전하면서 중심취락에 경제적으로 예속되어 있던 소규모 자연취락들이 성장하여 새로운 村으로 재편되었다. 그리고 이 새로운 村의 유력자들에게도 外位가 수여되었다. 그 결과 종래 재지세력의 위상은 크게 저하되었다.
한편 6세기 중반 이후 신라는 장기적인 전쟁을 겪게 되면서 民의 역량을 최대한 이끌어내 전쟁에 동원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졌다. 그러나 기존의 공동체적 유대에 의존한 군사력 동원이 어려워지게 되면서 신라는 변경지역을 중심으로 촌락 내부를 村으로 재편, 파악하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This study aims to clear that Chon was the primary unit of local governance in 6th century Silla, and to examine evolutionary aspects and the background of the ruling method. Analyzing wooden tablets from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咸安城山山城木簡) in mid 6th century, we can realize that not only Admi...
This study aims to clear that Chon was the primary unit of local governance in 6th century Silla, and to examine evolutionary aspects and the background of the ruling method. Analyzing wooden tablets from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咸安城山山城木簡) in mid 6th century, we can realize that not only Administrative Chon (行政村), but Chon subordinated to Administrative Chon also achieved administrative services, governing the Natural Village (自然聚落). Therefore Chon was the primary unit of local control in 6th century Silla. However, existence of assigned Natural Villages suggests that Silla also depended on local influential persons to control village. And at that time unit of labor service imposition was Do (徒) which the influential person managed operations with autonomously. This shows that the local ruling system of Silla based on Chon still had to depend mostly on autonomous control of classes with local influence. This limitation was overcome gradually with improvement of local ruling systems. When analyzed the 9th Namsansinseong-bi (南山新城碑) we can see that members of group C who had taken charge of construction were classified by Chon. It shows that Chon was used as the primary unit of labor imposition, and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s had taken charge of initiative role of working group organization. This aspect of the 9th Namsansinseong-bi means that in end of 6th century Chon was established as a substratum unit in local governance. In particular, the way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 ruled Chon directly was very similar with the governing method of Hyeon (縣). One of Factors that had caused the change was a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That contributed to reorganization of small villages into Chon which had depended on the central village. Moreover outer-ranks were awarded to influential persons of new Chon. As a result Chon simply implied a dwelling district, and the authority of the class with local influence was gone. In the meantime Silla had to suffer frequent attacks by Goguryeo and Baekje since the mid of the 6th century. To overcome these circumstances Silla had to mobilize people and undergo warfare continuously. Therefore the project to reorganize villages into Chon was propelled more actively.
This study aims to clear that Chon was the primary unit of local governance in 6th century Silla, and to examine evolutionary aspects and the background of the ruling method. Analyzing wooden tablets from the Seongsan Sanseong Fortress (咸安城山山城木簡) in mid 6th century, we can realize that not only Administrative Chon (行政村), but Chon subordinated to Administrative Chon also achieved administrative services, governing the Natural Village (自然聚落). Therefore Chon was the primary unit of local control in 6th century Silla. However, existence of assigned Natural Villages suggests that Silla also depended on local influential persons to control village. And at that time unit of labor service imposition was Do (徒) which the influential person managed operations with autonomously. This shows that the local ruling system of Silla based on Chon still had to depend mostly on autonomous control of classes with local influence. This limitation was overcome gradually with improvement of local ruling systems. When analyzed the 9th Namsansinseong-bi (南山新城碑) we can see that members of group C who had taken charge of construction were classified by Chon. It shows that Chon was used as the primary unit of labor imposition, and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s had taken charge of initiative role of working group organization. This aspect of the 9th Namsansinseong-bi means that in end of 6th century Chon was established as a substratum unit in local governance. In particular, the way local administrative official ruled Chon directly was very similar with the governing method of Hyeon (縣). One of Factors that had caused the change was a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That contributed to reorganization of small villages into Chon which had depended on the central village. Moreover outer-ranks were awarded to influential persons of new Chon. As a result Chon simply implied a dwelling district, and the authority of the class with local influence was gone. In the meantime Silla had to suffer frequent attacks by Goguryeo and Baekje since the mid of the 6th century. To overcome these circumstances Silla had to mobilize people and undergo warfare continuously. Therefore the project to reorganize villages into Chon was propelled more actively.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