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기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중심으로 설문과 질적 면담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이론적 타당성이 부족하고 의사결정 방식에 문제가 있으며, 교육과정 운영시 특수교육교사와 일반교육교사의 협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전문성제고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관련인사들의 적극적 참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단평가위원회와 개별화교육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평가 위원회와 개별화 교육위원회가 특수학급 학생의 진단이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시 실제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작성과 활용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의 장단기 목표 진술방법이나 평가방법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장학이나 교과교육연구회 등을 통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작성방법 및 활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급 학생 지도시 활용가능한 교수-학습자료가 부족하고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특별활동 및 재량 활동시 지도 교사와 동료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활동시 장애학생의 의견반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과 재량 활동시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교육과 더불어 장애학생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애학생 전환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와 더불어 특수학급학생의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알아보기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중심으로 설문과 질적 면담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한 이론적 타당성이 부족하고 의사결정 방식에 문제가 있으며, 교육과정 운영시 특수교육교사와 일반교육교사의 협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대한 중학교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전문성제고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관련인사들의 적극적 참여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단평가위원회와 개별화교육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단평가 위원회와 개별화 교육위원회가 특수학급 학생의 진단이나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시 실제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작성과 활용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의 장단기 목표 진술방법이나 평가방법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가 많으며 개별화 교육프로그램을 적절하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료 장학이나 교과교육연구회 등을 통한 개별화 교육프로그램 작성방법 및 활용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급 학생 지도시 활용가능한 교수-학습자료가 부족하고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는데 있어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활동시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특별활동 및 재량 활동시 지도 교사와 동료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활동시 장애학생의 의견반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활동과 재량 활동시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교육과 더불어 장애학생의 의견이 적극 반영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장애학생의 전환교육서비스가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애학생 전환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제고와 더불어 특수학급학생의 전환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보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special class were compiled and applied in Seoul and what problems they were faced with.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s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special class were compiled and applied in Seoul and what problems they were faced with.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special-class curriculum, and there was neither enough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nor adequate connection between special class curriculum and regular curriculum, either. Second, as for assessment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assessment committees and board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existed just for form"s sake. The way to map out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and to carry them out was not efficient. Third, concerning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activities for students in special clas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appeared not to be satisfactory. Fourth,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discretion courses were provided without having a full understanding of disabled students nor considering their opinions. Seven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ids were not sufficient enough to ensur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special class. To improvement the situation, specific guidelines about academic, discre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rapy education, which are the basis of special-class curricula, should be prepared. Second, how to apply special-class curriculum should be determined in detail. Proper teaching methods should be selected for different areas, and in which way curricular should be modified should be decided. Besides, a wide variety of materials about discre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rap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hird, in which direction evaluation should be led and relevant guidelines should be determined. What and how to evaluate should be presented, and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methods also should be supplied. In additio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applicable to students in special class should be introduced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iddle school curriculum for special class were compiled and applied in Seoul and what problems they were faced with.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n"t solid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compilation and operation of special-class curriculum, and there was neither enough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nor adequate connection between special class curriculum and regular curriculum, either. Second, as for assessment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assessment committees and boards of individualized education existed just for form"s sake. The way to map out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and to carry them out was not efficient. Third, concerning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activities for students in special clas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methods appeared not to be satisfactory. Fourth,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discretion courses were provided without having a full understanding of disabled students nor considering their opinions. Seven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ids were not sufficient enough to ensure the successful operation of special class. To improvement the situation, specific guidelines about academic, discre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rapy education, which are the basis of special-class curricula, should be prepared. Second, how to apply special-class curriculum should be determined in detail. Proper teaching methods should be selected for different areas, and in which way curricular should be modified should be decided. Besides, a wide variety of materials about discre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rap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hird, in which direction evaluation should be led and relevant guidelines should be determined. What and how to evaluate should be presented, and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methods also should be supplied. In additio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s applicable to students in special class should be introduced as well.
Keywor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